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739Y1 -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739Y1
KR0123739Y1 KR2019940011201U KR19940011201U KR0123739Y1 KR 0123739 Y1 KR0123739 Y1 KR 0123739Y1 KR 2019940011201 U KR2019940011201 U KR 2019940011201U KR 19940011201 U KR19940011201 U KR 19940011201U KR 0123739 Y1 KR0123739 Y1 KR 0123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handle
trunk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1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759U (ko
Inventor
서광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11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739Y1/ko
Publication of KR950032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7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60N2/3084Disappearing in a recess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뒷좌석 등받이에 개폐가 가능한 문을 설치하여,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트렁크를 열기 위하여 차밖으로 나가지 않고 뒷좌석 등받이에 설치되어 있는 문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에서도 트렁크 내부의 짐을 꺼낼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트렁크를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뒷좌석 등받이의 문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문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문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등받이 2 : 문틀
3 : 문짝 4 : 끼움봉
5 : 끼움관 6 : 잠금장치
7 : 요홈 8 : 스프링
9 : 손잡이 10 : 돌출부
11 : 접점형성부재 12 : 팔지지대
13 : 문 14 : 리브
본 고안은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뒷좌석 등받이에 개폐가 가능한 문을 설치하고, 상기 문을 통하여 뒷좌석 등받이와 접하는 트렁크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트렁크 내부의 물건 보관상태를 확인하거나 비오는 날 또는 추운 겨울날에 운전자가 차 밖으로 나가지 않고 실내에서도 트렁크 내의 물건을 손쉽게 꺼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가 트렁크내의 보관물을 확인하고자 할 때, 혹은 트렁크에 물건을 보관하거나 트렁크로부터 차 실내로 물건을 가져와야 하는 경우에 종전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차밖으로 나가서 직접 트렁크의 문을 열고 물건을 확인하거나 꺼내 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비오는 날이나 추운 겨울날에는 이러한 불편함이 가중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에 개폐가 가능한 문을 설치하여,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트렁크를 열기 위해서 차밖으로 나가지 않고 뒷좌석 등받이에 설치되어 있는 문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에서도 트렁크를 열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트렁크를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에는 문틀(2)을 형성하고, 상기 문틀(2)에 문짝(3)을 설치하되, 이 문짝(3)의 하단부에는 끼움봉(4)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문틀(2)의 하단부에는 끼움관(5)을 형성하여 상호 힌지 결합되게 하고, 상기 문짝(3)의 상단부에는 잠금장치(6)를 장착하여 문틀(2)로부터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잠금장치(6)는 상기 문짝(3)의 상단 요홈(7a)에 장입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프링(8)과, 이 스프링(8)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문짝(3)의 요홈(7a)에 그 일부가 항상 장입되고 동시에 문틀(2)의 요홈(7b)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손잡이(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9)의 바깥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0)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잡이(9)를 아래쪽으로 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문틀(2)의 요홈(7b)과 상기 문짝(3)의 손잡이(9)에는 각각 접점형성부재(11a),(11b)가 형성되어 있어서, 문짝(3)의 개폐와 함께 트렁크 내의 램프가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뒷좌석 등받이에 형성한 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탑승자의 등을 받쳐주면서 트렁크의 일측 벽면을 구성하는 뒷좌석 등받이(1)와, 이 등받이(1)의 중앙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된 팔지지대(12)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상기 팔지지대(12)의 뒤쪽으로 트렁크의 내부를 확인하거나 이곳을 통해 물건을 넣거나 꺼낼 수 있는 문(13)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문(13)은 등받이(1)에 형성되어 있는 문틀(2)과, 이 문틀(2)의 끼움관(5)에 그 끼움봉(4)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문짝(3)과, 상기 문짝(3)의 닫힘 상태를 유지해 주는 잠금장치(6)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문틀(2)과 문짝(3) 및 잠금장치(6)를 나타낸 첨부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문틀(2)의 상단면 중앙에는 잠금장치(6)의 손잡이(9)가 수납될 수 있는 요홈(7b)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동시에 문틀(2)의 하단부에는 문짝(3)의 끼움봉(4)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관(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의 상기 끼움관(5)은 몇 개로 분리된 상태로 문틀(2)의 하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 사이에는 문짝(3)과 끼움봉(4)을 연결하는 부위가 위치되어 문짝(3)의 개폐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문짝(3)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문짝(3)의 뒷면(트렁크 면)에는 문짝(3)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14)가 가로와 세로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문짝(3)의 상단부 중앙에는 잠금장치(6)의 스프링(8)과 손잡이(9)가 각각 차례로 장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요홈(7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문짝(3)의 하단부에는 상기 문틀(2)의 끼움관(5)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는 끼움봉(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6)는 스프링(8)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상하 운동하는 손잡이(9)와, 이 손잡이(9)의 저부 양편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프링(8)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손잡이(9)의 바깥면에는 불규칙한 돌출부(10)가 형성되어 있어서, 손잡이(9)를 아래로 손쉽게 누르면서 밀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9)의 하단 일부는 문짝(3)의 요홈(7a)에 장입되어 있는 스프링(8)의 위쪽에서 탄지되어 있으며, 이때의 스프링(8)은 손잡이(9)를 항상 위쪽으로 밀고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문틀(2)의끼움관(5)에 문짝(3)의 끼움봉(4)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문짝(3)은 이와 같은 힌지 결합부위를 축으로 하여 자동차의 실내측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잠금장치(6)를 통해 문짝(3)은 문틀(2)에 대하여 닫혀지게 되거나 열려지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문틀(2)의 요홈(7b)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잠금장치(6)의 손잡이(9)를 아래쪽으로 밀면, 즉 손잡이(9)의 돌출부(10)를 약간 누르면서 아래쪽으로 밀면, 이때의 손잡이(9)는 스프링(8)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위쪽의 걸림부위 예컨대, 문틀(2)의 요홈(7b)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문틀(2)에서 문짝(3)의 걸림상태 해제가 완료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문짝(3)을 손으로 들어올려서 밀면, 손잡이(9)의 상단 곡면 부분이 문틀(2)의 요홈(7b) 끝단의 곡면부분과 맞대어지면서 이와 동시에 손잡이(9)가 아래쪽으로 약간 눌려지다가 상기 요홈(7b)의 끝단 곡면부위를 벗어남과 동시에 재차 스프링(8)의 탄성력을 받아 윗쪽의 문틀(2)의 요홈(7b)에 끼워지게 되고 따라서 문짝(3)이 닫혀지게 된다.
