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599B1 -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599B1
KR100878599B1 KR1020070095711A KR20070095711A KR100878599B1 KR 100878599 B1 KR100878599 B1 KR 100878599B1 KR 1020070095711 A KR1020070095711 A KR 1020070095711A KR 20070095711 A KR20070095711 A KR 20070095711A KR 100878599 B1 KR100878599 B1 KR 10087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gate
rotating body
closing
screw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형제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산업(주) filed Critical 형제산업(주)
Priority to KR102007009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제 1마감캡에 의해 마감되며, 하단에 화물차의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1날개판이 형성되는 제 1고정 바디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제 1고정 바디가 삽입 결합되고, 상단에 화물차의 사이드 게이트과 결합되는 제 2날개판이 형성되는 회전 바디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제 2마감캡에 의해 마감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 바디의 타단에 삽입 결합되고, 하단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3날개판이 형성되는 제 2고정 바디; 및 상기 제 1고정 바디와 회전 바디 및 제 2고정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제공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컴팩트한 바 타입으로 형성되어 무게가 가볍고, 차량에 부착이 용이하여 조립 및 정비가 용이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95711
화물, 차량, 탑차, 윙탑, 사이드 게이트, 힌지, 개폐, 보조

Description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CARGO LOADING BOX SIDE GATE OPEN AND SHUT ASSIST DEVICE OF CAR}
본 발명은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용이하게 사이드 게이트와 사이드 레일에 부착이 가능하고, 내부의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사이드 게이트의 회전시 힘을 제공하여 사이드 게이트가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차량의 상부에는 화물을 적재하고 적재된 화물이 차량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재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적재함은 통상적으로 화물이 안착되는 데크부와 상기 데크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프론트 가이드 프레임(FRONT GUIDE FRAME) 및 상기 데크부의 후면과 양측면에 힌지축을 매개로 하여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 게이트(REAR GATE)와 사이드 게이트(SIDE GAT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어 게이트와 사이드 게이트의 각각의 측부에는 통상적으로 'U'자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와 체결되는 걸림쇠가 구비되어 있어, 상 기한 걸림고리와 걸림쇠를 체결시킴으로서 적재함이 박스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그 내주면에 화물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이드 게이트는 통상적으로 상기 잠금수단을 해제한 후에 적재함의 내부에 화물을 싣고 사이드 게이트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측부에 부착된 잠금수단을 잠그게 되므로 탑재된 화물이 차량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적재함의 개폐가 이루어졌으나 개방되는 사이드 게이트의 자중에 의하여 회동되는 사이드 게이트가 자유 낙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적재함을 개폐하는 사이드 게이트는 비교적 중량체로서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작업이 용이치 못하였으며 특히 적재함을 개방한 사이드 게이트의 닫힘 동작이 용이치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게이트가 개방될 때 탄성력에 의하여 사이드 게이트가 완충되도록 하여 개방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개방된 사이드 게이트의 닫힘 동작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도록 하여 적재함의 개폐에 따른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화물차용 사이드 게이트 개폐 보조장치가 제공되었다.
도 1은 기존 사이드 게이트 개폐 보조장치가 장착된 적재함의 측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사이드 게이트의 개방시 개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 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였듯이, 적재함(1)의 양측부에는 힌지부(2)를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사이드 게이트(3)와 중량의 상기 사이드 게이트(3)를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도 개폐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개폐 보조장치(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개폐 보조장치(4)는 데크부(5) 하측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내측에 탄성부재(6)가 내설되며 상기 탄성부재(6)에 의하여 완충되는 완충장치(7)를 지지하는 소정 형상의 브래킷(8)과, 상기 브래킷(8)의 일측에 내설되는 탄성부재(6)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지되는 완충장치(7)는 일측 단부에 연결링크(9) 및 상기 브래킷(8)에 일측이 제 6힌지(10)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6)에 의하여 탄지되는 지지링크(11)가 제 5힌지(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완충링크(12)와, 상기 완충링크(12)와 제 6힌지(10)에 위해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9)가 제 4힌지(13)를 이용하여 힌지 결합되어 탄지되며 상기 브래킷(8)의 소정 위치에 제 3힌지(14)로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일측에는 개폐링크(15)가 제 2힌지(16)를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 링크(17)와, 상기 회동 링크(17)의 일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다른 일측 단부는 사이드 게이트(3)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지지 브래킷(18)에 제 1힌지(19)를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개폐링크(15)와 상기 개폐링크(15)와 힌지 결합되어 사이드 게이트(3)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 보조장치(4)는 개폐되는 사이드 게이트(3)의 회동에 따라 개폐링 크(15)와 