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183B1 -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183B1
KR101140183B1 KR1020100074162A KR20100074162A KR101140183B1 KR 101140183 B1 KR101140183 B1 KR 101140183B1 KR 1020100074162 A KR1020100074162 A KR 1020100074162A KR 20100074162 A KR20100074162 A KR 20100074162A KR 101140183 B1 KR101140183 B1 KR 101140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s
vehicle
locking
sid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168A (ko
Inventor
유운모
박원석
Original Assignee
박원석
유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석, 유운모 filed Critical 박원석
Priority to KR102010007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1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18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럭, 트럭 등을 개조한 특장차 등의 적재함에 위치한 도어들을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측면도어(D1, D1'), 윙도어(D3) 및 측면센터도어(D2)가 설치되어 형성된 적재함(B)을 포함하는 차량의 상기 도어들(D1,D1',D2,D3) 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윙도어(D3)의 단부에 고정되는 록킹부(100), 상기 측면센터도어(D2)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록킹부(100)와 체결되어 상기 도어들(D1,D1',D2,D3)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00) 및 상기 차량의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400) 및 측면센터도어(D2)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측면센터도어(D2)를 개폐시키는 개폐부(300)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among the doors of trucks}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럭, 트럭 등을 개조한 특장차 등의 적재함에 구비된 도어들을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럭 또는 특장차 등의 적재함을 형성하는 윙도어, 측면도어 및 측면센터도어를 개폐하는데 있어서 종래 공개특허 2002-820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판 측에 별도의 측판고정편을 두어 상기 측판고정편에 형성된 결합공을 개재하여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고정머리부와 손잡이고리가 형성된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였다.
트럭 또는 특장차 등의 측면도어는 화물을 적재하는데 필수적인 구성이다. 상기 화물을 적재하면서 측면도어의 존재로 인하여 적재하는데 불편하므로 일반적으로는 측면도어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하고, 적재된 후 닫는다. 이렇듯 측면도어의 개폐의 횟수는 빈번하다 할 수 있다.
빈번히 개폐되는 측면도어를 상기와 같은 공개특허 2002-82080호와 같은 개폐수단을 사용하다보면, 그 불편함으로 인하여 측면도어를 닫지 않은 상태 즉, 체결하지 않은 상태로 운행하는 경우도 있고, 제대로 닫히지 않은 상태로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트럭 또는 특장차가 커브길을 운행하는 도중 적재함에 실린 화물이 일측으로 쏠리면서 도로로 떨어질 수 있어,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KR10-0802346 B1 KR10-2002-0082080 A KR10-2009-0114584 A KR10-2010-0077130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볼트, 나사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체결수단과 측면 하부도어를 체결하거나, 래치(latch) 타입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트럭 또는 특장차의 도어들을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면도어(D1, D1'), 윙도어(D3) 및 측면센터도어(D2)가 설치되어 형성된 적재함(B)을 포함하는 차량의 상기 도어들(D1,D1',D2,D3) 간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센터도어(D2)의 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윙도어(D3)의 단부에 고정되는 록킹부(100); 상기 록킹부(100)와 인접하는 상기 측면센터도어(D2)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록킹부(100)와 체결되어 상기 도어들(D1,D1',D2,D3)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00); 및 상기 차량의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400) 및 측면센터도어(D2)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측면센터도어(D2)를 개폐시키는 개폐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외부에 로드(311)가 구비된 실린더(310); 상기 베이스프레임(4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부(321), 상기 실린더(310)에 구비된 로드(311)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321) 및 제2연결부(322)의 각각의 회전 중심과 연결하면 삼각형을 이루도록 제3의 회전 중심을 갖는 제3연결부(323)를 더 포함하는 제1링크(320); 및 일측은 상기 제1링크(320)의 제3연결부(323)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회동 가능하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측면센터도어(D2)와 연결되는 제2링크(3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윙도어(D3)의 단부에는 상기 윙도어(D3)의 길이방향으로 실링판넬(500)이 구비되며, 상기 실링판넬(500)의 일측면에 상기 록킹부(100)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링판넬(500)의 내부 일측에는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적재함(B)의 