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351Y1 -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351Y1
KR0117351Y1 KR2019940038885U KR19940038885U KR0117351Y1 KR 0117351 Y1 KR0117351 Y1 KR 0117351Y1 KR 2019940038885 U KR2019940038885 U KR 2019940038885U KR 19940038885 U KR19940038885 U KR 19940038885U KR 0117351 Y1 KR0117351 Y1 KR 0117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locking
rod
fix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385U (ko
Inventor
문태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8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351Y1/ko
Publication of KR9600213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3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의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이 고정된 로드에 폴리를 부착하여 폴리의 회전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힌지고정되어 있는 회전부재와 방향전화부재와 잠금부재를 연결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등받이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조작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한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대한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해제장치의 작동 단면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해제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20 : 로드
22 : 가이드 24 : 복귀스프링
26 : 고정핀 30 : 폴리
32 : 와이어 32A : 와이어 구멍
40 : 회전부재 42,52,62 : 고정힌지
44 : 와이어 체결구멍 46,66 : 걸림부
50 : 방향전환부재 54,84 : 걸림편
56 : 걸림턱 60 : 잠금부재
64 : 걸림돌기 70 : 등받이 골결
72a, 72b : 로드고정부재 74,76 : 고정부재
80 : 트레이 820 : 지지대
90 : 걸림체 92 : 걸림홈
100 : 등받이
본 고안은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의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이 고정된 로드에 풀리를 부착하여 풀리의 회전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힌지고정되어 있는 회전부재와 방향전환부재와 잠금부재를 연결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등받이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조작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한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뒷좌석 등받이의 해제장치는,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뒷좌석 등받이 우측 상단에 장착된 걸림체에 로드로 연결된 손잡이를 잡아당기거나 눌러주게 되면, 걸림체에 형성된 걸림고리가 차체판넬에 고정된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되어 등받이를 접을 수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뒷좌석 등받이 해제장치는 손잡이를 잡아당기거나 눌러서 잠금을 해제해야하기 때문에 손잡이는 등받이가 고정힌지에 의해 접히는 방향과 무관하게 상,하 방향으로 조작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의 뒷좌석 등받이 해제장치와 구성요소들을 달리하여 구성함으로써, 등받이 상단에 가이드에 의해 지지된 손잡이의 회전방향을 등받이가 접히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시켜 등받이 잠금해제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개선시킨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해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 제1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손잡이(10)가 부착된 로드(20)와 풀리(30)와 회전부재(40)와 방향전환부재(50)와 잠금부재(60)와 한쌍의 등받이 골격(70)에 부착된 로드 고정부재(72a), (72b) 및 한쌍의 고정부재(74),(76)와 지지대(8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로드(20)는 가이드(22) 중앙에 끼워져 있고 중앙에 스프링(24)이 삽입되어 일측이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에 폴리(30)와 고정핀(26)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폴리(30)는 와이어(32)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40)는 고정힌지(42)에 의해 고정부재(74)에 고정되며 와이어 체결구멍(44)과 걸림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방향전환부재(50)는 고정힌지(52)로 고정부재(76)에 고정되어 있고 걸림편(54)과 걸림턱(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부재(60)는 고정힌지(62)로 고정부재(76)에 고정되어 있고 걸림돌기(64)와 걸림부(66)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쌍의 로드 고정부재(72a),(72b)는 로드를 끼울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 구멍 부재(72b)에는 와이어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82)는 걸림편(84)이 형성되어 있고 트레이(80) 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10)가 부착된 로드(20)는 한쌍의 로드 고정부재(72a),(72b)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로드(20)에 끼워진 스프링(24)은 일측은 로드(20)에 또다른 일측은 상부로드 고정부재(72a)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 로드 고정부재(72b)에 형성된 와이어 구멍(32a)을 통해 와이어(32) 일측은 폴리(30)에 또다른 일측은 회전부재(40) 상부에 형성된 와이어 체결구멍(44)에 고정되어, 손잡이(10)를 등받이(100)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스프링(24)에 탄성력이 저장되며 와이어(32)가 풀리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40)와 방향전환부재(50)와 잠금부재(60)을 고정시키는 각 힌지(42),(52),(62)에는 탄성력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32)가 풀림에 따라 회전부재(40)와 잠금부재(60)는 시계방향으로 방향전환부재(5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뒷좌석 등받이 해제장치의 작동고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등받이(10)와 평행한 방향에 있는 손잡이(10)를 회전시켜 등받이(100)와 접히는 방향과 일치시킨다. 손잡이(10)가 회전함에 따라 로드(20)에 끼워진 스프링(24)에 탄성력이 저장되며, 풀리(30)가 회전하게 되어 와이어(32)가 풀리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32)가 감겨 있는 동안 탄성력이 저장되어 있던 회전부재(40)의 고정힌지(42)는 와이어(32)가 풀림에 따라 회전부재(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부재(40)의 걸림부(46)가 방향전환부재(50)의 걸림편(54)을 해제시킨다.
이어, 걸림편(54)이 해제된 방향전환부재(50)는 고정힌지(52)의 탄성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방향전환부재(50)의 걸림턱(54)이 잠금부재(60)의 걸림돌기(64)를 해제시킨다.
이어, 걸림돌기(64)가 해제된 잠금부재(60)는 고정힌지(62)의 탄성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지지대(82)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84)을 해제하게 되어 등받이(100) 잠금이 해제된다.
마지막으로, 손잡이(10)를 놓으며 로드(20)에 끼워진 스프링(24)에 저장된 탄성력으로 풀리(30)가 회전하게 되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간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존 등받이 해제장치에 본 고안을 적용시킴으로서 뒷좌석 잠금해제시 등받이가 접히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손잡이를 작동하게하여 원할하고 편리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

