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470Y1 - 3도어 승용차의 윙(Wing)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3도어 승용차의 윙(Wing)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470Y1
KR930004470Y1 KR2019900020832U KR900020832U KR930004470Y1 KR 930004470 Y1 KR930004470 Y1 KR 930004470Y1 KR 2019900020832 U KR2019900020832 U KR 2019900020832U KR 900020832 U KR900020832 U KR 900020832U KR 930004470 Y1 KR930004470 Y1 KR 930004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attached
wing door
door opening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319U (ko
Inventor
정윤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0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470Y1/ko
Publication of KR920012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3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4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with pivotal or rotary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3도어 승용차의 윙(Wing)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윙 도어 개폐장치의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회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윙 도어의 하단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의 윙 도어를 이용하여 텐트를 설치한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 2 : 윙도어
3 : 글래스 4 : 개스스프링
5 : 힌지부재 7 : 고정부
8 : 힌지부 9 : 아암
11, 19 : 구멍 13, 14 : 직선부
15 : 스톱퍼 16, 17 : 단부
20 : 후크 21 : 웨더스트립
본 고안은 3도어 승용차의 윙(Wing)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사태에서 승차자가 쉽게 탈출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오토캠핑시에는 텐트 등을 보조할 수 있는 설비로도 이용할 수 있게 한 3도어 승용차의 윙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3도어 승용차는 뒷좌석에 별도의 승용문이 설치되어 있지않고, 단지 미닫이차창과 같은 윙 도어가 비치되어 있을 뿐이다.
이러한 윙 도어는 실내 환기를 위하여 일측을 힌지결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 환기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탑승자가 긴급히 내려야 하는 비상사태하에서 종래의 윙도어는 바상구로서의 역할을 다하기에 미흡한 점이 많아.
본 고안의 목적은 비상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게 개선된 3도어의 승용차의 윙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활용될 수 있는 설비로 되게 한 3도어의 승용차의 윙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윙 도어를 열어 놓았을 때, 이것이 오토캠핑시에 활용될 수 있는 설비로 되게 한 3도어 승용차의 윙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부에 의해 바디로 부착 되고, 통상의 개스스프링을 추축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의 윙 도어의 개폐 위치를 제한하는 단부가 대칭위치로 형성된 스톱퍼를 보유하는 힌지부재와, 플랜지에 의해 글래스의 내측 상방으로 부착되어서 보스에 뚫려진 구멍을 상기한 스톱퍼에 추축 지지시켜서 상기한 각 단부에 상호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합치된 2개의 직선부가 대응 접촉되게 하는 아암과, 상기한 글래스의 내측면 하단에 장착되어서 상기한 개스스프링의 연장단과 연결되는 브라케트와, 이 브라케트에 대응하는 글래스의 외측방에 부착되어서 상기한 브라케트에 일체로 연결되는 선단에 구멍이 뚫여진 후크판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관련된 윙 도어 개폐장치의 측단면도로서, 부호(1)은 바디를 지칭한다. 바디(1)의 소정 위치에는 윙 도어(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윙 도어(2)는 글래스(3)와 개스스프링(4), 그리고 이들을 장착하기 위한 힌지부재(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힌지부재(5)는 볼트(6)에 의해 바디(1)로 고정되는 고정부(7)와 이 고정부(7)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개스스프링(4)를 추축하는 힌지부(8)로 이루어져 있다.
외측방으로 회동되어 열고 닫히는 글래스(3)는 그 상측부의 내면에 고정 부착된 아암(9)을 통하여 힌지부재(5)에 추축 연결된다.
아암(9)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래스(3)에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10)와, 이 플랜지(10)에 일체로 형성되어 구멍(11)을 보유하는 보스(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멍(11)에는 상호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합치되는 2개의 직선부(13)(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11)내에는 힌지부재(5)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15)가 삽입 연계되어 있다.
이 스톱퍼(15)는 힌지부재(5)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외주에는 상기한 직선부(13)에 접촉하는 단부(16)와, 또 직선부(14)에 접촉하게 되는 단부(17)가 대칭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개스스프링(4)의 연장단은 제3도에 묘사한 바와 같이, 글래스(3)의 내측면 하단에 부착된 브라케트(18)로 힌지 연결되어 있다.
브라케트(18)는 글래스(3)의 외측면 대응부위에 부착된 구멍(19)이 뚫린 후크편(20)과 연결되어 글래스(3)와 일체로 되어 있다.
다시 제1도를 참조하면, 글래스(3)의 테두리에는 웨더스트립(21)이 끼워져 있고, 이 웨더스트립(21)은 글래스(3)의 내측방으로 고리(21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고리(21a)는 글래스(3)가 닫힌 상태에서 바디(1)에 부착되어 있는 몰딩재(22)와 맞물려져서 인위적 외력에 가하여지지 않는 한 글래스(3)가 저절로 열려지는 일이 없게 해준다.
제1도의 미설명부호 23은 누수방지를 위한 웨더스트립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윙 도어 개폐장치는 웨더스트립(21)의 고리(21a)가 바디(1)의 몰딩재(22)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는 이들의 결합력에 의해 글래스(3)의 열림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윙 도어의 개방은 차내에서 글래스(3)를 밀거나 혹은 차 밖에서 후크(20)를 잡고 당기는 조작으로 행해진다.
