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204Y1 -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204Y1
KR200314204Y1 KR20-2003-0004729U KR20030004729U KR200314204Y1 KR 200314204 Y1 KR200314204 Y1 KR 200314204Y1 KR 20030004729 U KR20030004729 U KR 20030004729U KR 200314204 Y1 KR200314204 Y1 KR 200314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armrest
stored
vehicle
door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수
Original Assignee
박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수 filed Critical 박흥수
Priority to KR20-2003-0004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의 도어트림에 결합되는 암레스트의 구조 변형을 통해 차실 내에 우산 등을 용이하게 수납/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동차용 도어(100)의 도어트림(110)에 차실(車室) 방향으로 돌출 결합되어 운전자나 탑승자가 탑승시 팔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는 암레스트(120)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120)의 내부공간 상에 우산 등의 저장물을 수납/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수단(121)을 형성하여 상기 암레스트(120)에 편의 기능을 추가 구성하도록 하되 상기 수납수단(121)을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수납/보관되는 우산 등의 저장물에 대한 수납/보관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암레스트를 통해 팔 등의 거치 기능과 수납 기능의 두 가지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게 되며 차실 내의 정해진 공간상에 우산 등의 저장물을 상시 수납/보관할 수 있어 필요시 운전자나 탑승자가 저장물을 용이하게 바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수단을 투명재질로 구성할 수 있어 저장물에 대한 수납/보관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전 준비성 및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차실 내에 저장물을 깔끔하게 수납/보관할 수 있어 차실 내부의 미관에도 상당한 유익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STRUCTURE OF ARM REST OF DOOR TRIM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트림에 결합되는 암레스트의 구조 변형을 통해 우산 등의 저장물을 수납/보관할 수 있는 함으로써 필요시 용이하게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나 탑승자의 편의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이용하는 많은 운전자들은 차량의 실내에서 우산을 수납/보관할 마땅한 공간을 찾을 수 없어 트렁크에 보관하게 된다. 하지만 우천이나 강설시 트렁크에 보관된 우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차량 밖의 트렁크로 이동하는 동안 비나 눈을 맞아야하고 이에 의해 신체는 물론 의류가 젖게 되므로 불쾌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많은 운전자들은 우산을 트렁크에 보관하지 않는 경우 차량의 실내 바닥이나 시트의 하부 및 측면 또는 시트 상에 놓고 방치하는 경향이 많아 실내 미관을 헤치고 때로는 운전상에 불편을 초래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 도어의 도어트림(door trim)에 결합되는 암레스트(arm rest)를 이용하여 항상 정해진 위치 및 공간에 우산 등의 저장물을 용이하게 수납/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종래 문제점의 기술적 해결을 위하여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차실 내의 정해진 공간에 우산 등을 수납/보관할 수 있도록 하되 그 수납/보관이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보관된 저장물을 용이하게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차실 내부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우산 등의 저장물에 대한 수납/보관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 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도어 110: 도어트림
120: 암레스트 121: 수납수단
121a: 수납홈 121b: 수납커버
130: 파워윈도우스위치 140: 도어 맵 포켓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의 도어트림에 차실 방향으로 돌출 결합되어 운전자나 탑승자가 탑승시 팔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는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의 내부공간 상에 우산 등의 저장물을 수납/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암레스트에 편의 기능을 추가 구성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수납수단으로 상기 암레스트의 몸체 내부에 우산 등의 저장물에 대한 수납/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공간을 형성시킨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의 수납공간을 커버하되 이의 용이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수납커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수납수단의 수납커버는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수납홈 내에 수납/보관되는 저장물의 수납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가 적용된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a는 암레스트 구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암레스트 구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c는 암레스트 구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가 적용된 도어(100)에는 도어트림(door trim; 110)이 형성되며, 이러한 도어트림(110)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각종 편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암레스트(arm rest; 120)와 파워윈도우스위치(130) 및 도어 맵 포켓(140) 등의 편의수단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레스트(120)와 파워윈도우스위치(130) 및 도어 맵 포켓(140)은 자동차의 설계상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암레스트(120)는 자동차의 실내를 향해 도어트림(110)의 외측면에 돌출 결합되고 자신의 상면 앞측에 상기 파워윈도우스위치(130)를 장착시킨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맵 포켓(140)은 상기 암레스트(120)의 하측에 위치하여 지도책 등의 얇거나 간단한 차량소지품을 수납할수 있도록 도어트림(110)의 외측면에 일체 형성됨을 갖는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탑승시 팔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상기 암레스트(120)에 그 내부의 비어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우산 등의 저장물을 수납/보관할 수 있는 수납수단(121)을 형성되게 함으로써 더욱 증진된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수납수단(121)은 암레스트(120)의 비어있는 몸체 내부에 우산 등의 저장물에 대한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공간을 형성시킨 수납홈(121a)과 상기 수납홈(121a)의 수납공간을 커버하되 이의 용이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수납커버(121b)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납홈(121a)의 몸체를 형성하게 되는 암레스트(120) 및 상기 수납커버(121b)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납홈(121a) 내에 우산 등의 저장물이 수납/보관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수납커버(121b)만을 투명재질로 형성하여도 저장물의 수납/보관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커버(121b)는 그 사용성 및 편의성을 고려하여 도 1a 내지 도 1c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수납홈(121a)의 개방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납커버(121b)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레스트(120) 몸체의 상면과 측면을 동시 개방되게 하여 형성시킨 수납홈(121a)을 커버하는 구성일 수 있고,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레스트(120) 몸체의 측면을 개방되게 하여형성시킨 수납홈(121a)을 커버하는 구성일 수도 있으며,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레스트(120) 몸체의 상면을 개방되게 하여 형성시킨 수납홈(121a)을 커버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트림(110)에 결합되는 암레스트(120)의 기본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수납홈(121a) 및 수납커버(121b)의 수납수단(121)을 형성되게 하므로 차실 내부 및 도어트림에 별도의 추가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편의 기능의 추가에 따른 설치비용을 아주 극소화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 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간단한 설치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 하나의 세트로서 두 가지 편의 기능을 추구할 수 있어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더욱 향상된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차실 내의 정해진 공간에 우산 등의 저장물을 수납/보관할 수 있게 되어 필요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우산을 보관한 경우에는 우천이나 강설시 운전자나 탑승자가 우산을 찾아 헤매는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함을 제공하며 수납수단(121)을 투명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우산 등의 저장물에 대한 수납/보관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전 준비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게 된다.
더불어, 수납홈(121a)과 수납커버(121b)의 구성으로 저장물의 수납/보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어 차실 내부 미관에도 유익함을 주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는 첨부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은 이에 의하여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에 의하면, 암레스트의 기본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수납홈과 수납커버의 수납수단을 형성하는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암레스트가 팔 등의 거치기능과 수납기능의 두 가지 편의 기능을 동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게 되며 차실 내의 사용이 편리한 공간상에 저장물을 수납/보관할 수 있어 필요시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우산을 보관한 경우에는 우천이나 강설시 운전자나 탑승자가 우산을 꺼내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의 불편함을 완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홈과 수납커버의 형태로 이루어져 차실 내에 우산 등의 저장물을 깔끔하게 수납/보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차실 내부의 미관에도 상당한 유익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수납수단의 투명재질 구성은 저장물에 대한 수납/보관의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므로 사전 준비성 및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편의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함이 있는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3)

