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449U -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449U
KR19980029449U KR2019960042512U KR19960042512U KR19980029449U KR 19980029449 U KR19980029449 U KR 19980029449U KR 2019960042512 U KR2019960042512 U KR 2019960042512U KR 19960042512 U KR19960042512 U KR 19960042512U KR 19980029449 U KR19980029449 U KR 199800294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d
striker
attached
cross member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재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42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449U/ko
Publication of KR199800294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449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는 록커가 트렁크리드의 후단부 중앙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부착되는 만큼, 리어앤드크로스멤버에 부착되는 스트라이커는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이 되므로, 트렁크실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스트라이커에 걸리거나 심하게 부딪혀 화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스트라이커(10)의 양단부를 연장시켜 양측 회동부(12)(12')를 형성하고 양단부에 브라켓(14)(14')을 부착시켜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되, 일측 회동부(12)에 코일스프링(20)을 설치하고 타측 회동부(12')는 수직 하방향으로 절곡된 회동간(22)을 형성하여 트렁크리드(24)의 힌지부(26)와 상기 회동간(22)을 와이어(28)로 연결시켜 힌지부(26)가 작동함에 따라 스트라이커(10)를 회동하도록 함으로서 트렁크리드(24)를 열고 트렁크실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스트라이커(10)에 화물이 걸리거나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에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트렁크실에 화물을 싣고 내릴 때 리어앤드크로스멤버에 부착된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인 스트라이커에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스트라이커를 수평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렁크리드는 힌지부와 토션바가 트렁크리드의 내측부에 부착이 되어 있거나 양측으로 스테이댐퍼가 부착되어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인 록커와 스트라이커가 개폐됨에 따라 트렁크리드는 내측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트렁크리드를 열리고 닫히게 하는 종래의 트렁크리드 개폐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과 도 2 는 종래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자동차의 리드부분 사시도와 트렁크실이 폐쇄된 상태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양측의 사이드패널(2)과 리어앤드패널(3)에 의해 트렁크실(1)이 형성이 되고, 후단부가 절곡된 트렁크리드(4)에 의해 트렁크실(1)은 밀폐된 공간부를 이루게 된다.
상기 트렁크리드(4)는 내측으로 양측에 힌지부(5)가 부착되고 토션바(도면상 미도시되었음)에 의해 트렁크리드(4)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트렁크리드(4)의 후단부 중앙에 록커(6)가 부착되고, 이와 상응하는 위치인 리어앤드크로스멤버(8)의 중앙부에 스트라이커(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록커(6)는 트렁크리드(4)의 인너패널 하단부에 부착되어지되, 부착된 록커(6)의 하단부는 트렁크리드(4)의 프렌지부(8)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응되는 스트라이커(7)는 수직상방향으로 돌출시켜 부착함으로서, 트렁크리드(4)의 록커(6)는 트렁크실(1)을 이루고 있는 리어앤드크로스멤버(8)에 부착된 스트라이커(7)에 결합되어 트렁크실(1)은 외부와 밀폐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차실내에 설치된 트렁크오프너(도면상 미도시되었음)를 작동시켜 스트라이커(7)로부터 트렁크리드(4)의 록커(6)를 이탈시켜 트렁크실(1)의 공간에 간단하게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으며, 특히 트렁크리드(4)의 후단부 중앙에 부착된 록커(6)를 트렁크리드(4)의 프렌지부(9)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부착시킴으로서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화물이 록커(6)에 부딪히지않아 록커(6)로 인한 화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는 록커(6)가 트렁크리드(4)의 후단부 중앙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부착되는 만큼, 리어앤드크로스멤버(8)에 부착되는 스트라이커(7)는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이 되므로, 트렁크실(1)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스트라이커(7)에 걸리거나 심하게 부딪혀 화물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트렁크리드의 후단부 중앙에 부착된 록커가 걸착되는 리어앤드크로스멤버에 돌출상태로 부착된 스트라이커를 