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190Y1 - 도어 힌지 연결핀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 연결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190Y1
KR0119190Y1 KR2019950005657U KR19950005657U KR0119190Y1 KR 0119190 Y1 KR0119190 Y1 KR 0119190Y1 KR 2019950005657 U KR2019950005657 U KR 2019950005657U KR 19950005657 U KR19950005657 U KR 19950005657U KR 0119190 Y1 KR0119190 Y1 KR 0119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pin
connecting pin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5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764U (ko
Inventor
이상대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05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190Y1/ko
Publication of KR960031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4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2011/009Impact absorbing hinges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힌지 연결핀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힌지(10)와 도어에 고정설치되는 힌지(12)간에 축회전가능하게 서로 연결시켜주는 힌지 연결핀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14)를 형성하고, 원주면(16)의 일부에 톱니형상의 수직 절개부(18)를 구비하여서 된 제1핀(20) 내부에 상기 제1핀(20)보다 길이가 작은 동일형상의 제2핀(22)이 톱니형상의 절개부(24)가 상기 제1핀(20)의 절개부(18)와 대향되도록 밀착삽입된 구조로 되어, 내측에 삽입된 제2핀에 의해 외측 제1핀의 강성 및 탄성한계가 증가하게 되어 영구변형이 생기지 않게 되어 힌지연결핀이 힌지의 연결구멍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해주므로써 도어의 작동성을 원활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내구성도 증가하게 되고, 차량의 출발 또는 정지시에 도어힌지로부터 발생되는 소음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힌지 연결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힌지의 연결핀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핀을 사용한 도어힌지의 결합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도어힌지 연결핀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주물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스플릿 슬리브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도어힌지 14:공간부
16:원주면 18:수직절개부
20:제1연결핀 22:제2연결핀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출발 또는 정지시에 도어에 작용되는 관성력에 의해 도어힌지의 연결부위로부터 소음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힌지의 연결핀을 개선한 차량용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는 프레스로 가공한 얇은 판의 도어패널이 안쪽과 바깥부분으로 되어 있어 이것을 상자모양으로 점용접한 것으로, 이 도어가 차체에 대해 회전식으로 개폐되어질 수 있도록 도어힌지에 의해 차체의 필라부분에 연결설치되고, 이 도어가 어느 한도 이상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도어 첵이 중심차체의 필러부분과 도어중간에 리벳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빗물이나 먼지가 차실로 들어가지 않도록 고무로 만든 웨더스트립이 도어의 외측 패널 안쪽으로 설치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힌지는 도어의 작동성 즉, 도어를 개폐시에 부드럽게 작동해야 될 뿐아니라 차량의 주행시에도 차체와 일정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되며, 또한 차량의 출발 또는 정차시에 도어의 하중으로부터 발생되는 순간적인 관성력을 흡수하면서도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아야 승객의 안락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힌지의 요구사항을 만조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암힌지와 도어에 고정설치되는 숫힌지 간에 서로 연결시켜주는 힌지 연결핀이 중요한 바, 종래에는 제3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채워져 통체로 된 주물핀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통체로 된 연결핀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견디는 견고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반면에 탄성이 없어 차량이 주행중에 발생되는 도어의 유동을 부드럽게 완화시켜주지 못하므로써 도어힌지의 소성변형을 발생시킬 뿐아니라 힌지의 연결구멍도 잦은 충격에 의한 소성변형을 받게 되어 연결핀과 연결구멍사이가 헐거워지게 되며, 차체 또는 도어에 고정설치해주는 보울트도 반복되는 피로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제3도(a)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탄성 재질로 원통형상을 이루되, 원주면상의 일부를 톱니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된 스플릿 슬리브(split sleeve)가 도어힌지의 연결핀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 스플릿 슬리브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차량의 주행시 가속도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도어의 관성력을 일부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도어와 차체간에 연결을 부드럽게 유지하여 줄수 있는 반면에 차량의 급작스런 출발 도는 급제동시 발생되는 스플릿 슬리브의 탄성한계를 넘어서는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영구변형이 생기게되어 힌지의 연결구멍과 연결핀사이에 결합이 헐거워지게 되어 도어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뿐아니라 차량의 주행시 도어의 