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771Y1 -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771Y1
KR200303771Y1 KR20-2002-0033750U KR20020033750U KR200303771Y1 KR 200303771 Y1 KR200303771 Y1 KR 200303771Y1 KR 20020033750 U KR20020033750 U KR 20020033750U KR 200303771 Y1 KR200303771 Y1 KR 200303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trap
frame
rear end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호
Original Assignee
조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호 filed Critical 조선호
Priority to KR20-2002-0033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7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3Tensioning by repetetive movement of an actua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버측의 결박해제편을 래칫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압축코일스프링의 형태로 하여 정확한 힘의 전달이 있도록 함으로써 결박해제시 결박해제편의 용이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걸림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후단에 그 후단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프레임의 후단과 레버의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결박용 벨트를 걸어 감아들이는 회전축, 회전축의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그 외주면에는 일방향성을 갖는 래칫이 형성된 래칫휠, 프레임과 레버의 가이드공에서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을 결박 해제시키는 결박해제편 및 프레임과 레버의 결박해제편 각각을 래칫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화물결박장치에 있어서, 레버의 내측면 혹은 외측면 후단으로부터 선단으로 일정길이의 보강편을 설치하되 보강편의 후단은 레버 후단과의 사이에 래칫휠이 위치되는 휠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레버측 탄성스프링으로는 힘의 전달이 정확하도록 결박해제편의 선단 중심에 압축 코일스프링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Freight binding apparatus for a truck}
본 고안은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자동차에 적재된 화물을 보다 용이하게 결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물의 결박상태를 안정감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결박해제 또한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 하부에는 다수의 결박용 걸림고리가 구비되어 있어 화물차의 적재함이 적재된 화물을 결박시키고자 할 때 결박용 로프 등을 걸어 화물을 결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화물차에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결박하기 위해 결박용 걸림고리를 적재함의 하부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십 개를 설치하여 화물차의 좌우측을 왕래하면서 결박용 걸림고리에 결박용 로프를 걸어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결박하게 된다. 이때, 결박용 로프는 화물의 상부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화물을 결박하기 위한 결박용 걸림고리 구조는 화물의 결박시 인원이 두 명 이상을 요하는 문제가 있다. 즉, 화물차의 좌우측 각각에서 결박용 로프를 당기거나 격박용 걸림고리에 거는 작업을 수행하는 두 명의 인원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며, 이에 더하여 화물의 상부에서 결박용 로프를 당겨주는 보조인원이 더 필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물의 결박구조는 화물차에2인 이상이 상시 동승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화물의 결박시 작업자의 손에 의한 화물의 결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험이 따르게 되며, 또한 작업시간의 지연으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물의 결박구조가 갖는 문제점을 극복하여 혼자서도 보다 용이하게 화물을 결박시킬 수 있는 장치의 필요에 따라 개발된 것이 화물결박장치라는 것이다. 다음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물의 결박구조가 갖는 문제점을 극복하여 혼자서도 보다 용이하게 화물을 결박시킬 수 있는 화물결박장치를 보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종래의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에서 결박해제편의 문제점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물결박장치(10)는 선단에 걸림고리(12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12), 프레임(12)의 후단에 그 후단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14), 프레임(12)의 후단과 레버(14)의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결박용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감아들이는 회전축(16), 회전축(16)의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그 외주면에는 일방향성을 갖는 래칫(18a)이 형성된 래칫휠(18), 프레임(12)과 레버(14)의 후반부 각각에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18a)을 결박 해제시키는 결박해제편(20, 22) 및 프레임(12)과 레버(14)의 결박해제편(20, 22) 각각을 래칫(18a)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20a, 22a)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물결박장치와 같이 레버측의 결박해제편을 래칫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의 형태가 비틀림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결박해제편의 결박 해제시 직진 이동하지 않고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박해제편이 일측만 들어올려져 래칫의 걸림이 해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결박해제편이 일측만 들어올려지는 것은 비트림 스프링의 탄성력이 결박해제편의 어느 한 방향으로 그 힘이 편중되지 때문이다.
