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327Y1 - 자동차용 보조거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거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327Y1
KR0117327Y1 KR2019940013171U KR19940013171U KR0117327Y1 KR 0117327 Y1 KR0117327 Y1 KR 0117327Y1 KR 2019940013171 U KR2019940013171 U KR 2019940013171U KR 19940013171 U KR19940013171 U KR 19940013171U KR 0117327 Y1 KR0117327 Y1 KR 0117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push button
hinge
locking pi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253U (ko
Inventor
최낙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13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327Y1/ko
Publication of KR960001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의 천정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룸램프와 일체로 보조거울을 설치하여 뒷좌석의 탑승자에게 거울을 볼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 자동차용 보조거울에 관한 것으로서,차실내의 천정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룸램프와 일체로 사용 할 때에는 전개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철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보조거울을 설치함으로써, 뒷좌삭의 탑승자도 편리하게 거울을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보조거울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거울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단면도,
제 2 도 (a)와 (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누름버튼 장착부,3 - 반발버튼 장착부,
4 - 룸램프 하우징,5 - 거울 하우징,
6 - 힌지부,7 - 베이스,
8 - 거울체,9 - 스프링,
10 - 누름버튼,11 - 반발버튼,
12 - 잠금핀.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실내의 천정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룸램프와 일체로 보조거울을 설치하여 뒷좌석의 탑승자에게 거울을 볼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 자동차용 보조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 실내에 앞좌석의 탑승자를 위한 거울은 선바이저 등에 설치되어 있으나 뒷좌석의 탑승자를 위한 거울은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뒷좌석의 탑승자가 거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선바이저 상의 거울을 불편하게 이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실내의 천정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룸램프와 일체로 사용할 때에는 전개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철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보조거울을 설치함으로써, 뒷좌석의 탑승자도 편리하게 거울을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보조거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누름버튼 장착부(2)와 반발버튼 장착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룸램프 하우징(4)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거울 하우징(5)과, 상기 거울 하우징(5)의 저면부에 차례로 설치되어 있으며 힌지부(6)에 의해서 서로간의 일측이 회전자재되게 결속되어 있는 베이스(7) 및 거울체(8)와, 상기 누름버튼 장착부(2) 및 반발버튼 장착부(3)에 각각의 스프링(9A, 9B)을 가지면서 장착되어 있는 누름버튼(10) 및 반발버튼(11)과, 상기 거울 하우징(5)의 일측 벽면을 관통하면서 스프링(9C)과 일체로 가로 걸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거울체(8)의 다른 일측과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누름버튼(10)과 상호 연계작동되도록 되어 있는 잠금핀(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힌지부(6)는 T자 형태를 이루는 수평축(6-1A)과 수직축(6-1B)으로 구성된 힌지축(6-1)과, 이 힌지축(6-1)의 수평축(6-1A)을 감싸고 있는 몸체(6-3)로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힌지축(6-1)의 수평축(6-1A)은 그 양선단부가 거울체(8)의 안쪽으로 각각 삽입 결합되고, 수직축(6-1B)은 베이스(7)에 관통되는 동시에 그 뒷쪽에서의 클립(6-2) 체결을 통해 고정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거울체(8)가 상기 베이스(7)에 대해서 상하 회전운동 및 좌우요동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10)의 선단부는 구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선단부는 상기 잠금핀(12)의 구멍(12-1)에 결착되어 있어서, 누름버튼(10)의 상하운동에 따라 잠금핀(12)의 좌우운동이 연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거울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예컨대,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전단한 단면도로서, 상기 거울 하우징(5)은 룸램프 하우징(4)에 이 거울 하우징(5)의 설치를 위해 절개 성형한 거울 하우징 설치부의 