하중으로 발생되는 관성력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순간적인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도어의 관성력을 탄성적으로 흡수하여 주므로써 도어힌지의 내구성 및 작동성을 증가시켜줄 뿐아니라 연결핀의 탄성한계를 증가시켜 급제동 또는 급작스런 출발에도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는 힌지 연결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힌지 연결핀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원주면의 일부에 톱니형상의 수직 절개부를 구비하여서 된 제1연결핀 내부에 상기 제1연결핀보다 길이가 작은 동일형상의 제2연결핀이 톱니형상의 절개부가 상기 제1연결핀의 절개부와 대향되도록 밀착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내측에 삽입된 제2연결핀에 의해 외측 제1연결핀의 강성 및 탄성한계가 증가하게 되어 연구변형이 생기지 않게 되고, 힌지연결핀이 힌지의 연결구멍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해주므로써 도어의 작동성을 원활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내구성도 증가하게 되며, 차량의 출발 또는 정지시에 도어힌지로부터 발생되는 소음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 연결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의 연결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힌지(10)와 도어에 고정설치되는 힌지(12)간에 축회전가능하게 서로 연결시켜주는 힌지 연결핀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14)를 형성하고, 원주면(16)의 일부에 톱니형상의 수직 절개부(18)를 구비하여서 된 제1연결핀(20) 내부에 상기 제1연결핀(20)보다 길이가 작은 동일형상의 제2연결핀(22)이 톱니형상의 절개부(24)가 상기 제1연결핀(20)의 절개부(18)와 대향되도록 밀착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핀(20)에 외부의 충격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 절개부(18)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어 충격을 완화시켜 주게 되는 것이나, 상기 제2연결핀(22)이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 제1연결핀(20)의 탄성저항을 증가시켜 주게 되고, 더욱이 상기 제2연결핀(22)의 절개부(24)가 상기 제1연결핀(20)의 절개부(18)와 대향되는 위치로 삽입되기 때문에 제1연결핀의 절개부(18)의 탄성저항을 더욱 증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힌지연결핀의 탄성한계점이 증가하게 되므로 외부의 충격을 받더라도 영구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힌지의 연결구멍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단지 본 고안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두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힌지(10)와 도어에 고정설치되는 힌지(12)간에 축회전가능하게 서로 연결시켜주는 힌지 연결핀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14)를 이루고, 원주면(16)의 일부에 톱니형상의 수직 절개부(18)가 형성된 제1연결핀(20) 내부에 상기 제1연결핀(20)보다 길이가 작은 동일형상의 제2연결핀(22)이 톱니형상의 절개부(24)가 상기 제1연결핀(20)의 절개부(18)와 대향되도록 밀착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연결핀.
KR2019950005657U 1995-03-27 1995-03-27 도어 힌지 연결핀 KR0119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657U KR0119190Y1 (ko) 1995-03-27 1995-03-27 도어 힌지 연결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657U KR0119190Y1 (ko) 1995-03-27 1995-03-27 도어 힌지 연결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764U KR960031764U (ko) 1996-10-24
KR0119190Y1 true KR0119190Y1 (ko) 1998-07-15

Family

ID=1941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5657U KR0119190Y1 (ko) 1995-03-27 1995-03-27 도어 힌지 연결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1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764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4186B2 (ja) サイドインパクトバー組立体
US6530618B2 (en) Sealing structure of weather strip for motor vehicle
KR100316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KR0119190Y1 (ko) 도어 힌지 연결핀
JP3900782B2 (ja) グロメット
KR200284826Y1 (ko) 도어 사이드 힌지의 충격완충구조를 갖는 힌지구조
KR200156078Y1 (ko) 자동차 휀더의 완충러버 체결구조
JPS5828139Y2 (ja) 自動車用ドアチエツク装置
KR0125305Y1 (ko) 자동차도어용 힌지의 체결구조
JPH05413Y2 (ko)
KR100422880B1 (ko) 버스의 플랩도어용 스테이댐퍼 장착구조
KR200146223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스토퍼
KR0129194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KR0115714Y1 (ko) 차량용 서비스 홀 커버의 고정구조
KR100231537B1 (ko) 차량 글러브 박스의 스톱퍼
KR19980047866U (ko) 자동차 도어의 개폐완충장치
KR100195042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KR0173030B1 (ko) 자동차용 도어 장착 구조
KR100217664B1 (ko) 자동차 도어의 완충식 잠금장치
KR200203474Y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댐퍼 구조체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100217661B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KR100534314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JP3142053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
KR0115824Y1 (ko) 콘솔 리드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