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197B1 -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 - Google Patents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197B1
KR102311197B1 KR1020190168725A KR20190168725A KR102311197B1 KR 102311197 B1 KR102311197 B1 KR 102311197B1 KR 1020190168725 A KR1020190168725 A KR 1020190168725A KR 20190168725 A KR20190168725 A KR 20190168725A KR 102311197 B1 KR102311197 B1 KR 10231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pport frame
frame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270A (ko
Inventor
김용주
곽득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Priority to KR102019016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1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밴 타입 고소작업차로서, 고소작업 장치와 밴 차량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차량프레임에 면접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을 고소작업 장치와 연결하는 체결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밴 타입 차량의 프레임 형식에 무관하게 고소작업 장치의 결합 안정성이 증대되며, 경사진 전방아웃트리거와 문개폐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차체의 손상 가능성을 줄인다.

Description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Van equipped with lift device}
본 발명은 고소작업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높은 장소의 작업을 위해 작업자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 장치를 밴 타입의 차량과 결합한 특수 목적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고소작업 차량이란 특장차의 한 종류로서, 작업자가 탈 수 있는 작업대를 상승시켜 높은 장소에서 작업 가능한 설비를 가진 차량을 말한다. 주로 건물 내/외부 비계 구조물의 설치, 전기통신 설비의 가설 및 유지보수, 공장 천장의 설비보수, 교량 점검 및 보수 작업 등에 사용된다.
고소작업차는 작업대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기계적 구조에 따라 신축붐 형, 시저 형, 관절형 또는 굴절형 등이 있으며, 주행 방식에 따라 트럭형, 견인형 크레인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트럭형은 트럭 형식의 차량에 고소작업 장치를 결합한 것으로서 국내에서 그와 관련된 선행문헌을 찾아볼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56620호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한편,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는 고소작업 장치를 밴 차량에 결합한 형태이다. 밴 차량의 장점이 고소작업차에 적용되었으며, 밴 차량은 박스 형태의 차체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각종 공구의 보관 또는 작업자의 휴식공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는 유럽과 일본 등의 국가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현재까지 국내에는 도입되지 않았으며 자체적으로 개발된 사례가 없다.
특장차 제조업체는 통상적으로 기존의 완성 차량에 별도 제작한 고소작업 장치를 결합하여 고소작업차를 제조한다. 따라서, 완성 차량의 외형, 무게, 구조 및 강성 등 여러 조건이 고소작업차의 제작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다. 상기 조건들은 차량마다 다르므로 차량의 조건에 적절하게 고소작업 장치를 결합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있다.
종래에 차량형 고소작업차는 고소작업 장치의 프레임과 차량의 프레임을 결합한 것으로서, 이때 차량은 사다리형의 골격을 가진 프레임바디에 차체를 올려놓은 구조로 형성되었다. 프레임바디는 견고함과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트럭이나 오프로드용 SUV 차량 등에 주로 활용되는데, 견고한 만큼 중량물인 고소작업 장치를 결합하는 것이 무난하게 가능하였다.
그러나 차량 프레임과 차체가 일체로 형성된 모노코크바디의 경우, 강성이 프레임바디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고소작업 장치를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높은 연비와 운동 성능을 요구하는 트렌드에 의해 모노코크 바디구조를 채택하는 차량은 점차 늘고있는 반면, 이러한 형식의 차체와 고소작업 장치를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기술은 부재하다. 밴 차량 역시 경량화 목적과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모노코크 바디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연비 등을 이유로 철판 두께를 가능한 얇게 만들어 중량물인 고소작업 장치를 결합하는 것에 더욱 어려움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그 밖에도, 고소작업을 위한 필수 구성인 아웃트리거의 경우 잭 장치가 차량 하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지면을 지지해야 하는데, 완성 차량의 하부 구성품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기가 쉽지 않다.