내부로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실링부재(6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5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센터도어(D2)의 단부는 윙도어(D3)와 측면센터도어(D2)가 닫혔을 때 실링판넬(500)의 내면과 접할 수 있도록 기역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700)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록킹부(100)는 양측면 하측부에 각각 제1삽입홀(111)이 형성된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의 제1삽입홀(111)에 제1핀(120)이 개재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삽입판(130);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측면센터도어(D2) 일측에 고정되는 체결판(210); 상기 체결판(210)의 상면에 고정되며, 양측면에 형성된 제2삽입홀(221) 및 상기 삽입판(1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판(210)의 상면에 고정되었을 때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절개부(222)를 구비하는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삽입홀(221)에 제2핀(240)이 개재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덮개판(23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고정부(200)의 하우징(220) 내면을 구획하며, 홀(251)이 구비된 제2격벽(250); 및 상기 제2핀(2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장공(262)이 구비된 제2장공부(261)와 상기 제2장공부(261)의 외주면에는 탄성수단(2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제2로드(263)가 구비된 제2스테이(260);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록킹부(100)는 상기 록킹부(100)의 몸체(110) 내면을 구획하며, 홀(141)이 구비된 제1격벽(140); 및 상기 제1핀(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장공(152)이 구비된 제1장공부(151)와 상기 제1장공부(151)의 외주면에는 탄성수단(1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제1로드(153)가 구비된 제1스테이(15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물의 적재시 사용자의 힘으로 트럭 또는 특장차의 측면 하부도어를 개폐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측면 하부도어가 기구학적으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서로 연결되어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윙바디 차량에 본 발명에 잠금장치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및 B 부분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록킹부 및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록킹부가 윙도어측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록킹부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록킹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부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부의 단면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부에 록킹부가 체결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부에 록킹부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에 따라 록킹된 후 윙도어와 측면도어의 실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개폐부를 나타내는 측면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개폐부가 측면센터도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개폐부가 측면센터도어를 열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개폐부 중 제1링크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은 측면도어(D1, D1'), 윙도어(D3) 및 측면센터도어(D2)가 설치되어 형성된 적재함(B)을 포함하는 차량의 상기 도어들(D1,D1',D2,D3) 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윙도어(D3)의 단부에 고정되는 록킹부(100), 상기 측면센터도어(D2)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록킹부(100)와 체결되어 상기 도어들(D1,D1',D2,D3)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00) 및 상기 차량의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400) 및 측면센터도어(D2)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측면센터도어(D2)를 개폐시키는 개폐부(30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들이라고 표현한 것과 관련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상기 도어들은 측면도어(D1, D1'), 윙도어(D3), 측면센터도어(D2)를 의미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개폐부(300)의 작동으로 측면센터도어(D2)를 잠그며, 윙도어(D3)의 작동과 함께 윙도어(D3)측에 구비된 록킹부(100)가 측면센터도어(D2)측으로 내려와 측면센터도어(D2) 일측에 구비된 고정부(200)와 체결되면서 윙바디 차량의 적재함이 밀폐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록킹부(100), 상기 록킹부(100)와 체결되는 고정부(200) 및 측면센터도어(D2)를 회동시키는 개폐부(300)로 구성되므로 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록킹부(100)가 윙도어(D3) 단부에 삽입 고정된 실링판넬(500)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를 (a) 및 (b)로 나누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록킹부(100)는 윙도어(D3)의 단부에 체결수단(B)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도 있으며, 윙도어(D3)의 단부에 상기 윙도어(D3)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실링판넬(500)이 구비되며, 상기 실링판넬(500)의 일측면에 상기 록킹부(100)가 체결될 수도 있다.