  1. 자동차용 도어(100)의 도어트림(110)에 차실(車室) 방향으로 돌출 결합되어 운전자나 탑승자가 탑승시 팔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는 암레스트(120)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120)의 내부공간 상에 우산 등의 저장물을 수납/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수단(121)을 형성하여 상기 암레스트(120)에 편의 기능을 추가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121)은 상기 암레스트(120)의 몸체 내부에 우산 등의 저장물에 대한 수납/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공간을 형성시킨 수납홈(121a)과, 상기 수납홈(121a)의 수납공간을 커버하되 이의 용이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수납커버(121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121)의 수납커버(121b)는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수납홈(121a) 내에 수납/보관되는 저장물의 수납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KR20-2003-0004729U 2003-02-18 2003-02-18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KR200314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729U KR200314204Y1 (ko) 2003-02-18 2003-02-18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729U KR200314204Y1 (ko) 2003-02-18 2003-02-18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204Y1 true KR200314204Y1 (ko) 2003-05-23

Family

ID=4940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729U KR200314204Y1 (ko) 2003-02-18 2003-02-18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2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146B1 (ko) 2007-07-18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수납구조
KR20220055840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암레스트의 안전삼각대 및 리플렉터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146B1 (ko) 2007-07-18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수납구조
KR20220055840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암레스트의 안전삼각대 및 리플렉터 조립체
KR102431628B1 (ko) 2020-10-27 2022-08-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암레스트의 안전삼각대 및 리플렉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00570B (zh) 汽车车门总成
US4674789A (en) Sun shield system
US6234570B1 (en) Integration of sunglass storage holder with pull handle assembly
US20010013710A1 (en) Motor vehicle tailgate mounted to pivot about a horizontal axis in the vicinity of its bottom edge
US20220213722A1 (en) Door assembly for motor vehicle
US20050121932A1 (en) Integral lighting for consoles
KR101942575B1 (ko) 우산거치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트림
KR200314204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KR20140091212A (ko) 자동차 실내 우산보관함
US7159928B2 (en) Vehicle door insert
KR200314205Y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높이 보강물
KR100212814B1 (ko) 자동차용 물품 보관 장치
CN210502492U (zh) 车载扶手箱
KR960000592Y1 (ko) 차량의 뒷좌석 하단 내부 은폐식 우산 보관장치
KR0135973Y1 (ko) 자동차용 우산 보관장치의 결합구조
US20240075793A1 (en) Release system for removable vehicle panel
KR19990035025A (ko) 자동차 실내의 우산꽂이 구조
CN117048309A (zh) 用于机动车辆的车门总成
JP3113300B2 (ja) 幌型車両の幌ユニット格納構造
KR19980022251A (ko) 우산보관함이 설치된 자동차 도어
KR0123275Y1 (ko) 자동차용 물품 보관 장치
KR0136849Y1 (ko) 자동차의 스키관통공커버에 부설된 구급약 보관함
KR19980016179U (ko) 자동차 시트의 우산보관구
JP2002240638A (ja) 自動車用傘収納ケース
KR200259375Y1 (ko) 리어시트용베이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