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271B1 -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271B1
KR100364271B1 KR1020000048588A KR20000048588A KR100364271B1 KR 100364271 B1 KR100364271 B1 KR 100364271B1 KR 1020000048588 A KR1020000048588 A KR 1020000048588A KR 20000048588 A KR20000048588 A KR 20000048588A KR 100364271 B1 KR100364271 B1 KR 100364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member
tailgate
rod
lower gate
hing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5468A (ko
Inventor
문권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8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271B1/ko
Priority to JP2000396194A priority patent/JP3517687B2/ja
Priority to US09/753,249 priority patent/US6418667B1/en
Publication of KR2002001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Miscellaneous hardware, e.g. bushing, carpet fastener, caster, door closer, panel hanger, attachable or adjunct handle, hinge, window sash balance
    • Y10S16/17Checks and closers, hol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일게이트의 중간부위를 필요시 상하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테일게이트의 외측 하단부위와 천정부 사이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일게이트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간부위에 힌지점(H')을 매개로 상대회동이 가능한 상측 게이트부재(10a)와 하측 게이트부재(10b)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와 하측 게이트부재(10b) 사이의 절첩부위에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한 하측 게이트부재(10b)의 상대회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조작부(18)와, 이 조작부(18)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분할된 테일게이트(10)의 상대회동을 구속상태 내지 해제상태로 적절하게 전환시키도록 구비된 잠금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tailgate folding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테일게이트를 절첩식으로 동작될 수 있게 하여 천정부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도 테일게이트의 개방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에는 승객의 승/하차나, 화물의 적재 및 하적을 위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도어중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이른 바 리프트-업타입(lift-up type)의 테일게이트(tailgate)는 주로 해치백(hatch back)형태의 차량에서 후방문으로 널리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 테일게이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루프패널(12)과 접하는 부위에 힌지점(H)을 두고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개방되고, 상기 테일게이트(10)의 개방시 자동차의 쿼터패널(14)과 테일게이트(10) 사이에 설치된 개스리프터(16)가 신장되어 개방된 상태의 테일게이트(10)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의 회동방식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종래의 테일게이트(10)는 천정부(C)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 개방될 경우에, 상기 상방향으로 회동되는 테일게이트(10)의 외측 하단부위가 상기 천정부(C)에 닿게 되는 간섭이발생된다.
이와 같이, 상기 테일게이트(10)의 개방시 테일게이트(10)의 외측 하단부위와 높이가 낮은 천정부(C)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천정부(C)에 접촉되는 테일게이트(10)측에 손상이 초래될 수도 있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테일게이트의 중간부위를 필요시 상하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높이가 낮은 곳에서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테일게이트의 외측 하단부위와 천정부 사이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테일게이트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힌지점을 매개로 상하로 분할됨과 더불어 절첩식으로 접혀지는 테일게이트와, 이 테일게이트의 절첩부위에 설치되어 테일게이트의 접힘을 제어하는 조작부 및, 이 조작부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분할된 테일게이트의 상대회동을 구속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적절하게 전환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가 정상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가 절첩식으로 개방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테일게이트 10a-상측 게이트부재
10b-하측 게이트부재 10c-경사면
10d-수용공간부 18-조작부
20-잠금부 22-안내부
24-가동로드 26-걸림로드
28,34-제1,제2복원스프링 30-래치로드