또한, 도 1 및 도 2 에서와 같이 래칫휠이 프레임과 레버 사이에 위치되어 노출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강한 결박압력으로 인하여 래칫휠의 래칫에 물리는 결박해제편이 결박시에 작용하는 기장력을 이기지 못해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버측의 결박해제편을 래칫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압축코일스프링의 형태로 하여 정확한 힘의 전달이 있도록 함으로써 결박해제시 결박해제편의 용이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레버의 내측면 혹은 외측면 상에 보강편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 래칫휠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결박압력에도 결박해제편의 래칫이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종래의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에서 결박해제편의 문제점을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의 작용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물결박장치 110. 프레임
120. 레버 130. 회전축
140. 래칫휠 142. 래칫
150, 150a. 결박해제편
160, 160a. 탄성스프링(압축 코일스프링
170. 보강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는 선단에 걸림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그 양측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프레임, 프레임의 후단에 그 후단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양측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레버, 프레임의 후단과 레버의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결박용 벨트를 걸어 감아들이는 회전축, 회전축의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그 외주면에는 일방향성을 갖는 래칫이 형성된 래칫휠, 프레임과 레버의 가이드공에서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을 결박 해제시키는 결박해제편 및 프레임과 레버의 결박해제편 각각을 래칫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화물결박장치에 있어서, 레버의 내측면 혹은 외측면 후단으로부터 선단으로 일정길이의 보강편을 설치하되 보강편의 후단은 레버 후단과의 사이에 래칫휠이 위치되는 휠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레버측 탄성스프링으로는 힘의 전달이 정확하도록 결박해제편의 선단 중심에 압축 코일스프링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의 작용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물결박장치(100)는 종래의 구성과 같이 선단에 걸림고리(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의 후단에 그 후단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120), 프레임(110)의 후단과 레버(120)의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결박용벨트(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감아들이는 회전축(130), 회전축(130)의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그 외주면에는 일방향성을 갖는 가는 래칫(142)이 형성된 래칫휠(140), 프레임(110)과 레버(120)의 후반부 각각에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142)을 결박 해제시키는 결박해제편(150, 150a) 및 프레임(110)과 레버(120)의 결박해제편(150, 150a) 각각을 래칫(142)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160, 160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더하여 레버(120)의 내측면 혹은 외측면에 설치되어 레버(120)의 후단을 보강하는 보강편(170)이 더 구성되고, 탄성스프링(160, 160a) 중 레버(120)측의 탄성스프링(160a)을 비틀림 스프링에서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개선한 것이 종래의 화물결박장치(100)와 다른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보강편(170)은 도 3 내지 도 5 에서와 같이 레버(120)의 양측 내측면 상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레버(120)의 양측 외측면 상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보강편(170)의 후단은 레버(120) 후단과의 사이에 래칫휠(140)이 위치되는 휠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그 양측면에는 레버(120)의 가이드공(122)과 동일한 크기 및 길이의 가이드공(172)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결박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10)은 화물 결박시 작업자에 의해 일정범위 회전되는 레버(120)에 비해 회전하지 않는 부분으로, 이 프레임(110)의 선단에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하부에 다수 구비되는 결박용 걸림고리(도시하지 않음)에 걸리게 되는 걸림고리(11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양측면에는 두 결박해제편(150,150a) 중 프레임(110)측에 구비되는 결박해제편(150)을 전후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공(114)이 형성된다.
레버(120)는 회전되지 않는 프레임(110)에 대해 화물의 결박시 작업자의 의해 회전되는 부분으로, 이 레버(120)의 후단은 프레임(110)의 후단과 회전축(130)에 의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레버(120)의 양측에는 두 결박해제편(150, 150a) 중 레버(120)측에 구비되는 결박해제편(150a)을 전후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공(122)이 전후로 일정길이 형성된다.
회전축(130)은 프레임(110)과 레버(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화물의 결박시 결박용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감아들이는 것으로, 이 회전축(130)은 프레임(110)과 레버(120)의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래칫휠(140)은 후술하는 결박해제편(150, 150a)과 함께 회전축(140)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래칫휠(140)의 외주면에는 일방향성의 래칫(142)이 형성되어 회전축(130)의 양단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래칫휠(140)은 프레임(110)과 레버(120)의 양 후단 사이에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래칫휠(140)은 화물의 결박시 프레임(110)의 반대 방향으로 레버(1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레버(120)측의 결박해제편(150a)에 의해 레버(12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프레임(110)측의 결박해제편(150)과 래칫(142)의 걸림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레버(120)를 프레임(110)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래칫휠(140)은 프레임(110)측의 결박해제편(150)에 의해 걸림이 유지된 상태로 회전되지 않고, 레버(120)만 회전된다.