도 4(a)를 참고하여 상기 실링판넬(500)의 일측면측에 상기 록킹부(100)가 체결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면, 상기 실링판넬(500)의 일부면을 절개한 절개부(520)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에 상기 록킹부 몸체(110)의 단부(112)를 삽입한다. 상기 록킹부 몸체(110)의 상면에 천공된 홀(113)을 개재하여 체결기구, 이를 테면 볼트(B) 등을 이용하여 상기 록킹부(100)를 실링판넬(500)에 체결한다.
또는 도 4(b)를 참고하여 상기 실링판넬(500)의 배면측에 상기 록킹부 몸체(110)를 접촉시킨 후 볼트(B) 등을 이용하여 상기 록킹부(100)를 실링판넬(500)에 체결한다.
이러한 록킹부(100)에 대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록킹부(100)는 몸체(110), 제1핀(120), 삽입판(130), 격벽(140), 제1스테이(150) 및 탄성수단(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록킹부(100)의 몸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홀(113) 및 좌우 측면측에 제1삽입홀(111)이 구비된다. 상기 제1삽입홀(111)에는 삽입판(130)을 개재하여 제1핀(120)이 삽입된다. 상기 제1핀(120)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삽입판(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절곡부(13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곡부(131)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후술하는 고정부(200)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판(130)의 단부(132)가 고정부(200)의 체결판(210)측에 접촉하여 절개부(222)로 인하여 형성된 홈측에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판은 중공홀이 형성된 장공부(133)가 구비된다. 상기 장공부(133)는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장공부(133)에 형성된 중공홀에 상기 제1핀(120)이 삽입되어 상기 삽입판(130)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두 개의 장공부(133)사이에는 제1스테이(150)의 제1장공부(151) 및 제1장공부(151)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한 두 개의 토션스프링(170)이 상기 제1핀(120)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5와 같은 상기 토션스프링(170)의 일단부는 삽입판(130)의 일면측에 위치하며, 타단부는 격벽(140)에 형성된 토션스프링(170) 고정홀(142)에 삽입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상기 토션스프링(170)은 같이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θ)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윙도어(D3)가 수직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대략 원형을 그리며 회전운동을 하면서 측면도어(D1, D1') 또는 측면센터도어(D2)와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각도(θ)만큼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삽입판(130)에 형성된 절곡부(131)와 더불어 절개부(222)에 형성된 홈측으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윙도어(D3)를 열 때에도 상기 토션스프링(170)의 탄성력이 상기 소정각도(θ)만큼 기울어진 내측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삽입판(130)이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어 고정부(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탈된 상태에서도 상기 토션스프링(170)으로 인하여 상기 삽입판(130)이 항상 소정각도(θ)만큼 기울어져 있게 된다.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제1핀(120)에 개재된 제1스테이(150)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제1스테이(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공(152)이 형성된 제1장공부(151)가 구비되며, 그 외주면으로 돌출 형성된 제1로드(153)가 구비된다. 상기 제1로드(153)의 외주면측으로 탄성수단(160)이 개재된다. 여기서 탄성수단(160)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탄성수단(160)의 일단부는 제1장공부(151) 측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격벽(140)측에 접촉 고정된다. 이에 대하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에 형성된 제1삽입홀(111)은 타원형태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판(130)이 고정부(200) 측으로 삽입될 때에는 뒤쪽으로 밀렸다가(도 9의 (C)참조), 상기 탄성수단(160)의 복원력으로 삽입판(130)이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이다(도 9의 (D)참조). 또한 상기 탄성수단(160)은 제1삽입홀(111)이 장공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차량의 운행 중 진동 등에도 완충작용을 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도 7 등을 참고하여 고정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200)는 체결판(210), 하우징(220), 덮개판(230), 제2핀(240), 격벽(250), 제2스테이(260), 및 탄성수단(270)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0)의 체결판(210)은 도 1 및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도어(D1, D1') 일측 또는 측면센터도어(D2) 일측에 체결된다. 본 체결방법에 대하여는 용접, 볼트 체결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하우징(220)은 상기 체결판(210)의 상면에 고정되며, 양측면에 형성된 제2삽입홀(221) 및 상기 삽입판(1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판(210)의 상면에 고정되었을 때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절개부(222)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상기 제2삽입홀(221)은 타원형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홀(221)에는 덮개판(230)이 회동 가능하도록 제2핀(240)을 개재하여 상호간 체결된다.
