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380B1 -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380B1
KR100368380B1 KR10-2000-0062530A KR20000062530A KR100368380B1 KR 100368380 B1 KR100368380 B1 KR 100368380B1 KR 20000062530 A KR20000062530 A KR 20000062530A KR 100368380 B1 KR100368380 B1 KR 100368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rm
trunk lid
arm assembly
moving pi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1797A (ko
Inventor
손병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38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2005/067Bent flaps gooseneck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리드를 간편하고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패널 후방에 고정된 브라켓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종방향으로 안내장공이 형성된 힌지아암; 상기 힌지아암의 안내장공 내부 일측에 마련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탄발력에 의해서 상기 힌지아암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힌지아암의 안내장공에 결합된 이동핀; 상기 브라켓의 중간부분과 상기 이동핀의 일측에 그 양측단이 힌지 결합된 로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Trunk Lid Hinge Arm Assembly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아암 내부에 코일 스프링을 내장하여 이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트렁크 리드를 손쉽게 열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차체와 새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이 되는 부분으로서 차실, 기관실, 트렁크실, 펜더등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트렁크실의 상측에는 이 트렁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트렁크 리드가 힌지아암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트렁크 리드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며, 도 3은 종래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트렁크 리드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10)는 토션바(1)를 양측으로 교차 배치하고 힌지아암(2)에 비틀림력을 작용하여 트렁크리드(3)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힌지아암(2)은 그 일단이 후방 차체패널(4)의 하면에 결합된 브래킷(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부가 트렁크리드(3)의 전방 하면에 고정 장착됨으로써 상기 트렁크리드(3)가 힌지아암과(2) 일체로 작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힌지아암(2)에는 상기 트렁크리드(3)를 개방시키기 위한 비틀림력을 부가하는 토션바(1)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토션바(1)의 비틀림력을 상기 힌지아암(2)에 전달하기 위하여 토션바(1)의 선단부가 힌지아암(2)의 중앙부 사이에 링크(6)가 설치된다.
이때 토션바(1)의 비틀림력이 링크(6)에 전달되며, 이 링크(6)가 힌지아암(2)의 중앙에 작용력을 제공하여 힌지아암(2)을 회전시킴으로써 트렁크리드(3)가 개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는 토션바가 보유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방식으로 토션바의 변형으로 트렁크리드의 처짐이나, 언덕길 처짐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션바가 차지하는 설치공간에 의해서 트렁크실의 설계상에 많은 제약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트렁크리드를 간편하고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트렁크 리드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종래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트렁크 리드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트렁크 리드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트렁크 리드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6은 도 4의 A-A선 평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트렁크 리드 5: 브라켓
110: 힌지아암 112: 힌지
114: 슬라이드 장공 120: 코일 스프링
130: 이동핀 140: 로드
142,144: 힌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패널 후방에 고정된 브라켓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종방향으로 안내장공이 형성된 힌지아암; 상기 힌지아암의 안내장공 내부 일측에 마련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탄발력에 의해서 상기 힌지아암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힌지아암의 안내장공에 결합된 이동핀; 상기 브라켓의 중간부분과 상기 이동핀의 일측에 그 양측단이 힌지 결합된 로드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트렁크 리드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트렁크 리드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4의 A-A선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선 평단면도이다.
도 4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힌지아암 조립체는 크게 트렁크리드(3)에 고정되며, 힌지(11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트렁크리드(3)를 개폐시키는 힌지아암(110)과, 힌지아암(110) 내부에 마련되는 코일스프링(120)과, 코일스프링(120)의 탄발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이동핀(130)과, 이동핀(130)과 브라켓(5)을 연결하는 로드(140)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힌지아암(110)은 그 일측이 차체패널(22) 후방에 고정된 브라켓(5)에 힌지(112)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트렁크리드(3)에 고정되어 있다. 힌지아암(110)의 일측에는 종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안내장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20)은 상기 힌지아암(110)의 안내장공(114)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트렁크리드(3)가 닫혀진 경우 이동핀(130)에 의해서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며 트렁크리드(3)가 열릴 때 탄발력을 제공하여 트렁크리드(3)가 손쉽게 열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핀(130)은 코일스프링(120)의 탄발력에 의해서 상기 힌지아암(110)의 안내장공(114)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핀(130)의 일측은 안내장공(114) 내부로 삽입되어 코일스프링(120)과 접촉되어 있고, 이동핀(130)의 타측은 로드(140)에 힌지(144) 결합되어 있다.
로드(140)는 브라켓의 중간부분과 상기 이동핀(130)의 일측에 힌지(144) 결합되어 있으며, 트렁크리드(3)가 개폐될 때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는 트렁크리드(3)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코일 스프링(120)이 이동핀(130)에 의해서 압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트렁크리드(3)를 살짝 열면 압축되어 있던 코일 스프링(120)의 탄발력에 의해서 힌지아암(110)이 힌지(112)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이와 동시에 코일 스프링(120)에 의해서 이동핀(130)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짐에 따라 이동핀(130)이 안내장공(114)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로드(140)는 양측 힌지(142)(144)에 의해서 회동된다. 이렇게 코일 스프링(120)에 의해서 힌지 아암(110)이 탄력적으로 회동됨으로써 트렁크 리드(3)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트렁크리드(3)가 손쉽게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트렁크리드(3)를 닫으면 힌지아암(110)이 힌지(11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와 동시에 이동핀(130)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120)이 압축된다.
이렇게 로드(140)가 어느정도 회전되고 코일 스프링(120)이 압축됨에 따라 트렁크리드(3)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트렁크리드(3)가 손쉽게 폐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힌지아암내에 스프링을 내장하고 이 스프링의 탄발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트렁크리드를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부품수와 공정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션바를 채용한 종래의 힌지아암 조립체에 비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품의 감소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

