KR20210063583A - 2중 x자 리프트 - Google Patents

2중 x자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583A
KR20210063583A KR1020190151883A KR20190151883A KR20210063583A KR 20210063583 A KR20210063583 A KR 20210063583A KR 1020190151883 A KR1020190151883 A KR 1020190151883A KR 20190151883 A KR20190151883 A KR 20190151883A KR 20210063583 A KR20210063583 A KR 20210063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d
binding arm
link
mounting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재
Original Assignee
이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재 filed Critical 이완재
Priority to KR102019015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583A/ko
Publication of KR2021006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for raising or lowering vehicles by their own pow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30)로 구동되는 링크(link)식 자동차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가 탑재되는 탑재프레임(40)의 양측 전, 후방에 각각 별도의 링크를 장착하고 이들 링크의 유압실린더(30)를 함께 동작 시킴으로써, 일반 승용차에 비하여 축간거리가 긴 승합차, 버스 또는 화물차 등의 차량 중량이 무거운 차량도 무리 없이 탑재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대형 탑재프레임(40)을 승강함에 있어서 소형 링크를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링크를 구동하는 유압실린더(30)의 소요 출력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대형 차량용 X자식 리프트의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2중 X자 리프트{Double X chair lift}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30)로 구동되는 X자식 자동차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가 탑재되는 탑재프레임(40)의 양측 전, 후방에 각각 별도의 링크를 장착하고 이들 링크의 유압실린더(30)를 상호 함께 동작 시킴으로써, 일반 승용차에 비하여 축간 거리가 긴 승합차, 버스 또는 화물차 등의 차량 중량이 무거운 차량도 무리 없이 탑재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정비 또는 기계식 주차 등에 활용되는 자동차 리프트 중 X자식 리프트는 자동차가 탑재되는 탑재프레임(40) 하부에 유압실린더(30) 등으로 구동되는 링크가 설치되어 자동차를 탑재한 상태에서 승강하게 된다. X자식 리프트는 자동차의 양측 차륜 또는 차체 양 측단부가 탑재프레임(40) 양 측단부에 구성되는 탑재판에 거치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0) 등의 액츄에이터(actuator)에 의하여 링크의 교차각이 변화됨에 따라 탑재프레임(40)이 승강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탑재프레임(40)을 구성하는 양측 탑재판에 각각 하나의 링크가 장착되는 방식으로서, 적용 대상 차량의 중 량에 따라 탑재판은 물론 링크 및 관련 구동장치의 규격 및 소요 출력 또한 변경되게 된다.
X자식 리프트는 탑재프레임(40)을 리프팅하기 위한 별도의 지주 또는 호이스트 등이 불필요하고 상승시 차량 하부의 작업 공간 확보가 용이할 뿐 아니라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대형 차량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어서, 6인승 미만의 일반 승용차를 대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X자식 리프트의 구조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승합차, 버스 또는 화물차 등의 대형 차량은 일반 승용차에 비하여 긴 차체 및 축거를 가지는 바, 탑재프레임(40)의 길이가 길어질 수 밖에 없으며, 링크 또한 그에 상응하도록 대형화 될 수 밖에 없으나, 차량의 승강 거리는 일반 승용차용 리프트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작업 공간 확보에 필요한 정도면 충분하므로 과대한 규모의 링크가 적용되어 제작비용이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탑재프레임(40)의 중심부에 소형 링크를 적용하되 링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강성을 강화하고 유압실린더(30)의 직경을 확장하여 출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소형 링크가 적용될 경우 링크의 상부 지지점간 거리가 축소될 수 밖에 없어 링크 상부의 탑재프레임(40)에 작용하는 휨모멘트가 증가하게 되며, 여기에 탑재프레임(40)이 길어지고 탑재 차량의 중량 및 축거가 확대됨에 따른 영향이 추가되면 탑재프레임(40)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어, 탑재프레임(40)의 단면적을 대폭 확대하여야하는 문제점에 봉착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탑재프레임(40) 등 구조물의 규모 확대는 결국 자중 증가 및 그에 따른 구동장치 출력 증대로 이어져, X자식 리프트의 제작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될 뿐 아니라, 탑재프레임(40) 하부 공간을 잠식하여 링크