상기 덮개판(230)이 상기 하우징(220)에 체결될 때 제2스테이(260)가 상기 덮개판(230)에 형성된 두 개의 홀(231)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2스테이(260)는 상기 제2핀(2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장공(262)이 구비된 제2장공부(261)와 상기 제2장공부(261)의 외주면에는 탄성수단(2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제2로드(263)가 구비된다. 아울러 제2장공부의 외주면측에는 스토퍼(264)가 돌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상기한 제2로드(263)의 제2로드(263)에 삽입되는 탄성수단(270)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도시하였다. 도 8을 참고하여 상기 탄성수단(270)의 일단은 제2장공부(261)의 외주면측에 접촉 고정되며, 타단은 격벽(250)에 접촉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제2로드(263)의 일단부는 격벽(250)에 형성된 홀(251)에 돌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고정부(2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220)의 양측에 형성된 제2삽입홀(221)에 제2핀(240)이 삽입될 때 상기 제2핀(240)의 일단부는 덮개판(230)의 홀(231), 제2장공부(261)의 장공(262)을 통과하여, 제2스테이(260) 및 덮개판(230)을 고정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230)은 덮개판(230) 홀(231)을 중심으로 수직선을 그었을 때 일정부분이 돌출될 수 있도록 절된 절곡부(232)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절곡부(232)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측면센터도어(D2)에 체결판(210)이 고정된 경우 자중에 의하여 상기 덮개판(230)이 일정각도(θ’)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체결시 이와 같이 일정각도(θ’)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여야 상기 삽입판(130)이 상기 덮개판(230)과 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230)이 지나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장공부(261)의 외주면측에 스토퍼(264)가 구비된다. 상기 스포터(264)는 상기 덮개판(230)이 일정각도(θ’) 기울기를 갖는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하우징(220) 측에 형성된 제2삽입홀(221)이 타원형 장공 형상을 이루고, 제2로드(263)에 탄성수단(270)이 개재됨으로 인하여 록킹부(110)의 삽입판(130)이 고정부(200)의 절개부(222) 측으로 삽입될 때 덮개판(230)이 후방으로 밀렸다가(도 9(C) 참조), 체결된 후에는 탄성수단(270)의 복원력으로 원래의 상태가 유지된다(도 9(D)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운행 중 진동 등에도 완충작용을 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 윙도어(D3)에는 실링판넬(500)이 구비된다. 상기 실링판넬(500)의 일측면에 록킹부(100)가 체결된다. 상기 실링판넬(500)의 내부 일측에는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적재함(B, 도 1 참고)의 내부로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실링부재(6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510)가 구비된다. 수용부는 그 단면의 형상이 대략 기역자형이며 양측으로 두 개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0과 같은 단면형상을 갖는 실링부재가 윙도어(D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센터도어(D2)의 단부는 윙도어(D3)와 측면센터도어(D2)가 닫혔을 때 실링판넬(500)의 내면과 접할 수 있도록 대략 기역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700)를 갖는다. 이로 인하여 내부로 이물질 또는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운행 중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도어(D1,D1',D2,D3)가 닫힌 상태일 때 측면도어(D1, D1')의 경우 측면도어(D1, D1')의 단부측이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600)의 일면과 상기 측면도어(D1, D1')의 일면이 상호 접촉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고하여 개폐부(300)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300)는 실린더(310), 제1링크(320) 및 제2링크(330) 등으로 구비된다.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실린더(31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외부에 로드(311)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310)는 공압 또는 유압 등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츄에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상술은 피하기로 한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여 제1링크(3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부(321), 상기 실린더(310)에 구비된 로드(311)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321) 및 제2연결부(322)의 각각의 회전 중심과 연결하면 삼각형을 이루도록 제3의 회전 중심을 갖는 제3연결부(323)가 구비된다. 즉, 도 13을 참고하여, 각각의 연결부(321, 322, 323)를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과 핀 결합 등을 통하여 베이스프레임(400) 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이라 표현 것은 각 연결부(321, 322, 323)에 형성된 홀의 중심(A, B, C)을 말한다.