트렁크리드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개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직상방향으로 돌출된 ㄷ자형상의 스트라이커 양단부를 연장시켜 회동부를 형성하고, 양측 회동부에 브라켓을 부착시켜 리어앤드크로스멤버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되, 일측 회동부에 돌기부를 형성시켜 코일스프링을 설치하고, 타측 회동부에는 수직하방향으로 절곡된 회동간을 형성시켜, 상기 회동간과 트렁크리드의 힌지부를 와이어로 연계시켜 힌지부가 작동함에 따라 스트라이커가 회동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트렁크리드를 닫았을 때는 힌지부가 하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트렁크리드를 열게되면 힌지부가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힌지부와 연계된 와이어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리어앤드크로스멤버에 부착된 스트라이커가 회동되어 트렁크리드를 열고 트렁크실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화물이 걸리거나 부딪히지 않도록 스트라이커가 리어앤드크로스멤버에 형성된 삽입홈측으로 회전이 되므로 화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자동차의 리드부분 사시도,
도 2 는 종래 트렁크실이 폐쇄된 상태의 장금장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리드가 닫힌 상태에서 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가)는 스트라이커를 수직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힌지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나)는 힌지부의 작동으로 수직상방향으로 회동된 스트라이커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리드가 열린 상태에서 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가)는 트렁크리드의 힌지부 작동상태 예시도이고, (나)는 힌지부의 작동상태에 따른 스트라이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트라이커,12,12' - 회동부,
14,14' - 돌기부,16 - 리어앤드크로스멤버,
18 - 돌기부,20 - 코일스프링,
22 - 회동간,24 - 트렁크리드,
26 - 힌지부,28 - 와이어.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된 ㄷ자형상의 스트라이커(10) 양단부에 회동부(12)(12')를 형성하고, 양측 회동부(12)(12')에 브라켓(14)(14')을 부착시켜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되, 일측 회동부(12)에 돌기부(18)를 돌설시켜 코일스프링(20)을 설치하고 타측 회동부(12')에는 수직하방향으로 절곡된 회동간(22)을 형성시켜, 회동간(22)과 트렁크리드(24)의 힌지부(26) 사이에 와이어(28)를 설치하여 힌지부(26)가 작동함에 따라 스트라이커(10)가 회동하도록 된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개폐장치이다.
상기 코일스프링(20)은 일측 회동부(12)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하되, 일측단은 돌기부(18)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단으로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된 스트라이커(10)를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30은 스트라이커(10)가 회동하여 삽입되는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에 형성된 삽입홈이고, 32는 힌지부(26)와 스트라이커(10)의 회동간(22)을 연결시켜주는 와이어(28)가 매설된 배관이며, 34는 와이어(28)가 매설된 배관(32)의 절곡부에 설치된 로울러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와 도 4 에 표현된 바와 같이, 차체의 리어측에 형성되어 있는 트렁크실을 개폐시키는 트렁크리드(24)의 내측부에 부착된 힌지부(26)에 와이어(28)의 일단부를 부착하고, 상기 힌지부(26)측으로부터 사이드아웃패널의 내측면을 따라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에 부착된 스트라이커(10)에 배관(32)을 설치하여 와이어(28)를 매설시켜 상기 와이어(28)의 타단부가 스트라이커(10)에 연결되어 트렁크리드(24)를 개폐시킴에 따라 힌지부(26)와 스트라이커(10)는 유기적 관계를 이루고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10)는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ㄷ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부를 연장시켜 회동부(12)(12')를 형성하되, 양측 회동부(12)(12')에 브라켓(14)(14')을 부착시켜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와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 회동부(12)에는 돌기부(18)를 돌설시켜 코일스프링(20)을 설치하고, 상기 코일스프링(20)은 일단부가 돌기부(18)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에 고정 결합시켜 스트라이커(10)가 일방향, 즉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에 형성된 삽입홈(30)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트렁크리드(24)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부(26)에 와이어(28)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28)의 타단을 코일스프링(20)이 설치되어 삽입홈(30)측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고 있는 스트라이커(10)의 회동간(22)에 연결시켜 트렁크리드(24)가 개폐됨에 따라 회동가능한 스트라이커(10)가 삽입홈(30)측으로 회동하거나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동이 된다.