식 리프트의 특장점인 설치 공간 절감 및 하부 작업 공간 확보를 무색하게 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게된다. 따라서, 승합차, 버스 및 화물차 등의 대형차량의 경우 정비용 트렌치(trench)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하여 정비 작업에 제약이 있을 뿐 아니라 작업 편의성 또한 크게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유압실린더(30)로 구동되는 링크가 설치되어 자동차를 탑재하여 승강하는 리프트에 있어서, 자동차가 탑재되는 좌측탑재판(41) 및 우측탑재판(42)이 평행하게 연결된 탑재프레임(40)과, 탑재프레임(40)의 하측 지면에 좌측탑재판(41) 및 우측탑재판(42)과 각각 평행하게 거치되는 좌측지지판(51) 및 우측지지판(52)과, 상단이 좌측탑재판(41)의 중심부에 힌지 (hinge)결합되고 하단에는 좌측지지판(51)의 전방측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 (23)가 설치되는 상단결속암(21)과, 하단이 좌측지지판(51)의 중심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에는 좌측탑재판(41)의 전방측 저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하단결 속암(22)이 X자로 힌지결합되고, 상단결속암(21)과 하단결속암(22)에 유압실린더(30)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전방 좌측링크(11)와, 상단이 우측탑재판(42)의 중심부에 힌지(hinge)결합되고 하단에는 우측지지판(52)의 전방측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상단결속암(21)과, 하단이 우측지지판(52)의 중심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에는 우측탑재판(42)의 전방측 저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 (23)가 설치되는 하단결속암(22)이 X자로 힌지 결합되고, 상단결속암(21)과 하단결속암(22)에 유압실린더(30)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전방우측링크(12)와, 상단이 좌측탑재판(41)의 중심부에 힌지(hinge)결합되고 하단에는 좌측지지판(51)의 후방측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상단결속암(21)과, 하단이 좌측지지판 (51)의 중심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에는 좌측탑재판(41)의 후방측 저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하단결속암(22)이 X자로 힌지결합되고, 상단결속암 (21)과 하단결속암(22)에 유압실린더(30)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후방좌측링크(13)와, 상단이 우측탑재판(42)의 중심부에 힌지(hinge)결합되고 하단에는 우측지지판 (52)의 후방측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상단결속암(21)과, 하단이 우측지지판(52)의 중심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에는 우측탑재판(42)의 후방측 저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하단결속암(22)이 X자로 힌지결합되고, 상단결속암(21)과 하단결속암(22)에 유압실린더(30)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후방우측링크(14)로 구성되어, 유압실린더(30)가 신축됨에 따라 탑재프레임(40)이 승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X자식 자동차 리프트이다. 또한, 상기 전방좌측링크(11) 전방우측링크(12), 후방좌측링크(13) 또는 후방우측링크 (14) 중 하나에는 주동실린더(31)가 장착되고, 주동실린더(31)가 장착된 링크와 평면상 대각을 이루는 링크에는 종동실린더(32)가 장착되되, 주동실린더(31)에는 피스톤(38)과 실린더 내부 전면 사이에 형성된 선단유압구(36) 및 실린더 내부 후단부에 형성된 주동유압구 (35)가 구성되고, 종동실린더(32)에는 실린더 내부 후단부에 형성된 종동유압구 (37)가 구성되며, 상기 주동유압구(35)에는 유압발생장치가 연결되고, 선단유압구 (36)와 종동유압구(37)가 연결되어, 주동실린더(31)와 종동실린더(32)가 동조연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X자식 자동차 리프트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대형 탑재프레임(40)을 승강함에 있어서 소형 링크를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링크를 구동하는 유압실린더(30)의 소요 출력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대형 차량용 X자식 리프트의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링크를 통하여 탑재프레임(40)을 여러지점을 지지함으로써, 탑재프레임(40)의 안정적인 지지 및 승강이 가능하며, 탑재프레임(40)을 비롯한 각 구성 부재의 단면을 축소할 수 있으므로, X자식 리프트의 설치 공간을 절감하고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예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가 탑재되는 좌측탑재판(41) 및 우측탑재판(42)이 평행하게 연결된 탑재프레임(40)과, 탑재프레임(40)의 하측 지면에 좌측탑재판(41) 및 우측탑재판(42)과 각각 평행하게 거치되는 좌측지지판(51) 및 우측지지판(52)과, 탑재프레임(40) 하부의 전, 후방 좌, 우 양측에 설치되어 탑재프레임(40)과 좌측지지판(51) 및 우측지지판(52)을 연결하는 전방좌측링크(11), 전방우측링크(12), 후방좌측링크(13) 및 후방우측링크(14)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 후, 좌, 우의 구분은 도 1에서와 같이, 차량이 진입하는 진입판(60)이 설치된 부분을 전방 즉, 정면으로 설정한 것이나, 이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각 구성요소의 명확한 구분을 위하여 설정된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링크는 대칭적 구조를 가지는 바, 본 발명을 평면상 180도 회전하여도 회전 전,후의 실질적 구조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전방좌측링크(11), 전방우측링크(12), 후방좌측링크([0018] 13) 및 후방우측링크 (14)는 공히, 상단결속암(21)과 하단결속암(22)이 X자 형태로 중심부가 교차되고 교차점이 힌지(hinge)결합되어 구성되며, 상단결속암(21) 및 하단결속암(22)의 일단은 좌, 우측탑재판(41, 42) 또는 좌, 우측지지판(51, 52)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로울러(23)가 설치되어 좌, 우측탑재판(41, 42) 저면 또는 좌, 우측지지판(51 , 52) 상면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또한, 상단결속암(21)과 하단결속암(22)에는 유압실린더(30) 양단이 힌지결합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유압실린더(30)는 외부의 유압발생장치 즉, 유압펌프(oil hydraulic pump)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 30)가 신장 또는 수축함에 따라 상단결속암(21)과 하단결속암(22)의 교차각이 변화되고 결국 탑재프레임(40)이 승강하게 된다.
11 : 전방좌측링크
12 : 전방우측링크
13 : 후방좌측링크
14 : 후방우측링크
21 : 상단결속암
22 : 하단결속암
23 : 로울러
30 : 유압실린더
31 : 주동실린더
32 : 종동실린더
35 : 주동유압구
36 : 선단유압구
37 : 종동유압구
38 : 피스톤
39 : 플런저
40 : 탑재프레임
41 : 좌측탑재판
42 : 우측탑재판
51 : 좌측지지판
52 : 우측지지판
60 : 진입판