여기서, 손잡이(9)의 상단부는 일측면 즉, 트렁크 쪽을 향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다른 일측면 즉, 실내쪽을 향한면은 일직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문틀(2)의 요홈(7b)은 이와 반대로, 트렁크 쪽으로는 일직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문틀(2)의 요홈(7b)은 이와 반대로, 트렁크 쪽으로는 일직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내쪽으로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홈(7b)에 손잡이의 상단부가 상호간의 미끄럼 운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수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문틀(2)의 요홈(7b)과 손잡이(9)의 상단에는 문(13)의 개폐에 따라 트렁크 내의 램프(도시되지 않음)를 온, 오프시킬 수 있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접점형성부재(11a),(11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문(13)을 닫으면 손잡이(9)의 상단이 요홈(7b)에 삽입되면서 2개의 접점형성부재(11a),(11b)가 서로 붙게 되고, 반대로 문(13)을 열면 2개의 접점형성부재(11a),(11b)가 떨어지게 되므로 이때의 접점 접속/단락신호를 가지고 배터리에서 램프로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게 되면, 문(13)의 개폐여부에 따라 트렁크 내의 램프를 켜거나 끌 수 있게 된다.
즉, 문(13)이 열리면 전원이 인가되어 트렁크 내의 램프가 켜지고, 문(13)이 닫히면 전원이 차단되어 램프가 꺼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에 차실내와 트렁크 사이를 개폐할 수 있는 문을 설치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의 실내에서 편리하게 트렁크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에는 문틀(2)을 형성하고, 상기 문틀(2)에 문짝(3)을 설치하되, 이 문짝(3)의 하단부에는 끼움봉(4)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문틀(2)의 하단부에도 끼움관(5)을 형성하여 상호 힌지 결합되게 하고, 상기 문짝(3)의 상단부에는 잠금장치(6)를 장착하여 문틀(2)로부터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잠금장치(6)는 상기 문짝(3)의 상단 요홈(7a)에 장입되는 다수의 스프링(8)과, 이 스프링(8)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문짝(3)의 요홈(7a)에 그 일부가 항상 장입되고 동시에 문틀(2)의 요홈(7b)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손잡이(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9)의 바깥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2)의 요홈(7b)과 상기 문짝(3)의 손잡이(9)에는 각각 접점형성부재(11a),(1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KR2019940011201U 1994-05-20 1994-05-20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KR0123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201U KR0123739Y1 (ko) 1994-05-20 1994-05-20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201U KR0123739Y1 (ko) 1994-05-20 1994-05-20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759U KR950032759U (ko) 1995-12-16
KR0123739Y1 true KR0123739Y1 (ko) 1998-09-15

Family

ID=1938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1201U KR0123739Y1 (ko) 1994-05-20 1994-05-20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7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759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8782B1 (en) Opening/closing rear component structure of a vehicle
US6435596B1 (en) Automotive double folding tailgate
EP1215080B1 (en) Pick up truck
US20030218358A1 (en) Dual mode vehicle side door
US5478126A (en) Vehicle storage compartment latch assembly with anti-rattle device
KR0123739Y1 (ko)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KR200156281Y1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장치
KR100360168B1 (ko) 미드 게이트의 트렁크 플로어 사이의 공간 커버
JPH0346330B2 (ko)
KR100376445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개폐장치
KR200146029Y1 (ko) 양방향 개폐형 콘솔 박스
KR200247551Y1 (ko) 자동차용 화장지 홀더
KR200143695Y1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KR100376441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개폐장치
KR200314204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KR100208590B1 (ko) 도어 스위치 내장형 오버 슬램 범퍼
KR0117327Y1 (ko) 자동차용 보조거울
KR20030024061A (ko) 사물함의 유동방지구조
KR0126596B1 (ko) 자동차의 트렁크 오프너(Trunk opener) 및 필라리드(Filler Lid) 구조
KR100236491B1 (ko) 자동차의 물품수납장치
KR200192419Y1 (ko)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지지 구조
KR19990065259A (ko) 컵 홀더의 도어 개폐 구조
KR0114523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9980020444U (ko) 차량용 컵 홀더의 구조
KR19980021197U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수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