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461Y1 - 자동차의리어도어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리어도어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461Y1
KR200187461Y1 KR2019970044911U KR19970044911U KR200187461Y1 KR 200187461 Y1 KR200187461 Y1 KR 200187461Y1 KR 2019970044911 U KR2019970044911 U KR 2019970044911U KR 19970044911 U KR19970044911 U KR 19970044911U KR 200187461 Y1 KR200187461 Y1 KR 200187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ar
rear door
piston
cylinder
guide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157U (ko
Inventor
김윤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4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46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1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1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E05Y2201/11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 피스톤 상부에 공기압을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한 로킹바와, 상기 로킹바가 끼워지는 요홈을 형성한 안내부시와, 상기 요홈과 로킹바와의 사이에는 탄성력을 구비한 스프링과, 피스톤의 압입시 안내부시의 탈거를 방지하도록 실린더의 상부에 장착된 커버로 구성되어 오픈된 도어를 지지하는 간단한 구조로 지지성이 크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실린더에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공기압을 차단하기 위한 로킹바를 설치하고, 상기 로킹바를 안내하는 안내부시를 장착하므로 도어 오픈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공기압을 차단하므로 상기 공기압에 의해 도어가 오픈된 상태로 지지되는 간단한 구조로 지지성이 크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자동차에는 자동차에 탑승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도어가 필연적으로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자동차의 후면에는 화물칸을 개폐하도록 하는 트렁크 리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었다.
특히, 승합차나 왜건(Wagon)형태의 자동차에 있어서는 화물칸을 개폐하는 백도어가 상부의 힌지를 지지점으로 상,하로 개폐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구조는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체(1)에 설치된 로크암(2)과, 리어도어(3)에 형성된 힌지(4)와, 상기 로크암(2)과 힌지(4)를 연결하는 실린더(5)와 피스톤(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구조는 도어 오픈시 차체(1)에 설치된 로크암(2)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로크암(2)에 연결된 피스톤(6)을 누르게 되어 피스톤(6)이 외부로 늘어나서 리어도어(3)를 지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리어도어(4)를 닫음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도어를 오픈하기 위해 로크를 누르기 위해 사용자가 힘을 가하기 때문에 로크가 쉽게 파손되고, 리어 도어의 중량이 증가되므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에 복원용 스프링을 장착하여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오픈된 도어를 지지하는 간단한 구조로 지지성이 크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피스톤 상부에 공기압을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한 로킹바와, 상기 로킹바가 끼워지는 요홈을 형성한 안내부시와, 상기 요홈과 로킹바와의 사이에는 탄성력을 구비한 스프링과, 피스톤의 압입시 안내부시의 탈거를 방지하도록 실린더의 상부에 장착된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 1 도는 종래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구조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리어 도어 개폐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열린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닫힌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로크암
3 : 리어도어 4 : 힌지
5 : 실린더 6 : 피스톤
10 : 로킹 바 20 : 스프링
30 : 안내부시 40 : 커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에 설치된 로크암(2)과 리어도어(3)에 형성된 힌지(4)와 상기 로크암(2)과 힌지(4)를 연결하는 실린더(5)와 피스톤(6)으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6)의 일측 끝단부에는 나사를 구비한 고정봉(6a)에는 압입부재(6b)가 나합 설치되어 있다.
한편 실린더(5)의 외통(5a) 일측 끝단부에는 커버(40)에 의해 막혀져 있고 이의 내측면부와 접하도록 요홈(30a)을 구비한 안내부시(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시(30)의 요홈(30a)에는 스프링(20)이 탄설되게 설치되되 상기 요홈(30a)에는 피스톤 내통(5b)을 관통한 로킹바(10)의 로드부(10a)가 삽입 설치 된다.
상기 로킹바(10)의 구조는 봉형의 로드부(10a)의 일측 끝단부에는 단턱부를 형성하며 로드부(10a) 측면부에는 중앙부쪽으로 관통되다가 하부로 절곡되어 관통되는 유로(10b)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도어(3)가 닫힌상태일 때에는 피스톤(6)의 고정봉(6a)에 나합된 압입부재(6b)에 의해 내통(5b)에 충전된 공기를 압축하게 되므로 압력이 발생된다.
상기 발생된 압력은 로킹바(10)를 상부 즉, 요홈(30a)내로 밀게되며 이때 스프링(20)은 로킹바(10)의 로드부(10a)에 의하여 압축되어 진다.