회동링크(17), 그리고 연결링크(9)와 지지링크(11)가 회동되며 브래킷(8)의 탄성부재(6)에 의하여 완충링크(12)가 탄지되어 사이드 게이트(3)가 탄지되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 개폐 보조장치는 복잡 다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이유로 조립 및 정비 공정시 작업자의 조립 및 정비가 용이하지 않고, 자중이 매우 커서 차체의 무게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팩트한 바 타입으로 형성되어 무게가 가볍고, 차량에 부착이 용이하여 조립 및 정비가 용이하도록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제 1마감캡에 의해 마감되며, 하단에 화물차의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1날개판이 형성되는 제 1고정 바디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제 1고정 바디가 삽입 결합되고, 상단에 화물차의 사이드 게이트과 결합되는 제 2날개판이 형성되는 회전 바디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제 2마감캡에 의해 마감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 바디의 타단에 삽입 결합되고, 하단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3날개판이 형성되는 제 2고정 바디; 및 상기 제 1고정 바디와 회전 바디 및 제 2고정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제공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 제공 부재는 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선 형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전산 스크류와; 상기 가이드 홈의 전단인 상기 전산 스크류의 외측면에서 상기 전산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플라인 홈과; 상기 제 2고정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산 스크류의 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회전 바디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 홈과 치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산 스크류를 직선 운동시키는 전산 너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전산 스크류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 면접되는 부분이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경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킨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고정 바디는 상기 회전 바디와 결합되는 일단에 상기 회전 바디에 삽입되는 제 1결합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턱이 형성된 내측에 상기 전산 스크류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2고정 바디는 상기 회전 바디와 결합되는 타단에 상기 회전 바디에 삽입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 2결합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결합턱의 내측에서 상기 스플라인 홈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전산 스크류를 직진시키는 스플라인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에 따르면,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용이하게 사이드 게이트와 사이드 레일에 부착이 가능하고, 내부의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사이드 게이트의 회전시 힘을 제공하여 사이드 게이트가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100)는, 제 1고정 바디(110)와, 회전 바디(120)와, 제 2고정 바 디(130)와, 탄성 제공 부재(1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 1고정 바디(110)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제 1마감캡(111)에 의해 마감되며, 하단부에서 제 1날개판(113)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 1고정 바디(110)는 하기에서 설명할 회전 바디(120)와 결합되는 일단에 회전 바디(120)에 삽입되는 제 1결합턱(115)이 돌출 형성되고, 제 1결합턱(115)이 형성된 내측에 하기에서 설명할 탄성 제공 부재(140)의 전산 스크류(141)가 삽입되는 삽입홀(117)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제 1마감캡(111)은 제 1고정 바디(110)와 나사 결합되고, 그 표면에는 제 1고정 바디(110)와 나사 결합을 위한 제 1드라이버홈(112)이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제 1날개판(113)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홀(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바디(120)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제 1고정 바디(110)가 삽입 결합되고, 제 2날개판(121)이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 2날개판(121)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홀(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고정 바디(130)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제 2마감캡(131)에 의해 마감되며, 타단이 회전 바디(120)의 타단에 삽입 결합되고, 제 3날개판(133)이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 2고정 바디(130)는 회전 바디(120)와 결합되는 타단에 회전 바디(120)에 삽입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탄성 제공 부재(140)의 코일 스프링(145)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 2결합턱(135)이 돌출 형성되고, 제 2결합턱(135)의 내측에 탄성 제공 부재(140)의 스플라인 홈(143)과 치합되어 전산 스크류(141)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플라인 돌기(137)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제 2마감캡(132)은 제 1고정 바디(110)와 나사 결합되고, 그 표면에는 좌우 회전에 따라 하기에서 설명할 코일 스프링(145)의 압입 정도를 제어하여 코일 스프링(145)의 탄성을 제어하고, 제 1고정 바디(110)와 나사 결합을 위한 제 2드라이버홈(132)이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제 3날개판(133)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홀(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탄성 제공 부재(140)는 전산 스크류(141)와, 스플라인 홈(143)과, 코일 스프링(145)과, 전산 너트(147)로 구성된다.
전산 스크류(141)는 금속 재질로 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부 외측면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며 나선 형태로 가이드 홈(142)이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145)과 면접되는 부분이 코일 스프링(145)의 내경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145)을 압축시킨다.
