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091U -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091U
KR19990029091U KR2019970041735U KR19970041735U KR19990029091U KR 19990029091 U KR19990029091 U KR 19990029091U KR 2019970041735 U KR2019970041735 U KR 2019970041735U KR 19970041735 U KR19970041735 U KR 19970041735U KR 19990029091 U KR19990029091 U KR 199900290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hinge
stopper
fastening bracket
rubb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형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1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091U/ko
Publication of KR19990029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091U/ko

Links

Landscapes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힌지에 접촉되는 체결 브라켓트의 일측에 스톱퍼를 형성하고, 스톱퍼에는 완충용 러버캡을 개재시킴으로써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힌지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힌지와 상기 도어힌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패널에 결합되는 체결브라켓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의 하측에 스톱퍼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에는 완충용 러버캡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가 열고 닫힐 때, 상기 도어힌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힌지에 접촉되는 체결 브라켓트의 일측에 스톱퍼를 형성하고, 스톱퍼에는 완충용 러버캡을 개재시킴으로써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힌지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도어는 일반적으로 외측의 아웃패널과 내측의 이너패널을 합쳐서 창유리를 둘러싼 틀(도어프레임)을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어에는 도어 프레임과 아웃 패널을 일체로 성형하여 만든것이 있으며, 이것을 프레스 도어 또는 풀 도어라고 불리운다.
도어에는 도어로크, 도어로크 스트라이커, 도어미러, 도어트림, 도어핸들,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도어로크는 도어가 핸들을 조작하여도 열리지 않는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며, 도어로크 스트라이커는 보디에 설치되어 있는 핀이나 훅으로 도어로크에 내장된 래치와 맞물려서 도어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며, 도어미러는 아웃 미러로서 후방차량를 비추어주는 미러이며, 도어트림은 도어패널은 감싸는 부재로서, 실내장식 뿐만 아니라 차음, 흡음, 충돌시 승객보호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어에는 도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어체크가 설치되는 바, 도어체크는 도어를 열었을 때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체크는 억제하거나 멈추거나 하는 의미를 가지며, 도어의 개도는 약 60-70도가 통상적이다.
한편, 도어의 일측에는 도어를 회동시키면 여닫을 수 있도록 도어힌지가 설치되는 바, 도어힌지는 도어를 개폐할 때, 지지점이 되는 것으로, 상하 2개의 힌지가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강판 프레스 또는 주철제로 부시에 기름을 함유한 소결합금등을 사용하여 미끄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도 1 은 종래 도어 힌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 는 종래 도어 힌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2) 일측단에는 도어(2)를 차체(4)에 연결하는 도어힌지(6)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힌지(6)는 측면패널(8)에 설치된 체결 브라켓(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어(2)가 도어힌지(6)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 힌지장치에서는 체결 브라켓과 도어 힌지가 접촉될 때 소음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도어힌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힌지에 접촉되는 체결 브라켓트의 일측에 스톱퍼를 형성하고, 상기 스톱퍼에는 완충용 러버캡을 개재시킴으로써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힌지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도어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힌지와 상기 도어힌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패널에 결합되는 체결브라켓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의 하측에 스톱퍼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에는 완충용 러버캡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가 열고 닫힐 때, 상기 도어힌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은 종래 도어 힌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 는 종래 도어 힌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도어 힌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도어 100a:축
110:도어힌지 120:측면패널
130:체결브라켓 132:스톱퍼
132a:걸림돌기 140:완충용 러버캡
140a:걸림홈 142:삽입홀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도어 힌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에는 도어(100)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힌지(110)와, 도어힌지(1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패널(120)에 결합되는 체결브라켓(130)을 구비하는 바, 체결브라켓(130)의 하측에는 스톱퍼(132)가 돌출 형성되며, 스톱퍼(132)에는 완충용 러버캡(140)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100)가 열고 닫힐 때, 도어힌지(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도어힌지(110)는 도어(100)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도어힌지(110)는 다시 체결 브라켓(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체결 브라켓(130)과 접촉되는 도어힌지(110)의 하측에는 스톱퍼(1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톱퍼(132)에는 완충용 러버캡(140)이 끼워져 있다.
전술한 완충용 러버캡(140)은 도어힌지(110)가 체결 브라켓(130)에 결합되어 도어(100)가 회동될 때, 도어힌지(110)가 체결 브라켓(130)에 접촉되어 도어힌지(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용 러버캡(140)을 스톱퍼(132)에 결합할 수 있도록 스톱퍼(132) 및 완충용 러버캡(140)의 형상을 살펴보면, 우선 스톱퍼(132)의 양측면에는 래치(ratchet)형상의 걸림돌기(132a)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돌기(132a)에 대응되는 완충용 러버캡(140)의 내측면에도 래치형상의 걸림홈(140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완충용 러버캡(140)의 삽입홀(142)에 스톱퍼(132)를 삽입한 후, 눌러 끼우는 것에 의해서 걸림돌기(132a)가 걸림홈(140a)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도어힌지(110)는 도어(100)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도어힌지(110)는 다시 체결 브라켓(130)에 회동 가능하게 축(110a)결합되어 있다.
체결 브라켓(130)과 접촉되는 도어힌지(110)의 하측에는 스톱퍼(1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톱퍼(132)에는 완충용 러버캡(140)이 끼워져 있다.
전술한 완충용 러버캡(140)은 도어힌지(110)가 체결 브라켓(130)에 결합되어 도어(100)가 회동될 때, 도어힌지(110)가 체결 브라켓(130)에 접촉되어 도어힌지(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어 힌지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힌지(110)의 하측에 형성된 스톱퍼(132)에 완충용 러버캡(140)을 끼우는 과정을 살펴보면, 완충용 러버캡(140)의 삽입홀(142)에 스톱퍼(132)를 눌러 끼우면 각각에 형성된 래치형상에 의해서 스톱퍼(132)에 완충용 러버캡(140)이 결합되면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완충용 러버캡(140)은 래치형상으로 인하여 일방향으로만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충용 러버캡(140)을 스톱퍼(132)에 개재한 상태에서, 도어(100)를 열고 닫게 되는 경우, 도어힌지(110)의 스톱퍼(132)에 의해서 도어힌지(110)가 체결 브라켓(130)에 접촉될 때 도어힌지(11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도어힌지에 접촉되는 체결 브라켓트의 일측에 스톱퍼를 형성하고, 스톱퍼에는 완충용 러버캡을 개재시킴으로써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힌지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도어힌지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어(100)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힌지(110)와 상기 도어힌지(1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패널(120)에 결합되는 체결브라켓(130)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130)의 하측에 스톱퍼(1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132)에는 완충용 러버캡(140)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100)가 열고 닫힐 때, 상기 도어힌지(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KR2019970041735U 1997-12-27 1997-12-27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KR199900290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735U KR19990029091U (ko) 1997-12-27 1997-12-27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735U KR19990029091U (ko) 1997-12-27 1997-12-27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091U true KR19990029091U (ko) 1999-07-15

