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971B1 -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971B1
KR100205971B1 KR1019970011873A KR19970011873A KR100205971B1 KR 100205971 B1 KR100205971 B1 KR 100205971B1 KR 1019970011873 A KR1019970011873 A KR 1019970011873A KR 19970011873 A KR19970011873 A KR 19970011873A KR 100205971 B1 KR100205971 B1 KR 100205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door
packing member
vehicle
vibration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631A (ko
Inventor
신일섭
Original Assignee
박동규
쌍용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규, 쌍용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동규
Priority to KR1019970011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9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moveable by a linkage system to open/clo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해치도어에 있어서, 상기 해치도어와 차체간의 진동 발생을 방지토록 하는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요지는, 상기 해치도어(51)의 일측 단부에는 평면인 몸체(61)의 하부에는 양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물림체(62)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패킹부재(60)가 설치되고, 자동차 차체(52)에는 삽입홈(74)이 형성된 삽입체(72)가 몸체(71)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암패킹부재(70)가 설치되며, 상기 암패킹부재(70)의 삽입체(72) 상부에는 탄성고무(80)를 고정토록 하는 고정편(7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물림체(62)의 양측 경사면과 삽입체(72) 삽입홈(74)의 내측 경사면은 상호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자동차 차체 및 해치도어에 설치되면서 서로 긴밀하게 맞물리는 암,수 패킹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해치도어의 닫힘후 자동차의 운행시 상기 해치도어와 차체간에 발생되는 진동이 방지되어 소음이 극히 저하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승차환경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해치도어에 있어서, 상기 해치도어의 개폐 작동시 또는 닫힌후의 해치도어와 차체간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상기 해치도어의 일측 단부에는 평면인 몸체의 하부에는 양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물림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자동차 차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체가 몸체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암패킹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암패킹부재의 삽입체 상부에는 탄성고무를 고정토록 하는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물림체의 양측 경사면과 삽입체 삽입홈의 내측 경사면은 상호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자동차 차체 및 해치도어에 설치되면서 서로 긴밀하게 맞물리는 암, 수패킹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해치도어의 개폐시 및 닫힌후 자동차의 운행시 상기 해치도어와 차체간에 발생되는 진동이 방지되어 소음이 극히 저하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승차환경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레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래의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구조에 있어서는, 도1 및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1)의 후방 해치도어(2)가 개폐되는 경계면에는 내측면이 경사진 진동방지용 상부패드(3)가 설치되고, 상기 해치도어(2)가 닫히는 경계면의 자동차 차체(4)에는 상기 상부패드(3)의 경사면과 상호 일치되어 긴밀하게 접촉토록 내측면이 경사진 하부패드(5)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구조에 있어서는, 도1 및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동차 해체도어(2)를 걔폐 작동하면, 상기 해치도어(2)에 장착된 상부패드(3)와 차체 하부패드(5)가 상호 경사면에 의해 긴밀하게 접촉되면서 끼워지게 되어 상기 해치도어(2)와 차체(4)간의 진동이 방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구조에 있어서는, 도1및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 해치도어(2)가 닫힌후 차체(4)간의 수평 방향으로의 진동은 방지되나, 상기 진동방지용 상,하패드(3)(5)의 접촉면의 경사방향이 수직방향으로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 해치도어(2)와 차체(4)간의 수직방향으로의 진동 방지는 취약하여 해치도어(2)와 차체(4)간에는 진동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탑승자의 승차환경이 취약하게 되는 동시에, 자동차 차체 및 해치도어의 수명이 감소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해치도어의 일측 단부에는 평면인 몸체의 하부에는 양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물림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자동차 차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체가 몸체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암패킹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암패킹부재의 삽입체 상부에는 탄성고무를 고정토록 하는 고정편 및 일측의 단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물림체의 양측 경사면과 삽입체 삽입홈의 내측 경사면은 상호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자동차 차체 및 해치도어에 설치되면서 서로 긴밀하게 맞물리는 진동 방지장치의 암, 수패킹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해치도어의 