  1. 차체패널(4) 후방에 고정된 브라켓(5)의 일측에 힌지(112) 결합되며, 일측에 종방향으로 안내장공(114)이 형성된 힌지아암(110);
    상기 힌지아암(110)의 안내장공(114) 내부 일측에 마련된 탄성부재(120);
    상기 탄성부재(120)의 탄발력에 의해서 상기 힌지아암(110)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힌지아암(110)의 안내장공(114)에 결합된 이동핀(130);
    상기 브라켓(5)의 중간부분과 상기 이동핀(130)의 일측에 그 양측단이 힌지(142)(144) 결합된 로드(140)로 구성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10-2000-0062530A 2000-10-24 2000-10-24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100368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530A KR100368380B1 (ko) 2000-10-24 2000-10-24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530A KR100368380B1 (ko) 2000-10-24 2000-10-24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797A KR20020031797A (ko) 2002-05-03
KR100368380B1 true KR100368380B1 (ko) 2003-01-24

Family

ID=1969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530A KR100368380B1 (ko) 2000-10-24 2000-10-24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44B1 (ko) 2008-10-06 2010-05-19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개폐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44B1 (ko) 2008-10-06 2010-05-19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개폐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797A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798A (ko) 트렁크 덮개힌지 및 스프링 어셈블리
KR20050062387A (ko) 리드의 개폐장치
KR100368380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100368358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JPH11291832A (ja) 開閉可能なルーフボックス
KR19980034155A (ko)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트렁크 리드의 개폐구조
CN216380974U (zh) 用于车辆的后备箱盖开启装置和配备有该装置的车辆
KR100320876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KR100453098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0392009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200143354Y1 (ko) 자동차의 2단링크형 본네트 힌지
KR200143965Y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KR100398180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용 토션바
KR100957377B1 (ko)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KR100217661B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KR100483799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100534338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손잡이 장착구조
KR960003515Y1 (ko) 자동차의 엔진실 덮개 개폐장치
KR970004440Y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조립체
KR100196186B1 (ko)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KR100424885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20050047842A (ko) 차량용 가스 리프터 지지구조
KR200148177Y1 (ko) 자동차트렁크힌지
KR960007364A (ko) 화물차의 적재대 도어용 쉐이크 랙(shake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