32-지지로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가 정상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가 절첩식으로 개방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대해 상하방향의 회동방식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테일게이트(10)는 루프패널(12)과 인접하는 부위에 힌지점(H)을 두고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일게이트(10)는 차체의 쿼터패널(14)과 개스리프터(16)를 매개로 개방시 지지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테일게이트(10)는 대략 중간부위에 힌지점(H')을 매개로 상대회동이 가능한 상측 게이트부재(10a)와 하측 게이트부재(10b)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는 루프패널(12)상에 힌지점(H)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는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힌지점(H')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의 상단에는 힌지점(H')을 매개로 하측 게이트부재(10b)가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해 상대회동시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부재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의 경사면(10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점(H')을 매개로 상대회동이 가능한 상측 게이트부재(10a)와 하측 게이트부재(10b)를 포함하는 테일게이트(10)는 절첩식으로 회동되는 절첩부위에서 테일게이트(10)의 접힘을 제어하는 조작부(18)와, 이 조작부(18)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분할된 테일게이트(10)의 상대회동을 구속상태 내지 해제상태로 적절하게 전환시키는 잠금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하로 분할된 테일게이트(10)의 절첩부위에는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해 하측 게이트부재(10b)가 회동되어 접힐 경우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22)가 부가되어 있는 바, 이 안내부(22)는,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가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해 힌지점(H')을 기준으로 회동될 경우에 이를 적절하게 안내하여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한 하측 게이트부재(10b)의 회동을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18)는 하측 게이트부재(10b)상에서 내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형태의 가동로드(24)와, 이 가동로드(24)에 의해 가압되어 힌지점(H")을 매개로 회동하는 걸림로드(26) 및, 이 걸림로드(26)의 일측 하부에서 상기 걸림로드(26)를 탄발지지함과 동시에 가동로드(24)도 탄발지지하는 제1복원스프링(28)을 외주면에 설치하는 고정로드(28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20)는 상기 조작부(18)의 걸림로드(26)와 치합되는 기어치(30a)를 형성하고서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상에 고정된 래치로드(30)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로드(26)의 일측 선단에는 상기 래치로드(30)의 기어치(30a)와의 치합을 위한 돌기부(2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걸림로드(26)의 타측 선단에는 상기 고정로드(28a)와의 결합을 위한 요홈(26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데, 이 요홈(26b)은 상기 걸림로드(26)의 회동시 고정로드(28a)상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1복원스프링(28)을 압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22)는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상에 일측 선단이 고정됨과 더불어 타측 선단이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의 내부로 탄력적으로 수용되는 지지로드(32)와, 이 지지로드(32)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와 하측 게이트부재(10b) 사이에 양단이 면착되어 지지되는 제2복원스프링(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에는 상기 지지로드(32)의 수용을 위한 소정의 수용공간부(10d)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수용공간부(10d)는 상기 힌지점(H')을 매개로 하측 게이트부재(10b)가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해 회동되어 접힐 경우에 상기 지지로드(32)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부(22)는,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가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해 힌지점(H')을 기준으로 회동될 경우에 이를 적절하게 안내하여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한 하측 게이트부재(10b)의 회동을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시킴은 물론,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의 회동시 이의 회동속도를 상기 제2복원스프링(34)의 탄성을 매개로 하여 적절하게 늦춰 상측 게이트부재(10a)와의 급작스러운 접촉을 방지하는 일종의 댐퍼역할까지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로드(32)와 수용공간부(10d)는 각각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바, 이는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가 힌지점(H')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해 접힐 경우에 있어, 상기 지지로드(32)와 수용공간부(10d) 사이의 원활한 결합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테일게이트(10)를 갖춘 자동차가 천정부의 높이가 낮은 장소에 주차된 다음 상기 테일게이트(10)가 개방될 경우에는, 상기 테일게이트(10)를 어느 정도까지 개방시키고서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조작부(18)의 가동로드(24)를 누르게 되면, 상기 힌지점(H")을 매개로 걸림로드(26)가 회동되면서 상기 잠금부(20)의 래치로드(30)와의 사이의 치합이 해지된다.