한편 상기 로킹바(10)가 요홈(30a)내로 밀려 들어가다가 로킹바(10) 측면부에 구비된 유로(10b)가 내통(5b)과 안내부시(30)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다다르게 되면 유로(10b)를 통해 내통(5b)의 공기는 외통(5a)의 내부로 이동된다.
상기 내통(5b)의 공기가 외통(5a)내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6)이 용이하게 압축되어져 도어(3)가 무리없이 닫혀지게 된다.
반면에 도어(3)가 열리게 되면 피스톤(6)이 당겨지면서 압입시에 작용하고 있던 압력이 서서히 해지되며, 이때 상기 로킹바(10)의 유로(10b)를 통해 외통(5a)내로 이동된 공기가 다시 내통(5b)으로 이동된다.
상기 외통(5a)내의 공기가 내통(5b)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로킹바(10)가 내통(5b)으로 밀려 나가게 되면서 유로(10b) 또한 내통(5b)으로 인입되어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상기 작동에서와 같이 자동차의 리어 도어(3) 오픈시 압축된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로킹바(10)가 안내부시(30)를 따라 하강하면 실린더(5)에 들어 있는 공기를 차단하게 되어 리어 도어(3)를 지지 하게 되고, 도어를 닫을 때 사용자가 누르는 힘이 스프링(20)의 장력보다 강해 로킹바(10)를 안내부시에 따라 승강하므로 실린더(5)안에 들어 있는 공기를 피스톤(6)방향으로 통과 시키므로, 리어 도어(3)를 닫을 수 있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리어 도어를 지지하는 힘이 강해 상품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피스톤 상부에 공기압을 차단하기 위한 스프링과 연결된 로킹바와 상기 로킹바를 안내하는 안내부시를 장착하므로 자동차의 리어 도어 오픈시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로킹바가 안내부시를 따라 하강하면 실린더에 들어 있는 공기를 차단하게 되어 리어 도어를 지지하게 되고, 도어를 닫을 때 사용자가 누르는 힘이 스프링의 장력보다 강해 로킹바를 안내부시에 따라 승강하므로 실린더안에 들어 있는 공기를 피스톤방향으로 통과 시키므로, 리어 도어를 닫을 수 있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리어 도어를 지지하는 힘이 강해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에 설치된 로크암과, 리어도어에 형성된 힌지와, 상기 로크암과 힌지를 연결하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상부에 공기압을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한 로킹바와;
    상기 로킹바가 끼워지는 요홈을 형성한 안내부시와;
    상기 요홈과 로킹바와의 사이에는 탄성력을 구비한 스프링과;
    피스톤의 압입시 안내부시의 탈거를 방지하도록 실린더의 상부에 장착된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KR2019970044911U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리어도어개폐구조 KR200187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11U KR200187461Y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리어도어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11U KR200187461Y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리어도어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157U KR19990032157U (ko) 1999-07-26
KR200187461Y1 true KR200187461Y1 (ko) 2000-07-15

Family

ID=1952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911U KR200187461Y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리어도어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4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157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837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KR200187461Y1 (ko) 자동차의리어도어개폐구조
KR100395067B1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록킹장치
CN219509470U (zh) 一种汽车行李箱弹簧顶块
KR100534338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손잡이 장착구조
KR100424885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0208590B1 (ko) 도어 스위치 내장형 오버 슬램 범퍼
KR100376471B1 (ko) 해치백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KR100222168B1 (ko) 자동차 글로브박스의 덮개작동용 에어댐퍼
KR100921109B1 (ko) 테일게이트 구조
KR200144265Y1 (ko) 자동차 도어의 밀림방지구조
KR200144501Y1 (ko) 가변링크를 가진 힌지를 이용한 여닫이식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KR0126596B1 (ko) 자동차의 트렁크 오프너(Trunk opener) 및 필라리드(Filler Lid) 구조
KR100432076B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 안내구조
KR200166212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KR100381237B1 (ko) 레저 차량의 백 도어 글래스 손잡이
KR20030024061A (ko) 사물함의 유동방지구조
KR100435891B1 (ko) 차량 트렁크 내부의 소물함 커버후크구조
KR100263947B1 (ko) 자동차 트렁크용 스테이 댐퍼
KR0123739Y1 (ko)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KR19980024185U (ko) 컨솔 암 레스트 개폐구조
KR0114599Y1 (ko) 자동차 해치도어(hatch door)의 유동방지장치
KR19990041161A (ko) 자동차 도어록 자동 잠금장치
KR19980027195U (ko) 차량용 적재함
KR20030010797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