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965Y1 -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965Y1
KR200143965Y1 KR2019960051229U KR19960051229U KR200143965Y1 KR 200143965 Y1 KR200143965 Y1 KR 200143965Y1 KR 2019960051229 U KR2019960051229 U KR 2019960051229U KR 19960051229 U KR19960051229 U KR 19960051229U KR 200143965 Y1 KR200143965 Y1 KR 200143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pin
panel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1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168U (ko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1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965Y1/ko
Publication of KR19980038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1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9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체크를 도어힌지에 일체화로 만들어서 필라패널과 도어패널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정도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단가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패널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게 부착된 제1브라켓과, 필라패널의 대향하는 한쪽 측면에 부착되면서 상기 제1브라켓에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한쪽 선단부에 필라패널쪽을 향하여 장착되면서 소정곡률로 만곡된 핀, 이 핀과 대향하는 제2브라켓의 소정부위에 일체로 부착되면서 상기 핀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핀과 대응되게 소정곡률로 만곡된 안내파이프, 상기 핀의 외주에 끼워지면서 상기 파이프속에 삽입되어 고정된 스프링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어 도어개방시에는 압축되는 반면에 도어폐쇄시에는 인장되는 완충스프링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어힌지에 도어체크 기능하는 부품들이 일체화로 장착되어, 별도의 도어체크가 불필요하게 되면서 부품수와 중량을 줄일 수 있고, 또 조립공수와 조립공정도 단순해지면서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힌지에 도어체크가 일체로 장착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공정이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부품수도 줄여서 중량 및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차체의 측방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차실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도어의 힌지가 장착되는 측면에는 도어가 단계적으로 열리게 하거나 혹은 도어가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체크가 구비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힌지와 도어체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인 바, 즉 도어힌지(101)와 도어체크(102)는 각각 도어패널(103)과 필라패널(104)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힌지(101)는 도어패널에 용접 등으로 부착된 제1브라켓(105)과, 상기 필라패널에 부착되면서 상기 제1브라켓에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브라켓(106)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패널에는 도어의 개폐시에 충격을 완화시킴과 더불어 도어패널과 필라패널 사이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웨드스트립(107)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도어체크(102)는 한쪽 선단부가 필라패널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반면에 다른쪽 선단부는 도어패널 쪽으로 연장되어 도어패널에 고정되게 장착된 링크(108)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도어힌지와 도어체크구조에서는 도어힌지와 도어체크가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별개의 공정을 거쳐서 필라패널과 도어패널에 장착됨에 따라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공정도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그 만큼 조립단가 및 조립공수도 많아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체크를 도어힌지에 일체화로 만들어서 필라패널과 도어패널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정도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단가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체크와 도어힌지가 장착된 차체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의 도어 개방상태의 작동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의 도어 폐쇄상태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패널 2 : 제1브라켓
3 : 필라패널 4 : 제2브라켓
5 : 핀 6 : 안내파이프
7,8 : 완충스프링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패널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게 부착된 제1브라켓과, 필라패널의 대향하는 한쪽 측면에 부착되면서 상기 제1브라켓에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한쪽 선단부에 필라패널쪽을 향하여 장착되면서 소정곡률로 만곡된 핀, 이 핀과 대향하는 제2브라켓의 소정부위에 일체로 부착되면서 상기 핀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핀과 대응되게 소정곡률로 만곡된 안내파이프, 상기 핀의 외주에 끼워지면서 상기 파이프속에 삽입되어 고정된 스프링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사이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어 도어개방시에는 압축되는 반면에 도어폐쇄시에는 인장되는 완충스프링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의 도어 개방상태의 작동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의 도어 폐쇄상태의 작동도인 바, 즉 본 고안에 따른 도어힌지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1)의 한쪽 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는 제1브라켓(2)과, 필라패널(3)의 대향하는 한쪽 측면에 부착되는 제2브라켓(4)을 갖춤과 더불어 이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에 핀을 매개로 체결되어, 제1브라켓이 제2브라켓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결국에는 도어패널이 필라패널에 대해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매개로 상대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의 한쪽 선단부에는 소정곡률로 만곡된 핀(5)이 필라패널쪽을 향해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핀(5)과 대향하는 제2브라켓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핀(5)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핀과 대응되게 소정곡률로 만곡된 안내파이프(6)가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핀의 외주에는 완충스프링(7)이 끼워져 고정되는 한편, 이 완충스프링은 일부는 상기 파이프속에 삽입되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어의 개폐시에 상기 스프링(7)이 그 탄발력으로 도어를 지지하여주게 되므로, 도어의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사이에는 경사진 방향으로 제2완충스프링(8)이 연결되어 있는 바, 이 제2완충스프링은 도어의 개방시에는 압축되면서 도어체크 기능을 하게 되는 반면에 도어의 폐쇄시에는 인장되면서 반발력을 흡수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힌지에 도어체크 기능을 하는 핀과 파이프 및 완충스프링이 일체로 장착됨에 따라 별도의 도어체크가 필요없게 되므로, 부품수를 줄여 중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 조립공정이 단순해지면서 조립공수도 줄일 수 있게 되어, 코스트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 구조에 의하면, 도어힌지에 도어체크 기능하는 부품들이 일체화로 장착되어, 별도의 도어체크가 불필요하게 되면서 부품수와 중량을 줄일 수 있고, 또 조립공수와 조립공정도 단순해지면서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어패널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게 부착된 제1브라켓과, 필라패널의 대향하는 한쪽 측면에 부착되면서 상기 제1브라켓에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한쪽 선단부에 필라패널쪽을 향하여 장착되면서 소정곡률로 만곡된 핀, 이 핀과 대향하는 제2브라켓의 소정부위에 일체로 부착되면서 상기 핀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핀과 대응되게 소정곡률로 만곡된 안내파이프, 상기 핀의 외주에 끼워지면서 상기 파이프속에 삽입되어 고정된 스프링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어 도어개방시에는 압축되는 반면에 도어폐쇄시에는 인장되는 완충스프링을 갖춘 구조로 된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
KR2019960051229U 1996-12-19 1996-12-19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KR200143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229U KR200143965Y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229U KR200143965Y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168U KR19980038168U (ko) 1998-09-15
KR200143965Y1 true KR200143965Y1 (ko) 1999-06-15

Family

ID=1948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1229U KR200143965Y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9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145B1 (ko) 2015-10-02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힌지 조립체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145B1 (ko) 2015-10-02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힌지 조립체 및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168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4186B2 (ja) サイドインパクトバー組立体
JP2013527079A (ja) 多機能キャリア付き車両ドア
KR200143965Y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KR19980035826A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KR0130282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KR970001256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충격흡수 구조
KR200148181Y1 (ko) 상용차량용 리어도어의 스토퍼
KR10059868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가스리프터 장착구조
KR19980034155A (ko)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트렁크 리드의 개폐구조
KR100368380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100208590B1 (ko) 도어 스위치 내장형 오버 슬램 범퍼
KR0173030B1 (ko) 자동차용 도어 장착 구조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100578054B1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구조
KR20050031609A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장치
KR100380382B1 (ko) 자동차 후드힌지부의 충격 흡수장치
KR200150762Y1 (ko)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고정구조
KR100217664B1 (ko) 자동차 도어의 완충식 잠금장치
KR20040048074A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구조
KR200205051Y1 (ko) 자동차 엔진덮개의 개방수단
KR20040029783A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구조
KR200146031Y1 (ko) 자동차용 도어어셈블리의 임펙트구조
KR0128314Y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충격 흡수구조
KR0133190Y1 (ko) 중장비의 옆문 개폐장치
KR200142559Y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