테두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고, 거울 하우징(5)의 한쪽으로는 예컨대, 자동차의 뒷좌석이 있는 쪽으로는 안쪽으로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누름버튼 및 반발버튼 장착부(2, 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착부(2, 3)에는 각각 스프링(9A, 9B)의 탄력지지를 받는 누름버튼(10)과 반발버튼(11)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의 누름버튼(10)은 누름부위에 해당되는 전면부가 거울 하우징(5)의 바깥쪽 저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반발버튼(11)은 그 선단부가 거울 하우징(5)의 안쪽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더욱 연장되어 아래쪽의 베이스(7)를 관통하면서 거울체(8)와 맞대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7)는 이면부의 지지체(7-1)를 이용하여 겨울 하우징(5)의 안쪽 저면에 고정 지지되고, 이 베이스(7)의 일측선단부에 힌지부(6)를 통해 결속되는 거울체(8)는 안쪽으로 위치되는 거울(8-1)과 이것을 감싸고 있는 케이스(8-2)로 구성되며, 이 케이스(8-2)의 다른 일측선단부에는 상기 잠금핀(12)의 끝단부가 걸려지는 걸림턱(8-3)과 잠금상태가 해제된 거울체(8)를 손으로 당기기 위한 요홈부(8-4)가 함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핀(12)은 앞쪽의 끝단부가 거울 하우징(5)의 일측벽면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으면서 상기 케이스(8-2)의 걸림턱(8-3)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되어 있고, 다른 일측 끝단부는 램프하우징(4)의 가이드구멍(4-1)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이때의 잠금핀(12)은 램프하우징(4)과 잠금핀(12)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2)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9C)에 의해서 항상 바깥쪽 예컨대, 첨부도면 제 1 도에서의 A방향으로 반력을 받고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첨부도면 제 2도의 (a)는 본 고안의 보조거울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 즉, 거울체(9)가 접철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반발버튼(11)은 어느정도 탄력을 받은 상태로 거울체(8)의 케이스(8-2)에 의해 눌려져 윗쪽으로 밀려있게 되며, 상기 잠금핀(12)의 끝단부는 거울체(8)의 케이스(8-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8-3)과 맞걸려져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11)을 윗쪽으로 누르게 되면 여기에 결착되어 있는 상기 잠금핀(12)은 누름버튼(11)의 선단부가 갖는 구배량 만큼 안쪽 예컨대, 첨부도면 제 2 도 (a)에서의 B방향으로 수평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그 선단부는 거울체(8)의 걸림턱(8-3)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상기 거울체(8)는 그 윗쪽의 반발버튼(11)에 의해 아래쪽으로 약간 튀어나오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거울체(8)의 요홈부(8-4)에 손가락 등을 걸어 아래로 당기게 되면 거울체(8)는 상기 힌지부(6)의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면서 첨부도면 제 2 도의 (b)와 같이 펴지게 된다.
이러한 거울체(8)는 천정에 대해 수직상태인 90°까지 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 이상의 각도까지 예컨대, 거울체(8)의 이면이 천정에 거의 닿을 때까지 펴질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거울체(8)의 펴진상태는 힌지부(6)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힌지부(6)의 힌지축(6-1)과 이 힌지측(6-1)을 일부 내장하고 있고 거울체(8)의 케이스(8-2)와의 마찰 간섭작용에 의해서 거울체(8)는 어떤 각도에서나 그때의 펴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때의 상기 누름버튼(10)과 반발버튼(11)은 자체스프링(9A, 9B)에 의해 최대한 아래쪽으로 위치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잠금핀(12)도 자체스프링(9C)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최대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누름버튼(10)과는 구배끝단부에서 결착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울체(8)는 사용상태와 같이 수직으로 펴진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일정각도 꺽일 수 있게 되어 있어서, 뒷좌석에 탑승한 양편의 탑승자가 서로의 자리를 바꾸지 않고도 용이하게 거울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거울체(8)를 좌우측 어느 한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때의 거울체(8)는 상기 베이스(7) 상에 축설되어 있는 상기 힌지축(6-1)의 수직축(6-1B)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요동될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7)의 저면부에 부착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7-2)에 의해서 거울체(8)의 요동각도는 제한을 받게 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거울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거울체(8)를 윗쪽으로 들어올리면서 가볍게 누르게 되면 거울체(8)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8-3)은 상기 잠금핀(12)의 끝단부와 접촉되면서 