스플라인 홈(143)은 제 2고정 바디(130)의 스플라인 돌기(137)가 치합되도록 가이드 홈(142)의 전단인 전산 스크류(141)의 외측면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며 전산 스크류(14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코일 스프링(145)은 제 2고정 바디(130)의 내측에서 제 2고정 바디(130)의 제 2마감캡(131)과 제 2결합턱(135)에 의해 삽입 고정되어 전산 스크류(141)의 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고, 수축 및 팽창에 의해 회전 바디(120)에 탄성을 제공한다.
전산 너트(147)는 회전 바디(12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에 가이드 홈(142)과 치합되는 가이드 돌기(148)가 형성되어 회전 바디(120)의 회전에 따라 전산 스크류(141)를 직선 운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조립 과정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가 사이드 게이트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제 1고정 바디(110)에 제 1마감캡(111)을 나사 결합시키고, 제 2고정 바디(130)에 코일 스프링(145)을 삽입한 다음 제 2마감캡(131)을 나사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전산 스크류(141)의 가이드 홈(142)을 회전 바디(1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전산 너트(147)의 가이드 돌기(148)에 회전시키면서 삽입시킨다.
그리고, 탄성 제공 부재(140)의 스플라인 홈(143)을 제 2고정 바디(130)에 형성된 스플라인 돌기(143)에 삽입 결합하면서 회전 바디(120)에 제 2고정 바디(130)의 제 2결합턱(135)을 삽입 고정시킨다.
또한, 회전 바디(120)에 제 1고정 바디(110)의 제 1결합턱(115)을 삽입 고정시킨다. 이때, 제 1고정 바디(110)와 제 2고정 바디(130)는 회전 바디(120)에 나사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부싱(미도시)에 의해 회전 바디(120)가 제 1고정 바 디(110) 및 제 2고정 바디(130)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차량의 사이드 레일(101)에 제 1고정 바디(110)의 제 1날개판(113)과, 제 2고정 바디(130)의 제 3날개판(133)을 고정시키고, 사이드 게이트(103)에 회전 바디(120)의 제 2날개판(121)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차량에 부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이드 게이트(103)를 열기 위해 이를 회전시키면, 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 바디(120)의 제 2날개판(121)이 회전을 되면서 결국 회전 바디(120) 전체가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 바디(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 바디(120)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된 전산 너트(147)가 회전을 하게 된다.
전산 너트(147)가 회전을 하게 되면, 전산 스크류(141)가 제 2고정 바디(130)와의 회전이 불가능하고, 직진만 가능한 스플라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산 스크류(141)의 가이드 홈(142)이 전산 너트(147)의 가이드 돌기(148)에서 미끄러지면서 전산 스크류(141)가 회전되지 못하고 도면상 좌측으로 직진하게 된다.
전산 스크류(141)가 직진 운동을 하게 되면, 코일 스프링(145)이 압착되면서 탄성, 즉 반발력이 발생하고, 이 반발력은 회전 바디(120)에 제공되기 때문에 사이드 게이트(103)에 작용되어 사이드 게이트(103)가 자중에 의해 급격히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부드럽게 개방시킨다.
이때, 회전 바디(120)가 180˚회전되기 때문에 사이드 게이트(103)도 180˚ 회전을 하게 된다.
반대로, 사이드 게이트(103)를 닫기 위해 상기와 반대로 역회전시키면 회전 바디(120)의 제 2날개판(121)이 역회전을 되면서 결국 회전 바디(120) 전체가 역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 바디(120)의 역회전에 의해 회전 바디(120)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된 전산 너트(147)가 역회전을 하게 된다.
전산 너트(147)가 역회전을 하게 되면, 전산 스크류(141)가 제 2고정 바디(130)와의 회전이 불가능한 스플라인 결합으로 인해 결국, 전산 스크류(141)의 가이드 홈(142)이 전산 너트(147)의 가이드 돌기(148)에서 미끄러지면서 전산 스크류(141)가 회전되지 못하고 도면상 우측으로 직진하게 된다.
