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855B1 -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855B1
KR100345855B1 KR1020000021930A KR20000021930A KR100345855B1 KR 100345855 B1 KR100345855 B1 KR 100345855B1 KR 1020000021930 A KR1020000021930 A KR 1020000021930A KR 20000021930 A KR20000021930 A KR 20000021930A KR 100345855 B1 KR100345855 B1 KR 100345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lid
striker
vehicle
mounting structure
r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659A (ko
Inventor
곽보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85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어리드(3)의 스트라이커(5) 측부에 U자형의 탄성편인 스프링(7)이 장착되어, 리어리드(3)가 닫혔을 때 차체(1)에 밀착되어 리어리드(3)를 열림방향으로 지지해줌으로써 주행중 리어리드(3)의 떨림을 방지하여 소음이 저감되며, 상기 스트라이커(5)와 로커(6)의 마모를 방지하여 체결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a mounting structure of a rear lid of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중 리어리드의 떨림이 방지됨으로써 진동이음이 발생되지 않고, 로커와 스트라이커의 마모가 방지됨으로써 리어리드의 체결력 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된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리어리드는 밴형차량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하로 개폐됨으로써 차실 내에 짐을 싣거나 내릴 때 편리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리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개구부 상단에 힌지(2)를 매개로 리어리드(3)가 장착되고, 이 리어리드(3)는 상기 차체(1)에 일단이 장착된 댐퍼(4)에 의해 지지되며, 리어리드(3)의 하단과 이 리어리드(3)가 닫혔을 때 상응하는 위치의 차체(1)부분에 각각 스트라이커(5)와 로커(6)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리드(3)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5)가 로커(6)에 끼워져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또한 상기 댐퍼(4)는 그 위치에 따라 리어리드(3)의 열림동작을 돕거나 닫힌상태를 유지하는데 보조적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스트라이커(5)는 로커(6)에 삽입 및 이탈되어져야만 하는 것이므로 로커(6)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양자의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이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자동차 주행시 리어리드(3)에 떨림이 발생하여 소음이 발생되고, 떨림이 반복되면 스트라이커(5)와 로커(6)에 마모가 발생되어 리어리드(3)의 진동폭이 증가하고, 따라서 진동이음이 증가되며, 결과적으로 스트라이커(5)와 로커(6)의 체결력이 감소되어 리어리드(3)의 닫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닫힌 상태를 보조할 수 있는 상기 댐퍼(4)의 작동압을 증가시켜 리어리드(3)를 차체(1) 쪽으로 강하게 밀착시켜 떨림을 방지하고, 이에 따르는 상기의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는 있으나, 상기 리어리드(3)는 사람의 손으로 열리고 닫히는 것이므로 개폐의 편의성을 고려할 때 댐퍼(4)의 작동압을 증가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리어리드가 닫혀진 상태에서 자동차 주행중 리어리드가 떨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진동소음발생을 방지하고, 스트라이커와 로커 마모로 인한 리어리드의 체결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의 측단면도,
도 2는 리어리드가 닫혔을 때 스트라이커와 로커 체결부의 종래기술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대응도로서, 스트라이커와 로커 체결부의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힌지,
3 : 리어리드, 4 : 댐퍼,
5 : 스트라이커, 6 : 로커,
7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리드가 차체에 힌지장착되고 댐퍼로 지지되며, 리어리드와 차체에 각각 스트라이커와 로커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리어리드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리어리드가 닫혔을 때 스프링이 차체에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리어리드가 닫혔을 때 스프링이 리어리드를 열리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어 주행중의 떨림을 억제하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 후방 개구부 위쪽의 차체(1)에 힌지(2)를 매개로 리어리드(3)가 장착되고, 이 리어리드(3)는 차체(1)에 일단이 고정된 댐퍼(4)에 의해 지지되며, 리어리드(3)와 차체(1)의 각 하부에는 스트라이커(5)와 이 스트라이커(5)가 삽입체결되는 로커(6)가 구비된 구조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리드(3)에 스프링(7)이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탄성편으로서, 한쪽 수직부분이 다른 한쪽 