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885B1 - 자동차의 도어 체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885B1
KR100424885B1 KR10-2001-0048341A KR20010048341A KR100424885B1 KR 100424885 B1 KR100424885 B1 KR 100424885B1 KR 20010048341 A KR20010048341 A KR 20010048341A KR 100424885 B1 KR100424885 B1 KR 100424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rm
carrier
safety plate
che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021A (ko
Inventor
한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8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 오르막길에서도 도어가 임의로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수화물을 내리거나 유아를 안고 내릴 때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닫어가 급격히 닫혀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은 바디(1)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2)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암(30)과, 상기 아암(30)의 외측면을 따라 구름운동 할 수 있도록 그 중심에 롤러(41)가 탄력적으로 대향 설치된 캐리어(40)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40)의 뒤쪽 상하에 연장 형성되며 끝단부에 경사면(111)을 갖는 걸림돌기(110); 상기 아암(30)의 뒤쪽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1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끝단부에 경사면(121)을 갖는 안전판(120); 및 상기 캐리어(40)와 안전판(120) 사이에 위치된 아암(30)의 끝단부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체커{Door checker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르막길에서도 도어가 임의로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수화물을 내리거나 유아를 안고 내릴 때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도어(2)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도어 힌지(도시하지 않음)와 그 중간에 설치된 도어 체커(20)에 의하여 원활하게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 체커(20)는 도어(2)를 단계적으로 열리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2)가 일정 한계 이상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완전히 개방된 지점에서, 사람의 힘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도어(2)가 그 자력으로 닫히거나 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도어 체커(20)는 도어(2)가 반정도만 열려 있도록 하는 기능과 완전히 열렸을 때 스톱기능을 가진다.
도어 체커(20)는 바디(1) 일측에 설치되는 아암(30)과, 도어(2) 일측에 설치되는 캐리어(40)로 크게 나뉘어진다.
아암(30)은 그 일단에 고정 브래킷(B)이 고정되고 이 고정 브래킷(B)은 다시 바디(1)에 볼트 고정된다.
아암(30)은 핀(31)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아암(30)의 타단에는 스톱퍼(32)가 설치되고 아암(30)의 중간에는 1단 및 2단 요홈(33)(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어(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아암(30)의 외측면에 따라 구름운동 하면서 1단 및 2단 요홈(33)(34)에 결합되는 롤러(41)와, 상기 롤러(41)를 지지하는 롤러 케이스(42)와, 롤러 케이스(42)를 다시 감싸는 댐퍼(43)와, 이들을 최 외곽에서 감싸는 하우징(44)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 체커(2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2)를 열면, 캐리어(40)의 롤러(41)가 아암(30)의 1단 요홈(33) 및 2단요홈(3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도어(2)가 한 번에 급격히 열리지 않고 단계적으로 열리게 된다.
즉, 캐리어(40)의 롤러(41)가 아암(30)의 외측면을 구르면서 1단 요홈(33)과 2단 요홈(34)에 걸리고 이때, 댐퍼(43)의 탄발력이 발생되어 도어(2)가 급격히 열리지 않고 단계적으로 열리는 것이다.
또한, 도어(2)의 풀 오픈 시에는, 스톱퍼(32)가 하우징(44)에 걸리게 되어 도어(2)가 젖혀지지 않고 적정한 위치에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승객은 주차공간의 여유 혹은 승객의 필요에 따라 도어를 1단 혹은 2단으로 열고 승, 하차하는 바, 도어 닫는 힘을 줄이면 사용자가 도어를 닫을 때 적은 힘이 요구되지만, 도어 닫는 힘을 너무 줄이면 도어 체커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도어를 닫는 힘은 통상적으로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에서 힘을 가할 경우, 대략 1단에서는 2-3㎏f,2단에서는 3-4㎏f정도이다.