전산 스크류(141)가 직진 운동을 하게 되면, 코일 스프링(145)의 압착이 풀리면서 탄성, 즉 복원력이 발생하고, 이 복원력은 회전 바디(120)에 제공되기 때문에 사이드 게이트(103)에 작용되어 사이드 게이트(103)를 상승시켜 적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폐쇄시킨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는 화물 차량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기존 사이드 게이트 개폐 보조장치가 장착된 적재함의 측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사이드 게이트의 개방시 개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가 사이드 게이트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1 : 사이드 프레임 103 : 사이드 게이트
110 : 제 1고정 바디 120 : 회전 바디
130 : 제 2고정 바디 140 : 탄성 제공 부재
141 : 전산 스크류 143 : 스플라인 홈
145 : 코일 스프링 147 : 전산 너트

Claims (5)

  1.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제 1마감캡에 의해 마감되며, 하단에 화물차의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1날개판이 형성되는 제 1고정 바디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제 1고정 바디가 삽입 결합되고, 상단에 화물차의 사이드 게이트과 결합되는 제 2날개판이 형성되는 회전 바디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제 2마감캡에 의해 마감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 바디의 타단에 삽입 결합되고, 하단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3날개판이 형성되는 제 2고정 바디; 및
    상기 제 1고정 바디와 회전 바디 및 제 2고정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시 탄성을 제공하도록 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선 형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전산 스크류와, 상기 가이드 홈의 전단인 상기 전산 스크류의 외측면에서 상기 전산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플라인 홈과, 상기 제 2고정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산 스크류의 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회전 바디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 홈과 치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산 스크류를 직선 운동시키는 전산 너트를 구비하는 탄성 제공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산 스크류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 면접되는 부분이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경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 바디는,
    상기 회전 바디와 결합되는 일단에 상기 회전 바디에 삽입되는 제 1결합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턱이 형성된 내측에 상기 전산 스크류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 바디는,
    상기 회전 바디와 결합되는 타단에 상기 회전 바디에 삽입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 2결합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결합턱의 내측에서 상기 스플라인 홈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전산 스크류를 직진시키는 스플라인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KR1020070095711A 2007-09-20 2007-09-20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KR100878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711A KR100878599B1 (ko) 2007-09-20 2007-09-20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711A KR100878599B1 (ko) 2007-09-20 2007-09-20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599B1 true KR100878599B1 (ko) 2009-01-15

Family

ID=4048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711A KR100878599B1 (ko) 2007-09-20 2007-09-20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5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6933A (zh) * 2017-05-03 2018-09-21 湖北江山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货运车可拓展车厢
CN108839719A (zh) * 2018-06-29 2018-11-2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货箱边板助力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968A (en) 1979-09-03 1981-04-15 Hamana Jidosha Kogyo Kk Track side gate board fittings
JPH07224833A (ja) * 1994-02-10 1995-08-22 Mitsubishi Alum Co Ltd 運搬車用蝶番
KR20060000632A (ko) * 2004-06-29 2006-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적재함 게이트용 힌지구조
KR20070025702A (ko) * 2005-09-05 200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적재함 게이트 힌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968A (en) 1979-09-03 1981-04-15 Hamana Jidosha Kogyo Kk Track side gate board fittings
JPH07224833A (ja) * 1994-02-10 1995-08-22 Mitsubishi Alum Co Ltd 運搬車用蝶番
KR20060000632A (ko) * 2004-06-29 2006-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적재함 게이트용 힌지구조
KR20070025702A (ko) * 2005-09-05 200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적재함 게이트 힌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6933A (zh) * 2017-05-03 2018-09-21 湖北江山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货运车可拓展车厢
CN108839719A (zh) * 2018-06-29 2018-11-2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货箱边板助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799B2 (en) Tailgate lift assist dampening device
KR100758154B1 (ko) 차량뒷문 리프트어시스트 구조
US7980621B2 (en) Vehicle rear door articulating mechanism
US3031225A (en) Tailgate mounting
US10422170B2 (en) Dual pivot laterally translating hinges
US9016773B2 (en) Hinge mechanism for a vehicle hood
KR100878599B1 (ko)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JPH1054172A (ja) ヒンジ装置
US20080201903A1 (en) Counterbalance hinge for vehicle closure
US7533922B1 (en) Vehicle endgate counterbalance
CN112211519A (zh) 具有螺纹式连接的闭合面板平衡机构
KR101082540B1 (ko)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EP1308375A2 (de) Fahrzeugklappe
CN106593152A (zh) 一种可调节锁闭机构
US8240735B2 (en) Tailgate damping/detent system
US20080197650A1 (en) Vehicle tailgate movement assist mechanism using plunger
US7448669B2 (en) Mechanism for opening a closure
KR101218244B1 (ko)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WO2008074136A1 (en) Vehicle hinge assembly with tunable spring assembly
US3111704A (en) Door hinge with friction type hold-open means
CA2584096C (en) Lift gate latch transfer mechanism
RU2777994C1 (ru) Натяжной замок для поворотной створ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3913422B2 (ja) バン型トラックの荷箱ドアはね上げ装置
JP2003154852A (ja) 跳ね上げ式ドアの開度調整装置
JP4130708B2 (ja) バン型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