이 잠금핀(12)을 B방향으로 밀게 되고, 걸림턱(8-3)이 잠금핀(12)의 끝단부를 통과함과 동시에 B방향으로 밀려났던 잠금핀(12)이 스프링(9C)에 의해 A방향으로 재차 복귀되면서 거울체(8)의 잠금상태 즉, 사용하지 않는 접철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앞좌석의 탑승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선바이저상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거울과는 별도로 차실내의 천정중앙에 룸램프와 일체로 보조거울을 설치함으로써, 뒷좌석의 탑승자도 아무런 불편없이 편리하게 거울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자동차의 고급 사양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동시에 대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누름버튼 장착부(2)와 반발버튼 장착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룸램프 하우징(4)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거울 하우징(5)과, 상기 거울 하우징(5)의 저면부에 차례로 설치되어 있으며 힌지축(6)에 의해서 서로간의 일측이 회전자재되게 결속되어 있는 베이스(7) 및 거울체(8)와, 상기 누름버튼 장착부(2) 및 반발버튼 장착부(3)에 각각의 스프링(9A, 9B)을 가지면서 장착되어 있는 누름버튼(10) 및 반발버튼(11)과, 상기 거울하우징(5)의 일측 벽면을 관통하면서 스피링(9C)과 일체로 가로 걸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거울체(8)의 다른 일측과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누름버튼(10)과 상호 연계작동되도록 되어 있는 잠금핀(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거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6)는 T자 형태를 이루는 수평축(6-1A)과 수직축(6-1B)으로 구성된 힌지축(6-1)과, 이 힌지축(6-1)의 수평축(6-1A)을 감싸고 있는 몸체(6-3)로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힌지축(6-1)의 수평축(6-1A)은 그 양선단부가 거울체(8)의 안쪽으로 각각 삽입 결합되고, 수직축(6-1B)은 베이스(7)에 관통되는 동시에 그 뒷쪽에서의 클립(6-2) 체결을 통해 고정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거울체(8)가 상기 베이스(7)에 대해서 상하 회전운동 및 좌우요동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거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10)의 선단부는 구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선단부는 상기 잠금핀(12)의 구멍(12-1)에 결착되어 있어서, 누름버튼(10)의 상하운동에 따라 잠금핀(12)의 좌우운동이 연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거울.
KR2019940013171U 1994-06-08 1994-06-08 자동차용 보조거울 KR0117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171U KR0117327Y1 (ko) 1994-06-08 1994-06-08 자동차용 보조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171U KR0117327Y1 (ko) 1994-06-08 1994-06-08 자동차용 보조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253U KR960001253U (ko) 1996-01-19
KR0117327Y1 true KR0117327Y1 (ko) 1998-06-01

Family

ID=1938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171U KR0117327Y1 (ko) 1994-06-08 1994-06-08 자동차용 보조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3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253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670B1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박스의 고정 구조
KR0117327Y1 (ko) 자동차용 보조거울
KR100520775B1 (ko)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CN211468322U (zh) 车载衣架
KR0132529Y1 (ko) 차량용 컵홀더
KR0129058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520770B1 (ko) 차량의 탈착식 더블폴딩 시트
KR100448117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
KR0121891Y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
KR200142402Y1 (ko) 승합차량의 코트걸이 구조
KR920003930Y1 (ko) 자동차의 옷걸이 장치
KR200161530Y1 (ko) 컵 홀더
KR200247551Y1 (ko) 자동차용 화장지 홀더
KR0128793Y1 (ko) 수직으로 장착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0117351Y1 (ko)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JPH0683461U (ja) 車両用テーブル
KR0140689Y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에 형성되는 컵 홀더
KR0138737Y1 (ko) 자동차의 회전식 컵홀더장치
KR0181457B1 (ko) 콘솔 부설 컵 홀더
KR0123739Y1 (ko)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KR0132163Y1 (ko) 받침대가 부설된 차량용 암 레스트
KR200146752Y1 (ko) 도어 아암 레스트 내장형 컵 호울더
KR0184414B1 (ko)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KR19980020444U (ko) 차량용 컵 홀더의 구조
KR200173420Y1 (ko) 자동차의 미러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