상기 힌지부(26)와 스트라이커(10)의 회동간(22)을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된 와이어(28)는 트렁크실의 내측면을 따라 파이프형의 배관(32)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배관(32)의 절곡부분에는 내부에 와이어(28)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로울러(34)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트렁크실을 개방시키게 되면 트렁크리드(24)는 힌지부(26)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승하게 되고, 상기 힌지부(26)와 연결된 와이어(28)가 스트라이커(10)의 회동간(22)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스트라이커(10)의 일측 회동부(12)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스프링(20)의 회전력에 의해 타측 회동부(12')의 회동간(22)이 와이어(28)를 끌어 당기게 되고 스트라이커(10)는 와이어(28)가 이동하는 만큼 삽입홈(30)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개방되어 있는 트렁크리드(24)를 닫게 되면 힌지부(26)는 하강하게 되며, 힌지부(26)가 하강하는 만큼 와이어(28)를 당기게 되므로 와이어(28)와 연결된 스트라이커(10)의 회동간(22)을 끌어 당기게 된다.
상기 회동간(22)이 타측 회동부(1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에 따라 삽입홈(30)측으로 회동되어 있던 스트라이커(10)는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의 상단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이 되어 트렁크리드(24)의 후단부 중앙에 부착되어 있는 록커(도면상 미도시되었음)가 걸착되어 트렁크실을 트렁크리드에 의해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스트라이커(10)의 양단부를 연장시켜 양측 회동부(12)(12')를 형성하고 양단부에 브라켓(14)(14')을 부착시켜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되, 일측 회동부(12)에 코일스프링(20)을 설치하고 타측 회동부(12')는 수직 하방향으로 절곡된 회동간(22)을 형성하여 트렁크리드(24)의 힌지부(26)와 상기 회동간(22)을 와이어(28)로 연결시켜 힌지부(26)가 작동함에 따라 스트라이커(10)를 회동하도록 함으로서 트렁크리드(24)를 열고 트렁크실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스트라이커(10)에 화물이 걸리거나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에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된 ㄷ자형상의 스트라이커(10) 양단부에 회동부(12)(12')를 형성하고, 양측 회동부(12)(12')에 브라켓(14)(14')을 부착시켜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되, 일측 회동부(12)에 돌기부(18)를 돌설시켜 코일스프링(20)을 설치하고 타측 회동부(12')에는 수직하방향으로 절곡된 회동간(22)을 형성시켜, 회동간(22)과 트렁크리드(24)의 힌지부(26) 사이에 와이어(28)를 설치하여 힌지부(26)가 작동함에 따라 스트라이커(10)가 회동하도록 된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코일스프링(20)은 일측 회동부(12)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하되, 일측단은 돌기부(18)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단으로 리어앤드크로스멤버(16)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된 스트라이커(10)를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개폐장치.
KR2019960042512U 1996-11-27 1996-11-27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 KR199800294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512U KR19980029449U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512U KR19980029449U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449U true KR19980029449U (ko) 1998-08-17

Family

ID=5398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512U KR19980029449U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44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855B1 (ko) * 2012-05-15 2013-12-09 주식회사 리한도어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20200000565U (ko) * 2018-09-04 2020-03-12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작업차량의 도어용 접이식 스트라이커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855B1 (ko) * 2012-05-15 2013-12-09 주식회사 리한도어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20200000565U (ko) * 2018-09-04 2020-03-12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작업차량의 도어용 접이식 스트라이커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27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KR10032083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KR19980029449U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장치
KR960016478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KR100879107B1 (ko)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10038044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100705131B1 (ko) 도어힌지구조
KR100376834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200192419Y1 (ko)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지지 구조
KR200171628Y1 (ko)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지지 구조
KR200162102Y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글래스 개폐장치
KR100207196B1 (ko) 화물트럭의 적재함 리어포스트
KR100580733B1 (ko) 자동차용 내장형 스트라이커
KR100405606B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46226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KR100330673B1 (ko) 리어 게이트 잠금장치
KR100233506B1 (ko) 화물차의 적재함 게이트 록크장치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930004470Y1 (ko) 3도어 승용차의 윙(Wing) 도어 개폐장치
KR100494426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글라스 파손 방지구조
KR200198171Y1 (ko) 화물차용 전면패널의 힌지구조
KR100452017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글래스 개폐장치
KR0138348Y1 (ko)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KR200160809Y1 (ko) 자동차의 체크링크 겸용 도어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