  1. 손잡이(10)가 부착된 로드(20)와 폴리(30)와 회전부재(40)와 방향전환부재(50)와 잠금부재(60)와 한쌍의 등받이 골격(70)에 부착된 로드 고정부재(72a), (72b) 및 한쌍의 고정부재(74),(76)와 지지대(8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로드(10)는 가이드(22) 중앙에 끼워져 있고 중앙에 스프링(24)이 삽입되어 일측이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에 폴리(30)와 고정핀(26)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폴리(30)는 와이어(32)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40)는 고정힌지(42)에 의해 고정부재(74)에 고정되며 와이어 체결구멍(44)과 걸림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방향전환부재(50)는 고정힌지(52)로 고정부재(76)에 고정되어 있고 걸림편(54)과 걸림턱(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부재(60)는 고정힌지(62)로 고정부재(76)에 고정되어 있고 걸림돌기(64)와 걸림부(66)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쌍의 로드 고정부재(72a),(72b)는 로드를 끼울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 구멍 부재(72b)에는 와이어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82)는 걸림편(84)이 형성되어 있고 트레이(80) 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등받이 해제장치.
KR2019940038885U 1994-12-30 1994-12-30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KR0117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885U KR0117351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885U KR0117351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385U KR960021385U (ko) 1996-07-18
KR0117351Y1 true KR0117351Y1 (ko) 1998-04-27

Family

ID=1940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885U KR0117351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3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21Y1 (ko) * 2013-10-08 2014-07-28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시트백 래치용 릴리즈 노브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21Y1 (ko) * 2013-10-08 2014-07-28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시트백 래치용 릴리즈 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385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681B1 (ko) 폴딩형 구조물 록킹장치
JP2002147069A (ja) スライドドアのインナハンドル組立体
KR0117351Y1 (ko)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KR100194214B1 (ko) 자동차용 lcd 장착구조
KR100456515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폴딩 장치
JPH0376253B2 (ko)
KR100448117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
JP2003127731A (ja) 車両の乗降補助シート
JP2002012028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KR100520775B1 (ko)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KR100216287B1 (ko) 헤드레스트 조작장치
KR200146752Y1 (ko) 도어 아암 레스트 내장형 컵 호울더
KR200163100Y1 (ko) 승합차용 보조 시트 체결장치
KR100366584B1 (ko)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KR200185237Y1 (ko)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
KR0141281B1 (ko) 자동차용 콘솔리드의 팔걸이 장치
KR100398102B1 (ko) 자동차용 시트 폴딩 구조
KR200197210Y1 (ko) 자동차 시트의 폴딩장치
KR100535068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백의 갭 막음용 백보드 전개 구조
KR100214952B1 (ko)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265579Y1 (ko)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
KR0120008Y1 (ko) 절첩식 시트 백의 잠금장치
JPH0428843Y2 (ko)
KR0113822Y1 (ko) 트렁크 리드와 연료주입문의 통합개방장치
KR200145181Y1 (ko)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