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348Y1 -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348Y1
KR0138348Y1 KR2019960038018U KR19960038018U KR0138348Y1 KR 0138348 Y1 KR0138348 Y1 KR 0138348Y1 KR 2019960038018 U KR2019960038018 U KR 2019960038018U KR 19960038018 U KR19960038018 U KR 19960038018U KR 0138348 Y1 KR0138348 Y1 KR 0138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teeth
oil damp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8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629U (ko
Inventor
변경섭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8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34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6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3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8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을 완화 시켜주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겼다 놓을 때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핸들 하우징에 톱니가 형성된 오일 댐퍼를 설치하여 핸들 노브가 회전할 때 톱니가 오일 댐퍼에 의하여 부하를 걸어주므로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이 서서히 원위치되어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어(10)의 도어 아우트 패널(13)에 설치되는 핸들 하우징(16)과, 이 핸들 하우징(16)의 후면 끝단에 톱니(15)가 형성된 오일 댐퍼(14)를 설치하고, 이 오일 댐퍼(14)의 톱니(15)에 맞물리는 톱니(15')를 갖는 핸들 노브(12)로 형성되며, 상기, 오일 댐퍼(14)는 회전판(18) 외측으로 톱니(15)를 형성하고 이 회전판(18) 외부로 덮개판(19)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판(18)과 덮개판(19) 사이에 오일(17)을 삽입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을 완화 시켜주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겼다 놓을 때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핸들 하우징에 톱니가 형성된 오일 댐퍼를 설치하여 핸들 노브가 회전할 때 톱니가 오일 댐퍼에 의하여 부하를 걸어주므로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이 서서히 원위치되어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승용차, 트럭에 관계없이 아우트 패널과 이너 패널의 주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너 패널과 아우트 패널은 어느것이나 모두 강판제이며, 이너 패널이 도어의 골조로 작용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이너 패널에는 도어, 레귤레이터, 도어 록 기구 등을 장치하기 위한 단(턱)이나 구멍이 설치되며 하중이 걸리는 부분에는 보강판이 장치되어 있다. 또 안쪽에는 구멍을 덮기 위한 커버 및 도어 트림 보드가 장치되어 있다.
상기, 아우트 패널에는 아우트 핸들 및 도어 로크용의 키를 장치하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윈도 글래스는 도어 레귤레이터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하는데, 이때 창틀이 있는 타입과 창틀이 없는 타입이 있다.
상기, 창틀이 있는 타입은 이너 패널과 아우트 패널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 및 창틀 안을 윈도 글래스가 접동하여 상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창틀이 없는 타입은 윈도 글래스 앞, 후단부에 윈도 글래스 브래킷을 고무 시트를 거쳐서 볼트로 고정하여, 이 브래킷이 도어 윈도우 가이드의 안을 상하하도록 되어 있으며 창틀이 있는 타입에 비하여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레귤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에 의해 계란형(부채꼴) 기어를 돌려 유리를 상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아우트 패널의 안쪽 주위에는 비나 먼지가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웨더 스트립이라고 하는 고무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는 도어 록(door lock), 차일드 록(child lock), 윈도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 도어 힌지(door hinge), 오픈 스토퍼(open stopper), 사이드 도어 빔(side door beam) 등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도어 록(door lock)은 자동차 주행중 도어 개폐의 필요는 전혀 없으므로 도어를 폐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통상은 실내의 노브를 누르고, 잠근 상태로 함으로써 록되지만 리어 도어와 같이 노브를 누른 채로 문을 닫았을 때 록되는 것을 셀프록, 프런트 도어와 같이 실내 노브를 누르고 문을 잠가도 셀프 록되지 않는 것을 셀프캔슬이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차일드 록(child lock)은 자동차 주행중에 어린이가 장난하여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뒷문을 차내에서 열지 못하도록 한 기구를 말한다, 차일드 프로텍터라고도 불리운다.
또한, 상기 윈도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는 창문을 아래 위로 여닫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며, 도어 패널 내부에 도어 핸들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암과 와이어가 조합되어 있다. 도어 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자가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스위치를 눌러서 도어 윈도 글래스를 승강시키는 것을 파워 왼도라고 한다.
상기, 웨더 스트립(weather strrip)은 도어가 밀폐되어 비나 물, 먼지 등이 실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도어와 보디 사이에 부착된 탄성고무나 스폰지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 개폐시의 충격이나 주행중 도어의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또 도어 뿐만 아니라 트렁크 룸의 밀폐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도 웨더 스트립이라고 한다.
상기, 도어 힌지(door hinge)는 도어의 개폐에 중용한 역할을 하는 경첩을 말하는 것임과 동시에 도어 유지의 기능도 있으므로 그 구조는 간단한 것 같지만 힘들다. 보디 외판(外板) 밖으로 힌지가 나가는 외힌지와, 보디 안쪽에 숨겨지는 것 같이되는 내힌지가 있으며, 또한 상기 오픈 스토퍼(open stopper)는 도어가 반개(半開), 또는 전개(全開)한 상태에서 잘 움직이지 않도록 한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승강(乘降)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언덕길이나 바람이 조금 강한 정도로는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유지되며 이 기구는 스프링이나 롤러 등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도어 빔(side door beam)은 측면 충돌에 대한 도어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도어 내부에 설치된 보강재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도어에는 슬라이드 도어(slide door), 걸링 도어(gullwing door) 등과 같은 형식이 있다.