국내의 도로 및 작업 환경에서 밴 타입 고소작업차의 장점이 예상되는바, 전술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고소작업 장치와 차량이 안정적으로 결합 된 밴 타입 고소작업차의 필요성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566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밴 차량과 고소작업 장치가 차량 프레임 형식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고소작업 장치의 결합을 위한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한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는 밴 차량과 상기 차량의 차량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차량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지붕을 관통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 상단에 연결되어 신축 또는 굴절이 가능한 붐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가 평행하게 형성된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의 횡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은 상기 차량프레임의 선형을 따라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차량프레임의 하면 또는 측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판은, 상기 차량프레임의 하면에 면접하는 제1 판과 상기 제1 판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프레임의 측면에 면접하는 제2 판 및 상기 제2 판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구와 연결되는 제3 판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구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브라켓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볼트가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3 판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차량프레임을 연결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부재의 양 측면에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볼트는 절곡되어, 상기 볼트의 양단이 대칭으로 형성된 두 개의 상기 브라켓을 각각 관통하며, 상기 볼트가 상기 제1 판을 받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좌측편과 우측편에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중간부에 상기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기둥은 제1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형성된 전방아웃트리거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아웃트리거는 상기 차량의 옆면을 통과하여 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아웃트리거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의 옆문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성 차량과 고소작업 장치의 결합 안정성이 향상되어, 차량의 운행 또는 고소작업 장치 작동 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낮춘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완성된 차량의 프레임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차량을 고소작업 장치와 결합할 수 있어 기술의 적용 범위를 확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생산 단가를 낮춘 프레임 형식에 적용 가능하므로 밴 타입 고소작업차의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미래에 예상되는 차량의 프레임 변화에도 쉽게 대응하여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최소한의 부품으로 결합 효과를 극대화한바 차량에 실리는 무게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밴 차량의 하부 구성품 배치와 무관하게 아웃트리거의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아웃트리거는 경사형으로 구비되어 동작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차량 옆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오작동으로 장비 또는 차량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 타입 고소작업차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 타입 고소작업차의 차량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 타입 고소작업차의 차량프레임과 이에 결합된 고소작업 장치의 지지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차량프레임과 고소작업 장치의 지지프레임이 연결된 연결부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 타입 고소작업차의 연결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 타입 고소작업차의 전방아웃트리거의 정면도이다.
도6은 전방아웃트리거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1,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 타입 고소작업차(10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2a 및 도2b는 차량프레임(110)과 고소작업장치의 지지프레임(120)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 타입 고소작업차(100)는 밴 차량과 상기 차량에 연결된 고소작업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고소작업 장치는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차량프레임(110)에 연결된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지붕을 관통하는 지지기둥(12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125)의 상단에 연결된 붐대(126)와 상기 붐대(126)의 일단에 연결된 작업대(127)를 포함할 수 있다.
밴 차량은 일반 승합차로서, 국내 또는 해외의 차량 제조사에서 제작된 승합차를 포함한다. 밴 차량의 차체(102)는 제작하는 방식에 따라 프레임 바디와 모노코크 바디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밴 차량은 모든 바디 형식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는 기본적인 차체 구조로서, 골격 프레임에 엔진과 변속기, 타이어 등의 파워트레인을 붙이고, 그 위에 별도로 제작한 차체를 올리는 형식이다. 모노코크 바디는 프레임과 차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모노코크 바디가 프레임 바디에 비하여 제조 비용과 연비, 주행 성능 면에서 우수하나 차량의 강성이 약하여 고소작업 장치를 연결하는 데에는 부적합한 구조이다. 다만, 본 발명은 모노코크 바디 형식의 밴 차량에도 안정적으로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모노코크 바디 형식의 밴 차량을 예로들어 설명하였다.
차량프레임(110)은 차체(102)의 하부에 위치하며, 차체(10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과 횡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차량프레임(110)의 세부 형상은 밴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차량프레임(110)은 차체(102)의 하부에 일체화되고 아래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지프레임(120)은 고소작업 장치의 일부분으로서 차량과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다. 지지프레임(120)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가 평행하게 형성된 제1 지지프레임(121)과 차량의 횡 상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121)의 사이에 연결된 제2 지지프레임(122)을 포함한다.
제1 지지프레임(121)과 제2 지지프레임(122)은 차량프레임(110)의 선형을 따라 그 상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고소작업 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한편 차량과 단단히 연결되도록 적절한 강성을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20)의 선형 배치가 차량프레임(110) 선형 배치와 일치하여, 고소작업 장치의 하중을 차량 프레임에 분산시키고 차체(102)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조지지프레임(160)은 차량의 종 또는 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지지프레임(121) 또는 제2 지지프레임(122)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지지프레임(160)은 고소작업 장치의 하중을 차체(102)의 저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한편, 지지프레임(120)의 상부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한다. 보조지지프레임(160)은 밴 차량이 수용할 수 있는 하중을 고려하여 가벼우면서 효율적인 구조를 갖도록 배치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도3은 도2b에서 도시된 연결부(150)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4는 연결부(15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연결부(150)는 지지프레임(120)과 차량프레임(11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차량프레임(110)의 하면 또는 측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되는 보강판(151)과 상기 보강판(151)을 지지프레임(120)에 연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이하, 지지프레임(120)을 지칭함은 제1 지지프레임(121) 또는 제2 지지프레임(122)인 것으로 해석한다.)