상기한 제1링크(320)의 형상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대략 삼각형 형상의 판을 양쪽에 구비하고, 그 사이로 또 다른 판 등을 이용하여 용접하거나, 또는 원통형 또는 삼각기둥형 등 다면체를 상기한 삼각형 형상의 판 등에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여 제2링크(330)의 일측은 상기 제1링크(320)의 제3연결부(323)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회동 가능하도록 차량의 측면센터도어(D2)에 체결된다.
개폐부(300)의 작동과 관련하여,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였다. 도 13은 측면센터도어(D2)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4는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3을 참고하여 실린더(310)의 로드(311)가 제2연결부(322)를 밀어주면, 제1링크(320)와 베이스프레임(4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연결부(321)를 중심으로 제1링크(320)가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링크(320)의 제2연결부(323)에 연결된 제2링크(330)가 회동하게 되어 측면센터도어(D2)가 닫히게 된다. 이는 측면센터도어(D2)와 베이스프레임(400) 또는 베이스프레임(400)에 연결된 사이드프레임(450)이 힌지(451)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실린더(310)의 작동으로 인하여, 로드(311), 제1링크(320), 및 제2링크(330)로 순차적으로 힘이 전달되어 측면센터도어(D2)를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1, D1' : 측면도어 D2 : 측면센터도어
D3 : 윙도어 100 : 록킹부
110 : 몸체 120 : 제1핀 130 : 삽입판
140 : 제1격벽 150 : 제1스테이 160 : 탄성수단
200 : 고정부 210 : 체결판 220 : 하우징
230 : 덮개판 240 : 제2핀 250 : 제2격벽
260 : 제2스테이 270 : 탄성수단 300 : 개폐부
310 : 실린더 320 : 제1링크 330 : 제2링크
400 : 베이스프레임 500 : 실링판넬
600 : 실링부재 700 : 절곡부

Claims (7)

  1. 측면도어(D1, D1'), 윙도어(D3) 및 측면센터도어(D2)가 설치되어 형성된 적재함(B)을 포함하는 차량의 상기 도어들(D1,D1',D2,D3) 간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센터도어(D2)의 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윙도어(D3)의 단부에 고정되는 록킹부(100); 상기 록킹부(100)와 인접하는 상기 측면센터도어(D2)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록킹부(100)와 체결되어 상기 도어들(D1,D1',D2,D3)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00); 및 상기 차량의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400) 및 측면센터도어(D2)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측면센터도어(D2)를 개폐시키는 개폐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외부에 로드(311)가 구비된 실린더(310);
    상기 베이스프레임(4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부(321), 상기 실린더(310)에 구비된 로드(311)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321) 및 제2연결부(322)의 각각의 회전 중심과 연결하면 삼각형을 이루도록 제3의 회전 중심을 갖는 제3연결부(323)를 더 포함하는 제1링크(320); 및
    일측은 상기 제1링크(320)의 제3연결부(323)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회동 가능하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측면센터도어(D2)와 연결되는 제2링크(330);
    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윙도어(D3)의 단부에는 상기 윙도어(D3)의 길이방향으로 실링판넬(500)이 구비되며, 상기 실링판넬(500)의 일측면에 상기 록킹부(10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판넬(500)의 내부 일측에는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적재함(B)의 내부로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실링부재(6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5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센터도어(D2)의 단부는 윙도어(D3)와 측면센터도어(D2)가 닫혔을 때 실링판넬(500)의 내면과 접할 수 있도록 기역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7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100)는,
    양측면 하측부에 각각 제1삽입홀(111)이 형성된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의 제1삽입홀(111)에 제1핀(120)이 개재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삽입판(130);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측면센터도어(D2) 일측에 고정되는 체결판(210); 상기 체결판(210)의 상면에 고정되며, 양측면에 형성된 제2삽입홀(221) 및 상기 삽입판(1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판(210)의 상면에 고정되었을 때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절개부(222)를 구비하는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삽입홀(221)에 제2핀(240)이 개재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덮개판(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고정부(200)의 하우징(220) 내면을 구획하며, 홀(251)이 구비된 제2격벽(250); 및