상기, 걸링 도어(gullwing door)는 갈매기가 날개를 편 모양으로 열리는 도어를 말한다. 도어의 힌지는 지붕에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는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를 말하는 것이다.
종래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아우트 패널(130)에 핸들 하우징(160)이 고정 설치되고,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110)에는 핸들 노브(120)가 형성되는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110)을 당겼다 놓을 때 도어(100)의 패널에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으로 소비자의 불만의 요소가 되었으며, 또한 충격으로 도어의 핸들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의 도어 아우트 패널에 설치되는 핸들 하우징과, 이 핸들 하우징의 후면 끝단에 톱니가 형성된 오일 댐퍼를 설치하고, 이 오일 댐퍼의 톱니에 맞물리는 또 다른 톱니를 갖는 핸들 노브로 형성된 것을 제공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겼다 놓을 때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핸들 하우징 내부에 오일이 삽입되고 외측에 톱니가 형성된 오일 댐퍼를 설치하여 핸들 노브가 회전할 때 톱니가 오일 댐퍼에 의하여 부하를 걸어주므로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이 서서히 원위치되어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회전판 외측으로 톱니를 형성하고 회전판 외부로 덮개판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판과 덮개판 사이에 오일을 삽입시킨 오일 댐퍼를 핸들 하우징에 설치한 것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오일 댐퍼의 확대 단면도
도 4 는 종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11) :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12) : 핸들 노브 (13) : 도아 아우트 패널
(14) : 오일 댐퍼 (15)(15') : 톱니
(16) : 핸들 하우징 (17) : 오일
(18) : 회전판 (19) : 덮개판
도 1 및 도 2 에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어(10)의 도어 아우트 패널(13)에 설치되는 핸들 하우징(16)과, 이 핸들 하우징(16)의 후면 끝단에 톱니(15)가 형성된 오일 댐퍼(14)를 설치하고, 이 오일 댐퍼(14)의 톱니(15)에 맞물리는 톱니(15')를 갖는 핸들 노브(12)로 형성된다.
상기, 오일 댐퍼(14)는 도 3 에서와 같이 회전판(18) 외측으로 톱니(15)를 형성하고 이 회전판(18) 외부로 덮개판(19)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판(18)과 덮개판(19) 사이에 오일(17)을 삽입한다.
상기,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11)의 핸들 노브(12)를 당겼다 놓게 되면 오일 댐퍼(14) 내부에 삽입된 오일(17)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판(18)이 톱니(15)에 부하를 걸어주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11)을 당겼다 놓을 때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핸들 하우징(16) 내부에 오일(17)이 삽입되고 외측에 톱니(15)가 형성된 오일 댐퍼(14)를 설치하여 핸들 노브(12)가 회전할 때 톱니(15)가 오일 댐퍼(14)에 의하여 부하를 걸어주므로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11)이 서서히 원위치되어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은 도어(10)의 도어 아우트 패널(13)에 설치된 핸들 하우징(16)의 후면 끝단에 형성된 오일(17)이 내장된 오일 댐퍼(14)에 의하여 핸들 노브(12)가 회전할 때 톱니(15)가 오일 댐퍼(14)에 의하여 부하를 걸어주므로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11)이 서서히 원위치되므로써 도어(10)의 패널에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저감 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도어를 개방시켜주는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핸들 하우징(16) 후면 끝단에 톱니(15)가 형성된 오일 댐퍼(14)를 설치하며, 이 오일 댐퍼(14)의 톱니(15)에 맞물리는 톱니(15')를 갖는 핸들 노브(12)를 형성하여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댐퍼(14)는 회전판(18) 외측으로 톱니(15)가 형성되고, 이 회전판(18) 외부로는 덮개판(19)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18)과 덮개판(19) 사이에는 오일(17)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KR2019960038018U 1996-10-31 1996-10-31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KR0138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018U KR0138348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018U KR0138348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629U KR19980024629U (ko) 1998-07-25
KR0138348Y1 true KR0138348Y1 (ko) 1999-04-01

Family

ID=1947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8018U KR0138348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3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629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6974B2 (en) Vehicle door latch assembly
US5242208A (en) Structure of a body of an automotive vehicle
KR100316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KR0138348Y1 (ko)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KR200147675Y1 (ko) 보강재가 구비된 자동차의 도어 스트라이커
KR10038044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200160809Y1 (ko) 자동차의 체크링크 겸용 도어힌지구조
KR100193675B1 (ko) 자동차 도어 잠김 장치
KR100405606B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JPH0537690Y2 (ko)
JP4174933B2 (ja) サンルーフ装置の開閉駆動装置
JPS597131Y2 (ja) 自動車のバツクドア−構造
KR19990003101U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 임팩트 빔 보강부재
KR100376834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200148159Y1 (ko) 자동차 사이드도어의 힌지구조
KR19990003102U (ko) 차량의 전방 충돌시 승객 안전을 위한 밀림방지용 보강부재 설치구조
KR200152942Y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드바의 취부구조
KR200206952Y1 (ko) 차량 도어의 커튼 장착구조
KR100598691B1 (ko) 자동차 도어의 개폐구조
JPS6230527Y2 (ko)
KR19990029091U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KR19990054231A (ko) 자동차의 도어 패드 체결장치
KR19980016766A (ko) 도난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19980046068U (ko) 자동차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와이어 고정장치
KR970001082A (ko) 자동차 후문의 도어핸들부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