수직부분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긴 부분이 리어리드(3)의 스트라이커(5) 측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리어리드(3)가 닫혔을 때 상기 스프링(7)의 짧은 쪽 수직부분이 차체(1)상의 대응위치에 밀착되어 리어리드(3)를 열리는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주행중 리어리드(3)의 떨림이 방지되므로, 진동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스트라이커(5)와 로커(6)가 상호 마찰에 의해 마모되지 않게 되어 체결력의 저하가 방지되며, 이 스프링(7)은 리어리드(3)를 손으로 열고 닫는데 아무런 부담을 주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에 접촉되는 상태로 리어리드를 탄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리어리드의 주행중 떨림이 방지되어, 주행중 리어리드의 진동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차량의 정숙성이 향상되며, 스트라이커와 로커의 마모에 의한 체결력의 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1)에 힌지(2)를 매개로 리어리드(3)가 장착되고, 이 리어리드(3)는 차체(1)에 일단이 고정된 댐퍼(4)에 의해 지지되며, 리어리드(3)와 차체(1)의 각 하부에는 스트라이커(5)와 로커(6)가 구비된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리드(3)에 이 리어리드(3)가 닫혔을 때 상기 차체(1)면에 밀착되어 리어리드(3)를 열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7)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
KR1020000021930A 2000-04-25 2000-04-25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 KR100345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930A KR100345855B1 (ko) 2000-04-25 2000-04-25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930A KR100345855B1 (ko) 2000-04-25 2000-04-25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659A KR20010097659A (ko) 2001-11-08
KR100345855B1 true KR100345855B1 (ko) 2002-07-24

Family

ID=1966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930A KR100345855B1 (ko) 2000-04-25 2000-04-25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2452B2 (en) * 2013-05-13 2015-05-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and a hinge assembly for a storage compartment of the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9018U (ko) * 1973-12-20 1975-07-28
JPS63293290A (ja) * 1987-05-26 1988-11-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リッド装置
KR970006745A (ko) * 1995-07-21 1997-02-21 한승준 승용차의 백도어용 힌지브라케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9018U (ko) * 1973-12-20 1975-07-28
JPS63293290A (ja) * 1987-05-26 1988-11-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リッド装置
KR970006745A (ko) * 1995-07-21 1997-02-21 한승준 승용차의 백도어용 힌지브라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659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918A (en) Anti-noise collar for vehicle latch
KR100316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KR100345855B1 (ko)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
KR0132239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개폐구조
KR100517697B1 (ko) 글로브박스의 댐퍼구조
KR0119190Y1 (ko) 도어 힌지 연결핀
KR200146223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스토퍼
KR100921109B1 (ko) 테일게이트 구조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200156078Y1 (ko) 자동차 휀더의 완충러버 체결구조
KR0132607Y1 (ko) 완충용 클립을 구비한 콘솔 박스
KR0134879Y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소음 방지구조
JP3711924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衝撃吸収構造
KR930003188Y1 (ko) 콤바인의 엔진실 도어 록킹장치
KR19980024185U (ko) 컨솔 암 레스트 개폐구조
KR100205971B1 (ko)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 장치
KR960015715B1 (ko) 승용차의 트렁크리드 열림장치
KR200186003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댐퍼
KR19980037935U (ko) 글로브 박스 개폐속도 제어구조
KR19990004869U (ko) 차량의 리어 트레이 장착용 클립
KR0115824Y1 (ko) 콘솔 리드 댐퍼
KR200261182Y1 (ko) 상용차의데크힌지부구조
KR19980041384U (ko) 글로브 박스 개폐속도 제어구조
KR200424048Y1 (ko) 자동차용 어퍼트레이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