글래스(3)에 인위적 힘이 가해지면, 웨더스트립(21)의 고리(21a)는 이와 맞물려 있는 웨더스트립(22)에서 벗겨지면서 글래스(3)가 차 외측방으로 개방된다.
글래스(3)가 개방될 때, 개스스프링(4)에 비축되어 있던 탄성력이 작용하여 글래스(3)의 취급에 힘이 들지 않게 된다. 또한 개스스프링(4)은 사점(Dead Point)까지 신장되고 난 후에는 글래스(3)를 받쳐 주는 서포트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글래스(3)의 개방과 동시에 아암(9)은 스톱퍼(15)를 축으로 하여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의 회전은 직선부(14)가 스톱퍼(15)의 단부(17)에 접촉할 때까지 유지된다.
반대로 열려진 윙 도어(2)를 닫는 경우에는 직선부(13)에 단부(16)가 접촉할 때까지 아암(9)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윙 도어(2)는 차체의 상측방으로 활짝 열리기 때문에 종래와는 달리 넓은 면적의 비상구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의 윙 도어와 후방측의 도어(이 도어가 해치 백타입인 경우에 한함)를 열어 놓은 채로 글래스(3)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크(20)를 이용하여 텐트와 같은 야영도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오토캠핑에도 상당한 편리성을 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윙 도어 개폐장치는 3도어 승용차에서 뒷좌석의 차창이 넓은 면적으로 열릴 수 있게 한 것이므로 비상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게 되고, 또 2개의 윙 도어와 후방도어를 이용하여 텐트 등의 설치도 가능케 한 것이므로 다용도화 할 수 있는 실용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고정부(7)에 의해 바디(1)로 부착되고, 통상의 개스스프링(4)을 추축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8)와 윙 도어(2)의 개폐 위치를 제한하는 단부(16)(17)가 대칭위치로 형성된 스톱퍼(15)를 보유하는 힌지부재(5)와, 플랜지(10)에 의해 글래스(3)의 내측 상방으로 부착되어서 보스(12)에 뚫려진 구멍(11)을 상기한 스톱퍼(15)에 추축 지지시켜서 상기한 각 단부(16)(17)에 상호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합치된 2개의 직선부(13)(14)가 대응 접촉되게 하는 아암(9)과, 상기한 글래스(3)의 내측 하단에 장착되어서 상기한 개스스프링(4)의 연장단과 연결되는 브라케트(18)와, 이 브라케트(18)에 대응하는 글래스(3)의 외측방에 부착되어서 상기한 브라케트(18)에 일체로 연결되는 선단에 구멍(19)이 뚫려진 후크판(20)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도어 승용차의 윙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글래스(3)의 하단부 테두리에는 바디(1)의 대응 접촉부에 끼워진 몰딩체(22)와 맞물릴 수 있는 고리(21a)를 글래스(3)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있는 웨더스트립(21)이 장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3도어 승용차의 윙 도어 개폐장치.
KR2019900020832U 1990-12-24 1990-12-24 3도어 승용차의 윙(Wing) 도어 개폐장치 KR930004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832U KR930004470Y1 (ko) 1990-12-24 1990-12-24 3도어 승용차의 윙(Wing)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832U KR930004470Y1 (ko) 1990-12-24 1990-12-24 3도어 승용차의 윙(Wing)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319U KR920012319U (ko) 1992-07-25
KR930004470Y1 true KR930004470Y1 (ko) 1993-07-16

Family

ID=1930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832U KR930004470Y1 (ko) 1990-12-24 1990-12-24 3도어 승용차의 윙(Wing)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4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319U (ko) 199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3904A (en) Station wagon tailgate
JPS61282119A (ja) ピボツト式シヤ−シのついた車両用ガラス扉
US4655499A (en) Door hinge for vehicle
US4466644A (en) Multi-positioning latch assembly
KR930004470Y1 (ko) 3도어 승용차의 윙(Wing) 도어 개폐장치
US3406483A (en) Combination hinge-latch device
JP2002504048A (ja) 自動車のラゲッジルームのバックドア用の開閉可能なガラスハッチ組立体
JPH0231307Y2 (ko)
JPH0439079Y2 (ko)
KR200148144Y1 (ko) 자동차의 후방도어 힌지 구조
KR100964427B1 (ko) 도어개폐장치
KR100196186B1 (ko)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JPH0144334Y2 (ko)
KR200144269Y1 (ko) 자동차 도어 글라스의 스톱퍼와 캐치의 결합구조
KR100269092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힌지부의 구조
KR200257787Y1 (ko) 버스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KR19980014369A (ko) 차량용 쿼터 윈도글라스의 개폐장치
KR100462673B1 (ko) 화물차량의 내장형 리어 포스트 구조
JPH0520584Y2 (ko)
JPH0535911Y2 (ko)
KR200162102Y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글래스 개폐장치
KR960040745A (ko) 승강지붕 부착차량의 지붕구조
JPH0510136Y2 (ko)
KR200156548Y1 (ko) 자동차 도어의 스토퍼
US1364458A (en) Curtain-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