보강판(151)은 차체(102)의 하부에 돌출된 차량프레임(110)을 면접하여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강판(151)은 차량프레임(110)의 하면에 면접하는 제1 판(152)과, 상기 제1 판(152)에 연결되어 차량프레임(110)의 측면에 면접하는 제2 판(153) 및 상기 제2 판(153)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구에 의해 지지프레임(120)과 연결되는 제3 판(154)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판(151)은 연결부(150)에 작용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적절한 강성을 가져야 하며, 무게를 최소화하여 밴 차량이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보강판(151)의 형상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당업자”라고 함)이 차량프레임(110)의 단면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할 것이다.
체결구와 브라켓(123)은 지지프레임(120)과 차량프레임(110)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체결구는 볼트(155)와 너트(156), 와셔(157)를 포함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브라켓(123)은 지지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며, 지지프레임(120)의 양 측면에 대칭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23)은 차량하부철판(103)에 면접하는 가로브라켓(123b)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브라켓(123b)은 홀이 구비되어 볼트(155)가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23)은 상기 가로브라켓(123b)과 지지프레임(120)의 측면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세로브라켓(12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브라켓(123a)은 상기 가로브라켓(123b)이 하중으로 인해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한다.
볼트(155)는 가로브라켓(123b)과 차량하부철판(103) 및 보강판(151)을 관통하여 너트(156)와 체결됨으로써 지지프레임(120)과 차량프레임(110)을 연결할 수 있다. 도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는 볼트(155)가 보강판(151)의 제3 판(154)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다.
또한, 볼트(155)는 절곡되어 보강판(151)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155)의 양단은 지지프레임(120)에서 대칭으로 형성된 각각의 가로브라켓(123b)을 관통하고, 너트(156) 체결 시 볼트(155)가 보강판(151)을 받치게 된다. 도4는 U자형 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볼트(15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강판(151)의 형상에 따라 볼트의 형상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155)는 보강판(151)의 제1 판(152)을 받치며 보강판(151)을 지지한다. 볼트(155)의 단부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너트(156)와 결합할 수 있고, 와셔(157)를 이용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연결부(150)는 도2b와 같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50)는 제1 지지프레임(121)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고, 제2 지지프레임(122)의 좌측과 우측에 대칭으로 구비된다. 차량의 종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균형을 맞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프레임(121)의 중간부에 연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50)의 개수가 많을수록 차량과 고소작업 장치의 결합 효과는 증대되지만, 차량의 하중이 증가하므로 차량의 정격하중을 고려한 최적화가 필요하다. 고소작업 장치 자체의 무게도 상당하므로 연결 구성의 무게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 하부에 형성된 완성 차량 부품과의 간섭을 고려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밴 타입 고소작업차(100)의 전방아웃트리거(130)가 도시된다. 전방아웃트리거(130)는 지지기둥(125)의 상부에 연결되며, 차량의 측면을 향하고 하향 경사져 형성된다. 이때, 지지기둥(125)은 제1 지지프레임(121)의 전방에 연결된다. 밴 차량의 후방공간에서 지지기둥(125)을 최대한 차량의 전방으로 배치하는 것이 고소작업차 전체의 균형에 바람직하다. 전방아웃트리거(130)는 신축이 가능하며, 차량의 좌우 측면을 통과하여 지면을 지지한다.
또한, 전방아웃트리거(130)는 좌우 대칭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대칭 형성된 전방아웃트리거(130)가 안정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전방아웃트리거 상단받침(132)과 전방아웃트리거 하단받침(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아웃트리거 상단받침(132)은 대칭 형성된 전방아웃트리거(13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고, 지지기둥(125)에 고정될 수 있다. 전방아웃트리거 하단받침(133)은 전방아웃트리거(130)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며, 제1 지지프레임(121)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6은 밴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 전방아웃트리거(130)의 모습과 전방아웃트리거(130)가 신장하여 지면을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작업자는 밴 차량의 옆문을 열고, 전방아웃트리거(130)를 신장시켜 지면을 지지하도록 할 것이다. 이때, 차량의 옆문을 열지 않고 전방아웃트리거(130)를 오작동 시 문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문개폐감지센서(13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문개폐감지센서(131)는 전방아웃트리거(130)에 연결되어 차량 옆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한다. 전방아웃트리거(130)는 차량의 옆문이 닫혀있는 경우 신장할 수 없도록 제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아웃트리거(130)는 신장 시 차량하부철판(103)을 관통하지 않으므로 설치하더라도 차체(102)의 강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며, 모노코크 바디 형식의 약점을 보완한다. 또한, 수직, 수평 부재의 조합이 아닌 경사 부재를 채택하여 수평과 수직 방향 신축을 요구하는 아웃트리거 대비 신축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문개폐감지센서(131)에 의해 안전한 조작이 가능하다.