이후,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는 자중에 의해 힌지점(H')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해 회동되어 소정의 각도만큼 접혀지게 되고, 이때 상기 조작부(18)의 가동로드(24)에 가해졌던 조작력을 해지시키게 되면, 상기 가동로드(24)는 제1복원스프링(28)의 복원력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로드(26)도 힌지점(H")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잠금부(20)의 래치로드(30)와 치합되면서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한 하측 게이트부재(10b)의 접힘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측 게이트부재(10b)가 힌지점(H')을 매개로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해 회동되어 접힐 때에는,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에 고정된 안내부(22)의 지지로드(32)가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0d)내로 수용되면서 하측 게이트부재(10b)의 회동에 있어 일정한 궤적을 따라 정확한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 내지 구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부(22)는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해 힌지점(H')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하측 게이트부재(10b)에 제2복원스프링(34)의 탄성을 매개로 저항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는 자중에 의해 급격하게 회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10)의 하측 게이트부재(10b)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상기 조작부(18)의 가동로드(24)를 다시눌러줌과 더불어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를 살짝 들어주면 되는 데, 이때 상기 안내부(22)의 지지로드(32)에 끼워진 제2복원스프링(34)은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와 하측 게이트부재(10b)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에서 복원되는 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에 복원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가 힌지점(H')을 매개로 정상적인 원래의 위치로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에 의하면, 차체에 대해 상하방향의 회동방식으로 개폐되는 테일게이트(10)가 힌지점(H')을 매개로 절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높이가 낮은 천정부를 두고서 상기 테일게이트(10)가 개방되는 경우에도 상기 테일게이트(10)를 접게 되면, 천정부와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외측 하단부위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테일게이트(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힌지점(H')을 매개로 상하로 분할됨과 더불어 절첩식으로 접혀지는 테일게이트(10)와,
    이 테일게이트(10)의 절첩부위에 설치되어 테일게이트(10)의 접힘을 제어하는 조작부(18) 및,
    이 조작부(18)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분할된 테일게이트(10)의 상대회동을 구속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적절하게 전환시키는 잠금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10)는 힌지점(H')을 절첩부위로 한 상측 게이트부재(10a)와 하측 게이트부재(10b)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의 상단에는 힌지점(H')을 매개로 하측 게이트부재(10b)가 회동시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부재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의 경사면(10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8)는 하측 게이트부재(10b)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로드(24)와, 이 가동로드(24)에 의해 가압되어 힌지점(H")을 매개로 회동되는 걸림로드(26) 및, 상기 가동로드(24)의 하단에서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제1복원스프링(2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0)는 상기 조작부(18)의 걸림로드(26)와 치합되는 기어치(30a)를 형성하고서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상에 고정된 래치로드(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점(H')을 매개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분할된 테일게이트(10)의 절첩부위에는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상에 일측 선단이 고정됨과 더불어 타측 선단이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의 내부로 탄력적으로 수용되는 지지로드(32)와, 이 지지로드(32)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와 하측 게이트부재(10b) 사이에 양단이 면착되어 지지되는 제2복원스프링(34) 및, 상기 지지로드(32)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상측 게이트부재(10a)상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0d)를 포함하여 구성된 안내부(22)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32)와 수용공간부(10d)는 상기 하측 게이트부재(10b)가 힌지점(H')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측 게이트부재(10a)에 대해 접힐 경우에 이들 사이의 원활한 결합을 고려하여 각각 만곡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KR1020000048588A 2000-08-22 2000-08-22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KR100364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88A KR100364271B1 (ko) 2000-08-22 2000-08-22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JP2000396194A JP3517687B2 (ja) 2000-08-22 2000-12-26 自動車の屈曲式テールゲート装置
US09/753,249 US6418667B1 (en) 2000-08-22 2000-12-27 Tailgate folding device of automotiv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88A KR100364271B1 (ko) 2000-08-22 2000-08-22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468A KR20020015468A (ko) 2002-02-28
KR100364271B1 true KR100364271B1 (ko) 2002-12-11

Family

ID=1968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588A KR100364271B1 (ko) 2000-08-22 2000-08-22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18667B1 (ko)
JP (1) JP3517687B2 (ko)
KR (1) KR100364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4341B2 (en) * 2000-06-20 2002-09-24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Inc. Lift gate for a motor vehicle
KR100410480B1 (ko) * 2000-12-07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이중 폴딩 테일게이트
US6588151B1 (en) * 2001-12-21 2003-07-08 Delphi Technologies, Inc. Power closure control apparatus
KR20030097367A (ko) * 2002-06-20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하방향 개폐용 도어의 열림각 제한장치
US7096987B2 (en) * 2004-06-30 2006-08-29 Cnh America Llc Drive unit enclosure assembly
DE102005021306A1 (de) * 2005-05-09 2006-11-16 Dura Automotive Plettenberg Entwicklungs- Und Vertriebs Gmbh Heckklapp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37957B4 (de) * 2005-08-11 2011-01-27 Daimler Ag Nach oben aufschwenkbare Kraftfahrzeug-Klappe
DE102006058138A1 (de) * 2006-12-09 2008-06-19 Witte-Velbert Gmbh & Co. Kg Scharnieranordnung für eine Heckklappe eines Kraftfahrzeugs
CZ200783A3 (cs) * 2007-01-31 2008-08-13 Škoda Auto a. s. Zapojení elektrického ovládání delené výklopné zádi pro vozidla
GB2452752B (en) * 2007-09-14 2012-03-14 Nissan Motor Mfg Uk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 closures
FR2922820A3 (fr) * 2007-10-25 2009-05-01 Renault Sas Agencement d'ouvrant pour un vehicule automobile.