Claims (1)

  1. 유압실린더(30)로 구동되는 링크가 설치되어 자동차를 탑재하여 승강하는 리프트에 있어서, 자동차가 탑재되는 좌측탑재판(41) 및 우측탑재판(42)이 평행하게 연결된 탑재프레임(40)과 탑재프레임(40)의 하측 지면에 좌측탑재판(41) 및우측탑재판(42)과 각각 평행하게 거치되는 좌측지지판(51) 및 우측지지판(52)과 상단이 좌측탑재판(41)의 중심부에 힌지(hinge)결합되고 하단에는 좌측지지판(51)의 전방측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상단결속암(21)과, 하단이 좌측지지판(51)의 중심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에는 좌측탑재판(41)의 전방측 저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하단결속암(22)이 X자로 힌지결합되고, 상단결속암(21)과 하단결속암(22)에 유압실린더(30)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전방좌측링크(11)와 상단이 우측탑재판(42)의 중심부에 힌지(hinge)결합되고 하단에는 우측지지판(52)의 전방측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상단결속암(21)과, 하단이 우측지지판(52)의 중심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에는 우측탑재판(42)의 전방측 저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하단결속암(22)이 X자로 힌지결합되고, 상단결속암(21)과 하단결속암(22)에 유압실린더(30)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전방우측링크(12)와 상단이 좌측탑재판(41)의 중심부에 힌지(hinge)결합되고 하단에는 좌측지지판 (51)의 후방측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상단결속암(21)과, 하단이 좌측지지판(51)의 중심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에는 좌측탑재판(41)의 후방측 저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하단결속암(22)이 X자로 힌지결합되고, 상단결속암(21)과 하단결속암(22)에 유압실린더(30)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후방좌측링크(13)와 상단이 우측탑재판(42)의 중심부에 힌지(hinge)결합되고 하단에는 우측지지판(52)의 후방측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상단결속암 (21)과, 하단이 우측지지판(52)의 중심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에는 우측탑재판(42)의 후방측 저면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는 하단결속암(22)이 X자로 힌지결합되고, 상단결속암(21)과 하단결속암(22)에 유압실린더(30)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후방우측링크(14)로 구성되어, 유압실린더 (30)가 신축됨에 따라 탑재프레임(40)이 승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X자식 자동차 리프트.
KR1020190151883A 2019-11-25 2019-11-25 2중 x자 리프트 KR20210063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83A KR20210063583A (ko) 2019-11-25 2019-11-25 2중 x자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83A KR20210063583A (ko) 2019-11-25 2019-11-25 2중 x자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583A true KR20210063583A (ko) 2021-06-02

Family

ID=7637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883A KR20210063583A (ko) 2019-11-25 2019-11-25 2중 x자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35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538B1 (ko) 2021-11-24 2022-05-30 손형원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538B1 (ko) 2021-11-24 2022-05-30 손형원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208B1 (ko) 다중 링크식 자동차 리프트
CN104129738B (zh) 叉车三级全自由门架总成
CN103482487B (zh) 模块化的自走式起重机
CN102730579B (zh) 支座及具有其的汽车起重机
US3223251A (en) Displaceable jack for automotive vehicles
KR20210063583A (ko) 2중 x자 리프트
CN204777770U (zh) 一种桥面宽度可扩展的移动式登车桥
AU2017318205B2 (en) Industrial truck and drive wheel bearing device for industrial trucks
CN106347196A (zh) 汽车尾板
CN105216882A (zh) 驾驶室升降装置
US4002242A (en) Vehicle cranes
CN203699742U (zh) 起重机械的底盘支承结构及起重机
CN213011775U (zh) 一种便于分开的双液压升降平台
CN107284333A (zh) 驾驶室上方装载台的翻转装置
CN86101757A (zh) 自行式起重机的横向移动装置
CN2878312Y (zh) 一种新型结构的轮胎式提梁机
CN203094212U (zh) 履带架、履带架装卸辅助装置及履带式工程机械
CN110577168A (zh) 一种能调节平衡的可移动式汽车维修升降平台
CN104512393B (zh) 一种清障车前支腿结构
US3004630A (en) Automotive frame lift means
KR20200113968A (ko) 차량정비시 차종에 따른 리프팅 장치
CN217347751U (zh) 副车架结构及作业车辆
KR102311197B1 (ko)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
RU2571481C2 (ru) Кран на автомобильной мастерской
CN210653394U (zh) 一种备胎升降装置及应用该装置的重型汽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