결박해제편(150, 150a)은 결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한편 결박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으로, 이 두 결박해제편(150, 150a)은 프레임(110)과 레버(120) 각각의 가이드공(114, 122)에서 일정길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결박해제편(150, 150a) 양측에는 프레임(110)과 레버(120) 각각의 가이드공(114, 122)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편(150-1, 150a-1)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결박해제편(150, 150a) 각각은 프레임(110)과 레버(120) 각각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160, 160a)에 의해 가압되어 그 후단이 래칫휠(140)의 래칫(142)에 걸림된다.
탄성스프링(160, 160a)은 결박해제편(150, 150a)을 래칫휠(140)의 래칫(142)에 걸림되도록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각각의 탄성스프링(160, 160a)은 각각의 결박해제편(150, 150a)을 동일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 압축 코일스프링(160, 160a)은 힘의 전달이 정확하도록 결박해제편(150, 150a)의 선단 중심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코일스프링(160, 160a)은 힘의 전달이 정확하도록 결박해제편(150, 150a)의 선단 중심에 설치함으로써 압축 코일스프링(160, 160a)에 의해 가압되는 반대의 방향으로 결박해제편(150, 150a)을 들어 올리는 경우 결박해제편(150, 150a)이 일방향으로 기울지 않고 양측이 동일하게 들어 올려진다.
보강편(170)은 레버(120)의 양측을 보강하는 한편 래칫휠(140)을 보호하기위한 것으로, 이 보강편(170)은 레버(120) 양측의 내측면 혹은 외측면 상에 설치된다. 이때, 보강편(170)의 후단은 레버(120) 후단과의 사이에 래칫휠(140)이 위치되는 휠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벌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보강편(170)의 양측면에는 레버(120)의 가이드공(122)과 동일한 크기 및 길이의 가이드공(172)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화물결박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물을 결박시키고자 걸림고리(112)를 화물차의 적재함 하부에 다수 구비된 결박용 걸림고리(도시하지 않음)에 걸고, 회전축(130)에는 타측으로부터 화물 상부를 거친 결박용 벨트를 걸은 상태에서 프레임(110)으로부터 레버(120)를 벌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레버(120)측의 결박해제편(150a)은 래칫(142)에 걸린 상태로 래칫휠(140)을 레버(12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130) 역시 레버(12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축(130) 상에 감긴 결박용 벨트를 감아 들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130)의 회전에 의해 결박용 벨트를 감아 들임으로써 화물의 결박상태는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프레임(110)측의 결박해제편(150)은 래칫(142)에 걸림이 없이 래칫휠(14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래칫(142)의 면을 타고 넘게 된다.
그리고, 다시 한번 결박용 벨트를 감아 들이고자 레버(120)를 프레임(110)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프레임(110)측의 결박해제편(150)은 래칫(142)에 걸린 상태로 래칫휠(14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레버(120)측의 결박해제편(150a)은 래칫(142)에 걸림이 없이 래칫(142)의 면을 타고 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120)를 프레임(110)에 대해서 벌렸다 오므렸다 하는 반복작용에서 결박용 벨트는 회전축(130) 상에 감기게 되어 결박용 벨트의 결박상태가 보다 강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두 결박해제편(150, 150a)은 래칫휠(140)을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반면, 결박용 벨트의 결박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프레임(110)과 레버(120) 각각의 결박해제편(150, 150a)을 래칫(142)과 걸림해시키게 되면 회전축(130)이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결박된 벨트를 해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즉, 래칫휠(14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결박해제편(150, 150a)과 래칫(142)과의 걸림을 모도 해제시키게 되면 래칫휠(140)의 역방향 외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박상태를 해제시킬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보강편(170)을 통해 레버(120)의 양측을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사이에 래칫휠(140)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결발압력에도 래칫휠(140)의 래칫(142)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 코일스프링(160, 160a)을 통해 균등한 힘을 전달시킴으로써 결박해제편(150, 150a)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레버측의 결박해제편을 래칫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압축코일스프링의 형태로 하여 정확한 힘의 전달이 있도록 함으로써 결박해제시 결박해제편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결박해제편의 용이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결박해제편과 래칫의 걸림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레버의 내측면 혹은 외측면 상에 보강편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 래칫휠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결박압력에도 결박해제편의 래칫이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선단에 걸림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그 양측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그 후단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양측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레버, 상기 프레임의 후단과 레버의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결박용 벨트를 걸어 감아들이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그 외주면에는 일방향성을 갖는 래칫이 형성된 래칫휠, 상기 프레임과 레버의 가이드공에서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을 결박 해제시키는 결박해제편 및 상기 프레임과 레버의 결박해제편 각각을 상기 래칫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화물결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내측면 혹은 외측면 후단으로부터 선단으로 일정길이의 보강편을 설치하되 상기 보강편의 후단은 상기 레버 후단과의 사이에 상기 래칫휠이 위치되는 휠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레버측 탄성스프링으로는 힘의 전달이 정확하도록 결박해제편의 선단 중심에 압축 코일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화물결박장치.