GB2462662B (en) * 2008-08-16 2013-03-13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Vehicle tailgate assembly
KR100969092B1 (ko) * 2008-12-01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은폐형 후드 가스리프터 장치
JP5493838B2 (ja) * 2009-12-25 2014-05-14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AT12177U1 (de) 2010-02-09 2011-12-15 Strasser Johann Sen Transportbehälter
US8449015B2 (en) * 2011-10-19 2013-05-28 Tesla Motors, Inc. Method of controlling a dual hinged vehicle door
GB2513835B (en) * 2013-03-08 2015-06-17 Global Automatics Ltd Powered folding doors
DE102015207556A1 (de) * 2015-04-24 2016-10-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wenkbare Kraftfahrzeugheckklappe
US9428944B1 (en) * 2015-06-16 2016-08-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closure mechanism for non-aligned closure panels
US9784348B2 (en) * 2015-08-13 2017-10-10 Guillermo Castelblanco Tailgate and door adjustors
US9945161B2 (en) * 2016-03-22 2018-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ck system for dual vehicle closures
KR101782507B1 (ko) * 2016-06-27 2017-09-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테일게이트
KR101974121B1 (ko) * 2018-08-20 2019-08-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덮개의 개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9613U (ko) * 1985-02-04 1986-08-14
JPS6261726U (ko) * 1985-10-09 1987-04-16
JPH0249712U (ko) * 1988-09-29 1990-04-06
KR20020015470A (ko) * 2000-08-22 2002-02-28 이계안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1412A (en) * 1938-07-27 1942-07-28 Rudolph I Schonitzer Combined door-checking and doorholding device
US2237046A (en) * 1940-07-17 1941-04-01 Adolph H Breitenwischer Releasable holding device for closures
US3716945A (en) * 1971-12-02 1973-02-20 Gen Motors Corp Closure operator
EP0159017B1 (en) * 1984-04-18 1990-06-13 Mazda Motor Corporation Back door structures for motor vehicles
DE4445944C1 (de) * 1994-12-22 1996-04-25 Daimler Benz Ag Hardtop-Fahrzeug
US5784968A (en) * 1997-04-04 1998-07-28 R. W. Mac Company Locomotive top deck cover support bracket
FR2764245B1 (fr) * 1997-06-06 1999-07-30 Renault Dispositif perfectionne d'articulation d'un ouvrant monte pivotant sur la caisse d'un vehicule automobile
US6068327A (en) * 1997-10-21 2000-05-30 Peregrine Incorporated Upwardly folding vehicle door assembly
GB2340527A (en) * 1998-08-13 2000-02-23 Rover Group Tailgate Assembly
US6120081A (en) * 1998-12-31 2000-09-19 Collins; Robert J. Foldable tailgate
DE19910763C1 (de) * 1999-03-11 2000-07-13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r Heckklap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9613U (ko) * 1985-02-04 1986-08-14
JPS6261726U (ko) * 1985-10-09 1987-04-16
JPH0249712U (ko) * 1988-09-29 1990-04-06
KR20020015470A (ko) * 2000-08-22 2002-02-28 이계안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17687B2 (ja) 2004-04-12
JP2002067697A (ja) 2002-03-08
US6418667B1 (en) 2002-07-16
US20020038963A1 (en) 2002-04-04
KR20020015468A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27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KR10032083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KR100316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JP4020424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879107B1 (ko)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10038044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100527138B1 (ko)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20020015470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KR100376834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100410819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글래스 힌지구조.
KR100534338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손잡이 장착구조
KR10038392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100461053B1 (ko) 자동차 도어의 아웃터 사이드 핸들 고정장치
KR20050120271A (ko) 센터 패시어 트레이 잠금장치
KR100342621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구조
KR19980029449U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
KR200192419Y1 (ko)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지지 구조
KR19990033028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열림 유지장치
KR19990033026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처짐 방지장치
KR100471487B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고정장치
JP2000335243A (ja) スライドドア式車両
KR20000010912U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의 개폐구조
KR20020024966A (ko) 자동차용 트래이 커버 구조
KR19990033029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처짐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