그러나, 종래 도어 체커는, 오르막길에서 수화물을 안거나 혹은 유아를 안고 하차를 할 때, 도어의 하중에 의하여, 도어 체커의 기능이 제 대로 수행되지 못하여 도어가 급격히 닫히게 된다. 특히, 도어의 무게나 사이즈가 큰 도어를 갖는 차종, 예를 들면 쿠페 타입의 차종에 적용되는 경우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하다. 이렇게 도어가 급격히 닫히면, 하차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닫는 힘을 최소화하면서도 도어 체커의 기능을 높일 수 있는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오르막길에서도 도어가 임의로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수화물을 내리거나 유아를 안고 내릴 때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닫어가 급격히 닫혀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체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커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 2 : 도어
30 : 아암 40 : 캐리어
41 : 롤러 110 : 걸림돌기
111 : 경사면 120 : 안전판
130 : 압축스프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은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외측면을 따라 구름운동 할 수 있도록 그 중심에 롤러가 탄력적으로 대향 설치된 캐리어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뒤쪽 상하에 연장 형성되며 끝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걸림돌기; 상기 아암의 뒤쪽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끝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안전판; 및 상기 캐리어와 안전판 사이에 위치된 아암의 끝단부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커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30)은 그 일측이 고정 브래킷(B)에 의해서 바디(1)의 일측에 볼트 고정되고 타측이 도어(2)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암(30)은 도어(2)를 원활히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핀(31)에 의해서 어느 정도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암(30)의 외측면 앞쪽과 뒤쪽에는 각각 1단 요홈(33)과 2단 요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2)의 일측에는 캐리어(40)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캐리어(40)는 그 중심에 아암(30)의 외측면을 따라 구름운동 하면서 1단 및 2단 요홈(33)(34)과 결합되는 롤러(4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41)의 외측에는 롤러(41)를 지지하는 롤러 케이스(42)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 케이스(42)의 외측에는 다시 롤러 케이스를 감싸는 댐퍼(43)가 설치되고, 최 외곽에서는 하우징(44)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며, 자동차가 평지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2)를 열 때, 캐리어(40)의 롤러(41)가 아암(30)의 외측면을 구름 운동하면서 1단 요홈(33)과 2단 요홈(34)에 선택적으로 걸림으로써 도어(2)의 열림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은 물론, 자동차가 오르막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2)를 열 때에도 도어(2)가 임의로 닫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캐리어(40)의 뒤쪽 상하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돌기(110)와, 걸림돌기(1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안전판(120)과, 상기 캐리어(40)와 안전판(120) 사이에 위치되는 압축스프링(130)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걸림돌기(110)는 캐리어(40)의 하우징 뒤쪽 상하에 절곡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에 경사면(111)이 형성되어 있다.
안전판(120)은 아암(30)의 뒤쪽 끝단에 걸림돌기(110)와 대향되게 설치되어있고, 그 내부에 걸림돌기(1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에 경사면(121)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스프링(130)은 캐리어(40)와 안전판(120) 사이에 위치된 아암(30)의 끝단부에 개재되어 있다. 압축스프링(130)은 걸림돌기(110)와 안전판(120)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캐리어(40)를 밀어내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캐리어(40)의 롤러(41)가 2단요홈(34)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2)에 힘을 가하여 도어를 완전히 개방시키게 되면, 도어의 캐리어(40)가 아암(30)의 일측 끝단에 있는 안전판(120) 쪽으로 이동되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캐리어(40)에 형성된 걸림돌기(110)의 경사면(111)과 안전판(120)의 경사면(121)이 서로 접촉되어 안전판(120)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10)가 안전판(120)에 걸림으로써 도어는 최대 개방 상태에서 저절로 닫히지 않고 정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130)은 캐리어(40)와 안전판(120) 사이에 탄성 압축된 상태로 놓이게 되는데, 도어(2)를 다시 닫을 때에는 소정의 힘을 도어에 가해 닫으면 상기 안전판(120)이 걸림돌기(110)에 의해 다시 벌어지면서 상기 압축스프링(130)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도어가 밀리면서 닫히게 된다.즉, 도어(2)는 상기 걸림돌기(110)가 상기 안전판(120)에 걸리게 됨으로써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평지와 오르막길 두 개의 상황으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동차가 평지에 위치된 상태의 경우에는, 도어(2)를 열면 캐리어(40)의 롤러(41)가 아암(30)의 외측면을 구름 운동하면서 1단 요홈과 2단 요홈에 선택적으로 걸림으로써 도어(2)의 열림 각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자동차가 오르막길에 위치된 상태의 경우에는, 도어(2)를 열면 캐리어(40)의 롤러(41)가 아암(30)의 외측면을 구름 운동하면서 1단 요홈과 2단 요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며, 이때 도어(2)를 좀 더 열면 걸림돌기(110)가 압축스프링(130)의 탄발력을 극복하고 안전판(120)의 공간부(122)에 삽입되면서 안전판(120)과 결합된다. 