한편, 밴 타입 고소작업차(100)는 차량의 후방에 후방아웃트리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 및 도2b를 참조하면, 후방아웃트리거(140)는 제1 지지프레임(121)의 후단에 연결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후방아웃트리거(140)의 작동 시 밴 차량의 하부에 구비된 다른 부품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밴 타입 고소작업차(100)는 차량의 후방에 작업대(127)를 거치할 받침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128)는 제1 지지프레임(121)의 최후단에 위치한 연결부(1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적절한 형상과 구조를 가진 연결 부재를 통해 당업자가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 타입 고소작업차
102: 차체
103: 차량하부철판
110: 차량프레임
120: 지지프레임
121: 제1 지지프레임
122: 제2 지지프레임
123: 브라켓
123a: 세로브라켓
123b: 가로브라켓
125: 지지기둥
126: 붐대
127: 작업대
128: 받침대
130: 전방아웃트리거
131: 문개폐감지센서
132: 전방아웃트리거 상단받침
133: 전방아웃트리거 하단받침
140: 후방아웃트리거
150: 연결부
151: 보강판
152: 제1 판
153: 제2 판
154: 제3 판
155: 볼트
156: 너트
157: 와셔
160: 보조지지프레임

Claims (9)

  1. 밴 차량;
    상기 차량의 차량프레임과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차량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지붕을 관통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연결되어 신축 또는 굴절이 가능한 붐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가 평행하게 형성된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의 횡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은 상기 차량프레임의 선형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차량프레임의 하면 또는 측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차량프레임의 하면에 면접하는 제1 판과, 상기 제1 판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프레임의 측면에 면접하는 제2 판 및, 상기 제2 판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구와 연결되는 제3 판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브라켓이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볼트가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3 판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차량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부재 양 측면에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볼트는 절곡되어, 상기 볼트의 양단이 대칭으로 형성된 두 개의 상기 브라켓을 각각 관통하며, 상기 볼트가 상기 제1 판을 받치고,
    상기 지지기둥은 제1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형성된 전방아웃트리거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아웃트리거는 상기 차량의 옆면을 통과하여 지면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 타입 고소작업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아웃트리거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의 옆문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 타입 고소작업차.
KR1020190168725A 2019-12-17 2019-12-17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 KR10231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25A KR102311197B1 (ko) 2019-12-17 2019-12-17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25A KR102311197B1 (ko) 2019-12-17 2019-12-17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270A KR20210077270A (ko) 2021-06-25
KR102311197B1 true KR102311197B1 (ko) 2021-10-13

Family

ID=7662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725A KR102311197B1 (ko) 2019-12-17 2019-12-17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1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2972Y2 (ja) * 1990-03-13 1997-01-22 株式会社タダノ 車載クレーンの取付けブラケット
JP2005225374A (ja) * 2004-02-13 2005-08-25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パワープラントマウント保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632A (ja) * 1996-12-26 1998-07-07 Shin Meiwa Ind Co Ltd バン型作業車輌におけるサブフレームの取付構造及び 取付方法
KR100556620B1 (ko) 2003-10-23 2006-03-06 이재호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2972Y2 (ja) * 1990-03-13 1997-01-22 株式会社タダノ 車載クレーンの取付けブラケット
JP2005225374A (ja) * 2004-02-13 2005-08-25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パワープラントマウント保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270A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5682B2 (en) Jigs and fixtures of CNG containers for motor vehicles
US9394146B2 (en) Assembling an auxiliary lifting unit on a mobile crane
JP5058853B2 (ja) 板状貨物の輸送用ウイング式コンテナ及びそれを積載するトレーラ
EP2407414A1 (de) Hubgerüst für ein Flurförderzeug
KR102311197B1 (ko)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
US20060186703A1 (en) Rops canopy of hydraulic shovel
KR101507626B1 (ko)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CN205472437U (zh) 伸缩臂和斜坡集成型举升机
CN103863206B (zh) 一种汽车顶盖内衬和侧气帘的支撑构件
CN210733945U (zh) 一种工程维修车
CN203651899U (zh) 一种车架前端安装支架
CN110576787A (zh) 一种工程维修车
EP2915771B1 (en) Forklift head-guard structure
KR101938978B1 (ko) 특장차량용 x자형 아웃트리거
US8595935B2 (en) Method of lifting a cab onto a chassis
KR20140122912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CN204210581U (zh) 车辆及其车体挡泥结构
KR101650889B1 (ko)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CN206589793U (zh) 一种悬臂支撑上车踏板
KR20210063583A (ko) 2중 x자 리프트
US20210155140A1 (en) Utilizing a liftgate assembly that hardware mounts to a vehicle body
CN214269917U (zh) 一种车辆
CN212151501U (zh) 一种叉车护顶架结构
CN107585457A (zh) 汽车运输架
CN219487557U (zh) 副车架结构及工程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