개폐시 및 닫힌후 자동차의 운행시 상기 해치도어와 차체간에 발생되는 진동이 방지되어 소음이 극히 저하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승차환경이 향상되는 한편, 그 제작 및 설치도 용이하게 되는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자동차 해치도어의 일측 단부에는 진동방지용 수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패킹부재의 평면인 몸체의 하부에는 양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물림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 차체에는 상기 수패킹부재의 물림체가 해치도어의 닫음시 긴밀하게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체가 몸체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암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암패킹부재의 삽입체 상부에는 삽입홈 내측으로 끼워지는 탄성고무를 고정토록 하는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체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고무가 걸리어 지지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물림체의 양측 경사면과 삽입체 삽입홈의 내측 경사면은 상호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구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2a도 및 2b도는 종래의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용 패킹을 도시한 상태도 및 개략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인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인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
제6도는 본 발명인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의 결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자동차 해치도어 60 : 진동방지용 수패킹부재
61 : 수패킹부재 몸체 62 : 수패킹부재 물림체
70 : 암패킹부재 71 : 암패킹부재 몸체
72 : 암패킹부재 삽입체 73 : 암패킹부재 고정편
74 : 삽입홈 75 : 단턱
80 : 탄성고무 90 : 고정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는 본 발명에 다른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인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인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인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의 결합상태도로서, 자동차 해치도어(51)의 일측 단부에는 진동방지용 수패킹부재(60)가 설치되고, 자동차 차체(52)에는 상기 수패킹부재(60)가 긴밀하게 끼워지는 암패킹부재(70)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패킹부재(60)의 평면인 몸체(61)의 하부에는 양단부에 경사면이 암패킹부재(70)의 삽입홈(74) 경사면과 일치되는 물림체(6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자동차 차체(52)에 상기 수패킹부재(60)의 물림체(62)가 해치도어(51)의 닫음시 긴밀하게 끼워토록 설치되는 상기 암패킹부재(70)는, 삽입홈(74)이 형성된 삽입체(72)가 몸체(71)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암패킹부재(70)의 삽입체(72) 상부에는 삽입홈(74) 내측으로 끼워지고 탄성고무(80)를 고정토록 하는 고정편(7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체(72)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고무(80)가 걸리어 지지되는 단턱(75)이 형성되며, 상기 물림체(62)의 양측 경사면과 삽입체(72) 삽입홈(74)의 내측 경사면은 상호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패킹부재(70) 삽입체(72)의 삽입홈(74) 내측으로 고정편(73)에 끼워지는 고정되는 상기 탄성고무(80)는, ㄴ자로 형성되어 내측경계면에는 고정편(73)의 단부가 삽입되는 요홈(8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73)은 , 암패킹부재(70)의 수작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탄성고무(80)의 일단이 끼워지는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암, 수 패킹부재(70)(60)의 몸체(71)(61)에는, 해치도어(51)와 차체(52)의 결합을 가능토록 하는 고정홈(90)이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왜건이나 승합차등과 같은 자동차(50)의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개폐작동되는 해치도어(51)가 설치되는데, 그 설치위치가 자동차 후방이고, 동시에 그 힌지점이 상부에 있으므로 상기 해치도어(51)와 그 인접차체(52)간에는 진동이 손쉽게 발생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또한, 자동차(50) 해치도어(51)와 차체(52)에는 상호 긴밀하게 접촉되는 암, 수 패킹부재(70)(60)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해치도어(510의 닫음시 해치도어(51)와 차체(52)건의 긴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패킹부재(60)는, 평면인 몸체(61)의 하부에 양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물림체(62)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물림체(62)가 암패킹부재(70)에 끼워지면서 접촉토록 된다.
한편, 상기 자동차 차체(52)에 설치된 암패킹부재(70)은 상기 수패킹부재(60)의 물림체(62)가 해치도어(51)의 닫음시 긴밀하게 끼워지는 삽입홈(74)이 형성된 삽입체(72)가 몸체(71)상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패킹부재(60)의 물림체(62)가 해치도어(51)의 닫음시 각운동하면서 상기 암패킹부재(70)의 삽입체 삽입홈(74)에 긴밀하게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암패킹부재(70)의 삽입체(72) 상부에는 고정편(73)이 일체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홈(74) 내측으로 탄성고무(80)가 삽입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편(73)에는 ㄴ자로 형성된 탄성고무(80)의 하측면이 끼워지어 상기 탄성고무(80)는 암패킹부재(70)의 삽입체(72)내에 긴밀하게 부착되며, 따라서 상기 수패킹부재(60)의 물림체(62)가 암패킹부재(70)의 삽입체(72)에 끼워지면서 상기 탄성고무(80)의 탄성으로 부드럽게 접촉되는 동시에 긴밀성은 향상되는 것이다.