여기서, 경사면(111)은 걸림돌기(110)가 안전판(120)과 결합될 때 또는 분리될 때, 안전판(120)의 입구를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돌기(110)가 안전판(120)과 결합됨으로써 오르막길에서도 도어(2)가 임의로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수화물을 내리거나 유아를 안고 내릴 때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르막길에서도 도어가 임의로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수화물을 내리거나 유아를 안고 내릴 때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일측은 바디(1)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2)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암(30)과, 상기 아암(30)의 외측면을 따라 구름운동 할 수 있도록 그 중심에 롤러(41)가 탄력적으로 대향 설치된 캐리어(40)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40)의 뒤쪽 상하에 연장 형성되며 끝단부에 경사면(111)을 갖는 걸림돌기(110);
    상기 아암(30)의 뒤쪽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1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끝단부에 경사면(121)을 갖는 안전판(120); 및
    상기 캐리어(40)와 안전판(120) 사이에 위치된 아암(30)의 끝단부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2001-0048341A 2001-08-10 2001-08-10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0424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341A KR100424885B1 (ko) 2001-08-10 2001-08-10 자동차의 도어 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341A KR100424885B1 (ko) 2001-08-10 2001-08-10 자동차의 도어 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021A KR20030014021A (ko) 2003-02-15
KR100424885B1 true KR100424885B1 (ko) 2004-03-27

Family

ID=2771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341A KR100424885B1 (ko) 2001-08-10 2001-08-10 자동차의 도어 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401B1 (ko) * 2002-11-11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림각 조정이 가능한 도어체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9762U (ko) * 1984-08-23 1986-04-22
JPS6195873U (ko) * 1984-11-30 1986-06-20
JPH1081137A (ja) * 1996-09-09 1998-03-31 Oi Seisakusho Co Ltd 自動車用チェックリンク装置
JPH10140907A (ja) * 1996-11-08 1998-05-26 Mitsuba Corp 車両用ドアチェッカ
KR19990019642U (ko) * 1997-11-20 1999-06-15 홍종만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9990024565U (ko) * 1997-12-13 1999-07-05 정몽규 차량의 도어체커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9762U (ko) * 1984-08-23 1986-04-22
JPS6195873U (ko) * 1984-11-30 1986-06-20
JPH1081137A (ja) * 1996-09-09 1998-03-31 Oi Seisakusho Co Ltd 自動車用チェックリンク装置
JPH10140907A (ja) * 1996-11-08 1998-05-26 Mitsuba Corp 車両用ドアチェッカ
KR19990019642U (ko) * 1997-11-20 1999-06-15 홍종만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9990024565U (ko) * 1997-12-13 1999-07-05 정몽규 차량의 도어체커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021A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3811B2 (en) Door checker for automobile
US20040251696A1 (en) Automobile door checker
US11725439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a sliding door
KR10036427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KR20030086806A (ko) 자동차용 2웨이 오픈형 콘솔박스 커버구조
US20070145760A1 (en) Vehicle door container holder
KR100424885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0274508B1 (ko) 자동차용 콘솔의 암레스트 슬라이딩장치
KR100412515B1 (ko) 자동차의 유압식 도어체커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KR100346852B1 (ko)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장치
US2639460A (en) Door check and holding device
KR200156281Y1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장치
KR100453098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0270052B1 (ko) 시트 장착장치
KR100424882B1 (ko) 자동차의 유압식 도어체커
KR200187461Y1 (ko) 자동차의리어도어개폐구조
JPH06293220A (ja) 自動車用サンルーフにおけるサンシェードの案内装置
KR100457911B1 (ko) 자동차의 이동식 콘솔
JP3297905B2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スライドドアの落下防止機構
KR0130443Y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첵커
KR0114599Y1 (ko) 자동차 해치도어(hatch door)의 유동방지장치
JPH0722336Y2 (ja) サンルーフシェードのロック構造
KR100521795B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윈도우 하강 높이 제한장치
KR970000711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