KR20-2002-0033750U 2002-11-12 2002-11-12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KR200303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750U KR200303771Y1 (ko) 2002-11-12 2002-11-12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750U KR200303771Y1 (ko) 2002-11-12 2002-11-12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771Y1 true KR200303771Y1 (ko) 2003-02-12

Family

ID=4940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750U KR200303771Y1 (ko) 2002-11-12 2002-11-12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77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816B1 (ko) 2010-05-10 2010-09-27 (주)탑월드특장차 윙바디용 보조 게이트 잠금장치
KR101140183B1 (ko) 2010-07-30 2012-05-02 박원석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KR101409481B1 (ko) 2012-11-19 2014-07-02 선진산업 (주) 화물 결박용 벨트 조임장치
KR101429435B1 (ko) * 2014-04-18 2014-08-13 주식회사 카스글로벌 화물고정용 벨트의 결속장치
KR101503784B1 (ko) * 2014-05-14 2015-03-18 정진천 화물 고정 장치
KR101990511B1 (ko) 2018-10-31 2019-06-18 이현종 화물결박용 결박끈의 자동권취장치
KR20190124394A (ko) * 2018-04-26 2019-11-05 손철수 화물고정용 벨트일체형 자동바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816B1 (ko) 2010-05-10 2010-09-27 (주)탑월드특장차 윙바디용 보조 게이트 잠금장치
KR101140183B1 (ko) 2010-07-30 2012-05-02 박원석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KR101409481B1 (ko) 2012-11-19 2014-07-02 선진산업 (주) 화물 결박용 벨트 조임장치
KR101429435B1 (ko) * 2014-04-18 2014-08-13 주식회사 카스글로벌 화물고정용 벨트의 결속장치
KR101503784B1 (ko) * 2014-05-14 2015-03-18 정진천 화물 고정 장치
KR20190124394A (ko) * 2018-04-26 2019-11-05 손철수 화물고정용 벨트일체형 자동바
KR102064071B1 (ko) * 2018-04-26 2020-02-11 손철수 화물고정용 벨트일체형 자동바
KR101990511B1 (ko) 2018-10-31 2019-06-18 이현종 화물결박용 결박끈의 자동권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8889A (en) Load fasteners
US6547218B2 (en) Ratchet and cam buckle tensioning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same
CA2631857C (en) Cargo strap winch rewinding tool
US4913608A (en) Strap tightening device
GB1582410A (en) Package strand tensioner
US9266462B2 (en) Buckle assembly for tie down strap
US7360978B2 (en) Combination chain and strap tie down apparatus and system
EP2695771B1 (en) Multi-stage transmission tensioning device for automobile safety
US20060180800A1 (en) Winch,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associated thereto
CN203974660U (zh) 负载捆扎装置
KR200303771Y1 (ko) 화물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JPH01216139A (ja) ロープ把持装置
US7484917B2 (en) Strap tie down apparatus and system
US5316266A (en) Strap extender and tensioning system
US5101537A (en) Ratchet tie-down
JP5015033B2 (ja) 車両運搬車における被運搬車両のタイヤ固縛装置
US4293121A (en) Winch arrangement
US3077791A (en) Pawl and ratchet mechanism for load binding winch
US20030071251A1 (en) Belt reel assembly for fastening goods on a truck
AU2010251779A1 (en) A load binder
CA2417715A1 (en) Multifunction tie down winch,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securing cargo on a vehicle
US2669426A (en) Power unit
JP2005289342A (ja) 移動体の積荷緊縛装置
US8407865B2 (en) Tie-down tension enhancer
US2771930A (en) Tire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