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282Y1 -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282Y1
KR0130282Y1 KR2019950044908U KR19950044908U KR0130282Y1 KR 0130282 Y1 KR0130282 Y1 KR 0130282Y1 KR 2019950044908 U KR2019950044908 U KR 2019950044908U KR 19950044908 U KR19950044908 U KR 19950044908U KR 0130282 Y1 KR0130282 Y1 KR 0130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oupled
closed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807U (ko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4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282Y1/ko
Publication of KR9700398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8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2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개폐시 충격을 흡수하여 도어를 부드럽고 손쉽게 개폐함으로써 웨더스트립(Weather Strip)의 실링(Sealing)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어가 닫힐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줄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좌·우측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은 볼트(28)에 의해 차체프레임(1) 상에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 가능한 공간(42)을 갖는 브라켓(40)과, 상기 공간(42)으로 삽입되어 힌지핀(44)에 의해 회전되는 제1지지봉(30)과, 상기 제1지지봉(30)의 타측에는 볼트(28)에 의해 도어(10) 상으로 결합된 축봉(24)이 압축 또는 확장할 수 있도록 내측에 스프링(22)이 개재된 충격완충수단(20)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가 적은 힘으로도 도어(10)를 개폐할 수 있음에 따라 웨더스트립의 반력이 클 경우에도 도어(10)를 개폐하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웨더스트립의 실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도어가 닫힐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제1도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도어가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열린 상태를 보인 요부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충격완충수단이 도어와 차체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프레임 10 : 도어
12 : 도어힌지 20 : 충격완충수단
22 : 스프링 24 : 축봉
28 : 볼트 30 : 제1지지봉
40 : 브라켓 42 : 공간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개폐시 충격을 흡수하여 도어를 부드럽고 손쉽게 개폐함으로써 웨더스트립(Weather Strip)의 실링(Sealing)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어가 닫힐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줄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좌·우측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데, 상기 도어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개폐하면서 승·하차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도어의 일 예를 살펴보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일측상부와 하부에는 차체프레임(1)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10)가 회전 가능할 수 있도록 도어힌지(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힌지(12) 사이의 중심에는 스토퍼역할을 하는 도어체크링크(14)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체크링크(14)의 일측은 볼트(미도시)에 의해 차체프레임(1)에 결합되고, 타측은 도어(10)에 구비된 지지대(16)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도어체크링크(14)는 도어(10)가 열린 상태에서 자연현상 중 강한 바람에 의한 외력에 대해서 도어(10)가 저절로 닫히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도어(10)를 사람이 손쉽게 열고 닫기 위해서는 도어(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웨더스트립(미도시)의 반력을 축소시킬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 도어(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도어(10)와 차체프레임(1) 사이를 밀폐시켜 주는 웨더스트립의 실링효과는 감소하게 되고, 도어(10)의 개폐에 따른 복원력도 약해져서 도어(10)의 내구성에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 사이에 충격완충수단을 설치하여 도어를 적은 힘으로도 손쉽고 부드럽게 개폐함으로써 웨더스트립이 실링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어가 닫힐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줄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좌·우측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은 볼트에 의해 차체프레임 상에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 가능한 공간을 갖는 브라켓과, 상기 공간으로 삽입되어 힌지핀에 의해 회전되는 제1지지봉과, 상기 제1지지봉의 타측에는 볼트에 의해 도어 상으로 결합된 축봉이 압축 또는 확장할 수 있도록 내측에 스프링이 개재된 충격완충수단을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도어(10)의 일측상부와 하부에는 차체프레임(1)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10)가 회전 가능할 수 있도록 도어힌지(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힌지(12) 사이의 중심에는 스토퍼역할을 하는 충격완충수단(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충격완충수단(20)의 내측에는 스프링(22)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충격완충수단(20)의 일측은 스프링(22)에 의해 압축 또는 팽창하는 축봉(24)이 설치되는데, 상기 축봉(24)의 선단부위에 형성된 구멍(26)으로는 볼트(28)가 결합하면서 도어(10) 상으로 나사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충격완충수단(20)의 타측에는 제1지지봉(3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제1지지봉(30)은 브라켓(40)의 회전 가능한 공간(42)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브라켓(40)의 공간(42)으로 삽입된 제1지지봉(30)은 