이에더하여, 물림체(62)의 양측 경사면과 삽입체(72) 삽입홈(74)의 내측 경사면은 상호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고무(80)의 내측 경계면에는 요홈(8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체(72)의 상부에는 단턱(75)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편(73)의 단부는 끼워지는 탄성고무(80)의 요홈(81)에 삽입되어 탄성고무(80)의 끼움작업이 용이하며, 상기 단턱(75)으로 인하여 탄성고무(8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에따라서, 자동차 해치도어(51)와 차체(52)간에 상호 맞물리는 물림체(62)와 삽입체(72)가 형성된 수패킹부재(60) 및 암패킹부재(70)가 각각 설치됨으로 인하여, 해치도어(51)의 진동 발생이 방지되는, 그 진동방지 방향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져 진동방지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차체 및 해치도어에 설치되면서 서로 긴밀하게 맞물리는 진동 방지장치의 암, 수패킹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해치도어의 개폐시 및 닫힌후 자동차의 운행시 상기 해치도어와 차체간에 발생되는 진동이 방지되어 소음이 극히 저하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승차환경이 향상되는 한편, 그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해치도어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50) 해치도어(51)의 일측 단부에는 진동방지용 수패킹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패킹부재(60)의 평면인 몸체(61)의 하부에는 양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물림체(6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 차체(52)에는 상기 수패킹부재(60)의 물림체(62)가 해치도어(51)의 닫음시 긴밀하게 끼워지는 삽입홈(74)이 형성된 삽입체(72)가 몸체(71)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암패킹부재(70)가 설치되고, 상기 암패킹부재(70)의 삽입체(72) 상부에는 삽입홈(74) 내측으로 끼워지는 탄성고무(80)를 고정토록 하는 고정편(7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체(72)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고무(80)가 걸리어 지지되는 단턱(75)이 형성되며, 상기 물림체(62)의 양측 경사면과 삽입체(72) 삽입홈(74)의 내측 경사면은 상호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패킹부재(70) 삽입체(72)의 삽입홈(74) 내측으로 고정편(73)에 끼워지는 고정되는 탄성고무(80)는, ㄴ자로 형성되어 내측경계면에는 고정편(73)의 단부가 삽입되는 요홈(8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73)은, 암패킹부재(70)의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수 패킹부재(70)(60)의 몸체(71)(61)에는, 해치도어(51)와 차체(52)의 결합을 가능토록 하는 고정홈(90)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 방지장치.
KR1019970011873A 1997-03-31 1997-03-31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 장치 KR100205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873A KR100205971B1 (ko) 1997-03-31 1997-03-31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873A KR100205971B1 (ko) 1997-03-31 1997-03-31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631A KR19980075631A (ko) 1998-11-16
KR100205971B1 true KR100205971B1 (ko) 1999-07-01

Family

ID=1950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873A KR100205971B1 (ko) 1997-03-31 1997-03-31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9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631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226B1 (en) Car door glass run
US8128138B2 (en) Anti-chucking striker
KR100205971B1 (ko)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 장치
KR200156078Y1 (ko) 자동차 휀더의 완충러버 체결구조
KR20080039665A (ko)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200159150Y1 (ko) 철도차량의 반개폐창
KR200149257Y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구조
JPH07205657A (ja) 自動車ドアのシール体
KR19980035756U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완충용 스토퍼
KR100345855B1 (ko)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
KR19980059653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완충용 스토퍼
KR200254489Y1 (ko) 사이드 댐퍼
JPS6137738Y2 (ko)
KR19990024591U (ko) 차량의 스트라이커
KR200145080Y1 (ko) 승합자동차의 연료주입구 덮개 보호구조
KR0118599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오버슬램범퍼 고정장치
JP2576345Y2 (ja) スペーサ入りストライカ装置
KR100623808B1 (ko) 자동차의 도어체커구조
KR200141343Y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구조
KR100201462B1 (ko) 자동차용 퓨얼필러도어릴리즈구조
KR100418670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의 덮개구조
KR0140593Y1 (ko) 도어웨더스트립의 유동방지구조
KR200156487Y1 (ko) 자동차의 도어 드립 웨더스트립 밀림 방지구조
KR0112404Y1 (ko) 차량의 트렁크 리드 완충용 스토퍼
JPH0439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