Family

ID=6969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735U KR19990029091U (ko) 1997-12-27 1997-12-27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09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253B1 (ko) * 2012-07-06 2013-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253B1 (ko) * 2012-07-06 2013-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9091U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KR10038044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200147675Y1 (ko) 보강재가 구비된 자동차의 도어 스트라이커
KR100527138B1 (ko)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100376834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0130282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KR200162541Y1 (ko) 하드톱차량의 도어 어셈블리용 인사이드핸들의 핸들레버
KR100207196B1 (ko) 화물트럭의 적재함 리어포스트
KR100193675B1 (ko) 자동차 도어 잠김 장치
KR0112378Y1 (ko) 자동차의 쿼터 윈도우(Quater window)용 핸들구조
KR100208590B1 (ko) 도어 스위치 내장형 오버 슬램 범퍼
JPH059401Y2 (ko)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0173030B1 (ko) 자동차용 도어 장착 구조
KR100195042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KR200257787Y1 (ko) 버스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KR0139026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래치 장착구조
KR200156548Y1 (ko) 자동차 도어의 스토퍼
KR0128656Y1 (ko) 자동차 도어잠금 장치의 소음방지 구조
JPS597131Y2 (ja) 自動車のバツクドア−構造
JPH0231307Y2 (ko)
KR200141343Y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구조
KR0138348Y1 (ko)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충격 완화 구조
KR19990029071U (ko) 자동차 도어 힌지용 와셔 분실 방지 테이프
KR200160491Y1 (ko) 자동차의 도어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