힌지핀(4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브라켓(40)의 일측에 형성된 공간(42)의 반대편은 볼트(28)에 의해 차체프레임(1) 상으로 결합하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충격완충수단(20)이 도어(10)와 차체프레임(1)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외부에서 도어(10)를 열게되면 상기 도어(10)와 차체프레임(1)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개재되어 있는 도어힌지(12)에 의해 도어(10)는 차체프레임(1)으로부터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힌지(1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충격완충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된 축봉(24)의 선단이 도어(10) 상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10)가 열리는 경우 상기 축봉(24)은 충격완충수단(20)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22)과 가스(Gas)에 의해서 확장됨에 따라 도어(10)를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충격완충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된 축봉(24)이 도어(10)의 개방에 따라 확장되는 경우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축봉(24)의 반대편에는 차체프레임(1)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40)의 공간(42)으로 충격완충수단(20)의 타측에 구비된 제1지지봉(30)이 삽입되어 힌지핀(4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브라켓(40)의 일측은 차체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에 형성된 공간(42)으로 충격완충수단(20)의 타측에 형성된 제1지지봉(30)이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10)에 결합되어 확장하게 되는 축봉(24)은 충격완충수단(20)의 타측에 형성된 제1지지봉(30)이 브라켓(4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축봉(42)이 도어(10)와 함께 확장이 되더라도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도어(10)를 닫을 경우 도어(10)에 결합되어 있는 축봉(24)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충격완충수단(20)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22)과 가스를 압축하면서 도어(10)와 함께 부드럽고 손쉽게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는 도어와 차체프레임의 사이에 충격완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가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음에 따라 웨더스트립의 반력이 클 경우에도 도어를 개폐하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웨더스트립의 실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도어가 닫힐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좌·우측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은 볼트(28)에 의해 차체프레임(1) 상에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 가능한 공간(42)을 갖는 브라켓(40)과, 상기 공간(42)으로 삽입되어 힌지핀(44)에 의해 회전되는 제1지지봉(30)과, 상기 제1지지봉(30)의 타측에는 볼트(28)에 의해 도어(10) 상으로 결합된 축봉(24)이 압축 또는 확장할 수 있도록 내측에 스프링(22)이 개재된 충격완충수단(2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KR2019950044908U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KR0130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908U KR0130282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908U KR0130282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07U KR970039807U (ko) 1997-07-29
KR0130282Y1 true KR0130282Y1 (ko) 1998-12-15

Family

ID=1943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908U KR0130282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2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262A (ko) * 2002-08-16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066B1 (ko) * 2001-06-26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262A (ko) * 2002-08-16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07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303B2 (en) Double pivot concealed hinge
US4372603A (en) Double pivot door for cargo vehicles
US4415194A (en) Vehicle hatchback closure
KR100316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KR0130282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JPH054519A (ja) 自動車のバツクドア構造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US2639460A (en) Door check and holding device
KR200143965Y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JP3913422B2 (ja) バン型トラックの荷箱ドアはね上げ装置
US4638598A (en) Force hinge connection for the latching mechanism of a panel truck or van window
KR100208590B1 (ko) 도어 스위치 내장형 오버 슬램 범퍼
KR100227942B1 (ko) 소형버스의 플랩도어용 힌지 구조
KR100196186B1 (ko)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KR960007364A (ko) 화물차의 적재대 도어용 쉐이크 랙(shake rack)
KR100217661B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KR20230144293A (ko) 차량의 도어 연결 장치
KR0133190Y1 (ko) 중장비의 옆문 개폐장치
KR19980010788U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힌지
KR0173030B1 (ko) 자동차용 도어 장착 구조
KR200216010Y1 (ko) 화물차용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보호구조
KR100422880B1 (ko) 버스의 플랩도어용 스테이댐퍼 장착구조
KR200146226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KR0127965Y1 (ko) 철도차량의 경첩식 출입문 팩킹구조
KR19980049227U (ko) 자동차 백도어의 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