    상기 제2핀(2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장공(262)이 구비된 제2장공부(261)와 상기 제2장공부(261)의 외주면에는 탄성수단(2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제2로드(263)가 구비된 제2스테이(2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100)는,
    상기 록킹부(100)의 몸체(110) 내면을 구획하며, 홀(141)이 구비된 제1격벽(140); 및
    상기 제1핀(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장공(152)이 구비된 제1장공부(151)와 상기 제1장공부(151)의 외주면에는 탄성수단(1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제1로드(153)가 구비된 제1스테이(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KR1020100074162A 2010-07-30 2010-07-30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KR101140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162A KR101140183B1 (ko) 2010-07-30 2010-07-30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162A KR101140183B1 (ko) 2010-07-30 2010-07-30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168A KR20120012168A (ko) 2012-02-09
KR101140183B1 true KR101140183B1 (ko) 2012-05-02

Family

ID=4583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162A KR101140183B1 (ko) 2010-07-30 2010-07-30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354B1 (ko) * 2013-08-22 2015-04-30 유운모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41B1 (ko) * 2013-03-21 2013-08-14 (주) 매그나텍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771Y1 (ko) 2002-11-12 2003-02-12 조선호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KR20080004766U (ko) * 2007-04-17 2008-10-22 유근수 윙바디의 윙 및 측방 도아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771Y1 (ko) 2002-11-12 2003-02-12 조선호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KR20080004766U (ko) * 2007-04-17 2008-10-22 유근수 윙바디의 윙 및 측방 도아 잠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354B1 (ko) * 2013-08-22 2015-04-30 유운모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168A (ko)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48678B (zh) 惯性驱动锁定装置
US20090250961A1 (en) Endgate Hinge for Motor Vehicle Having Dual Pivot Axes
JP4884558B2 (ja) 家具蝶番用扉緩衝器の固定装置
KR101140183B1 (ko)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CA3010181C (en) Door locking assembly
KR100983025B1 (ko) 윙바디 잠금장치
KR101034865B1 (ko)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및 측면도어 잠금장치
CN107700973A (zh) 一种汽车前门门锁装置
CN110099819A (zh) 钩装置
KR101516354B1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KR101218244B1 (ko)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US20050161172A1 (en) Roller mounting system of a rolling door assembly
KR100983816B1 (ko) 윙바디용 보조 게이트 잠금장치
KR102334316B1 (ko) 카라반 수납함 및 이를 사용한 카라반
US20170022741A1 (en) Door assembly for vehicles
KR101794674B1 (ko) 특장차 리프트게이트용 스토퍼
KR100456935B1 (ko) 트럭 적재함 개폐장치 구조
CN105971423B (zh) 具有可拆卸的盖的交通运输工具
GB2038406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oors
KR200329802Y1 (ko) 차량용 공구함
KR102447244B1 (ko) 차량용 캐빈형 도어락 구조체
KR100580718B1 (ko) 화물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KR100811223B1 (ko) 탄성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102212687B1 (ko) 차량 적재함용 수납함의 브래킷
KR100654983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