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952B1 -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 Google Patents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952B1
KR100214952B1 KR1019950039297A KR19950039297A KR100214952B1 KR 100214952 B1 KR100214952 B1 KR 100214952B1 KR 1019950039297 A KR1019950039297 A KR 1019950039297A KR 19950039297 A KR19950039297 A KR 19950039297A KR 100214952 B1 KR100214952 B1 KR 10021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 holder
housing
hold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362A (ko
Inventor
신광섭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3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952B1/ko
Publication of KR97002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전방에 관절로 이루어진 컵 가이드를 갖는 컵 홀더의 하우징후면에 래치를 형성하고, 이것의 작동방향의 중심선상의 권취기를 설치하여, 상기 컵 홀더의 전면을 누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래치의 잠금이 풀림과 동시에 권취기가 감겨지면서 컵 홀더가 개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컵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a도와 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잠금수단
12 : 홀더가이드 13 : 회전홈
14, 43 : 가이드장공홈 15 : 돌출가이드부
20 : 권취수단 21 : 회전판
22 : 축 23 : 스트립강판
30 : 컵 안착부 31A, 31b : 제1, 제2 링크
32 : 탄성스프링 40 : 하후징
41 : 고정부 42 : 잠금부
50 : 페시아 패널 51 : 홀더
52 : 손잡이 53 : 컵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전방에 관절로 이루어진 컵 안착부를 갖는 컵 홀더의 하우징후면에 잠금수단을 형성하고, 이것이 작동방향의 중심선상에 권취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컵 홀더의 전면을 누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잠금수단의 잠금이 풀림과 동시에 권취수단이 감겨지면서 컵 홀더가 개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차용 컵 홀더는 자동차 실내의 운전석정면에 설치되는 페시아 패널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었다.
이같이 설치된 컵 홀더의 구조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가지면서 그 전방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중앙부에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두 개의 컵홀(53)이 형성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컵 홀더(51)의 이용은 먼저 이것의 손잡이(52)를 잡아당겨 컵홀더(51)를 앞쪽으로 꺼내고, 이것의 컵홀(53)에 컵을 삽입하여 이용하고, 이것을 다시 원래의 상태로 두기 위해 상기 손잡이(52)를 잡아 원래의 위치에 놓여질 수 있게 뒷쪽으로 밀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자동차용 컵 홀더(51)는 이것을 이용하기 위해 손잡이를 잡아 앞쪽으로 잡아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컵 홀더가 완전하게 당겨지지 않을 때에는 다시 집어넣었다가 잡아당기는 것을 반복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컵 홀더의 전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함에 따라 컵 홀더가 앞쪽으로 돌출되면서 이용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잠금수단을 갖는 몸체의 내부중앙에 탄성지지를 받는 권취수단을 설치하고, 측면 양측에는 두 개의 링크 조합으로 구성된 컵 안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의 전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함에 따라 컵홀더를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컵 홀더의 이용이 편리한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의 특징은, 잠금수단(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천정면의 앞쪽이 일부절개되어 그 하부에 반쪽의 컵형상으로 형성된 홀더가이드(12)를 포함하면서 하우징(40)으로부터 인출/수납가능한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그 일단이 하우징(40)의 고정부(41)에 고정되어 몸체(10)에 인출력을 부여해주는 권취수단(20)과, 탄성지지를 받는 한쌍의 링크(31a),(31b)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일단이 상기 몸체의 양측면일부가 절개된 면에 함께 조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몸체의 홀더가 이드(12)면에 놓여져 이것(10)의 인출/수납상태에 따라 펴지거나 접혀지면서 컵형상의 나머지 반절을 형성할 수 있는 컵 안착부(30)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31a)의 자유단은 홀더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유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의 (a)와(b)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0은 몸체를, 20은 권취수단을, 30은 컵 안착부를, 40은 컵 홀더의 하우징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뒷면에는 잠금수단(11)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잠금수단(11)은 상기 하우징(40)의 잠금부(42)와 일체로 잠금/분리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에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면 잠금이 풀리는 원터치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10)가 하우징(40)내로 인출/수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돌출가이드부(15)가 양쪽으로 돌출되어 하우징(40)의 가이드장공홈(43)에 끼워져 있어서, 몸체가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드유동됨에 따라 몸체가 제한된 범위내에서 원할한 슬라이드유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천정면의 전면양측면에는 소정의 면적으로 절개되어 몸체의 바닥면에 컵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이 절개된면의 저부에는 컵의 반쪽형상으로 이루어진 홀더가이드가 돌출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천정면 및 바닥면중앙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회전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여기(13)에 후술하는 권취수단(20)의 회전판(21)이 끼워져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홀더가이드(12)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컵 안착부(30)의 링크(31a)끝단이 슬라이드유동될 수 있게 되고 또한, 컵 안착부(30)를 구성하는 링크(31a),(31b)가 완전하게 펼쳐지면서 컵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몸체의 일부가 절개된 양측면에는 안쪽으로 컵 안착부(30)의 링크(31b)가 고정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천정면에는 이것의 작동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가이드장공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같이 형성된 가이드장공홈(14)에는 하우징(40)의 내부에서 몸체(10)가 슬라이드유동됨에 따라 스트립강판(23)의 일단이 고정된 하우징의 고정부(41)가 이것(14)의 안내를 받으면서 몸체의 천정면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즉, 후술하는 스트립강판(23)의 일단이 하우징(40)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고정설치된 권취수단(20)이 하우징(40)의 내부에서 인출/수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천정면과 박닥면의 중앙부위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회전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13)에 권취수단(20)의 회전판(21)이 끼워져 이것이 스프링강판(23)의 탄성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권취수단(20)은 길이 방향으로 세워진 축(22)과 이것(22)의 양끝단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회전판(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같이 구성된 권취수단의 각 회전판은 몸체의 천정면과 바닥면에 각각 형성된 회전흠에 끼워쳐, 상기 권취수단이 여기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축(22)에는 일종의 태엽스프링을 의미하는 스트립강판(23)이 소정의 두께로 감겨져 있어서, 이것이 펼쳐지면서 발생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인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트립강판(33)의 일단은 권취수단(20)의 축(22)에 감겨져 몸체의 회전홈에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고, 다른 일단은 몸체의 천정면을 통하여 내부에 놓여진 하우징(40)의 고정부(41)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립강판(23)은 자체탄성력으로 이것을 축(22)에 감기면서 하우징의 고정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감겨지게 되고 동시에, 이것이 고정된 몸체는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를 하우징의 내부로 밀어넣어 이것의 잠금수단이 하우징의 잠금부와 고정체결됨에 따라, 상기 스트립강판은 일정한 길이로 늘어나 항상 탄성을 받으면서 펼쳐져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컵 안착부(30)는 두 개의 링크(31a),(31b)가 탄성스프링(32)의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서로 조합되어 있고, 그 일단이 상기 몸체의 절개된 양측면안쪽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링크(31a)의 다른 일단은 몸체의 홀더가이드(12) 내주면과 밀착되어 몸체와 고정된 링크(31b)가 회전됨에 따라 홀더가이드(12) 내주면과 슬라이드유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링크(31a),(31b)는 몸체의 절개된 측면과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탄성스프링(32)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몸체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몸체의 전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함에 따라, 상기 제2 링크(31a)의 외주면이 몸체의 절개된 측면과 간섭을 일으키면서 이것의 내부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몸체와 회전연결된 제1 링크도 동시에 회전되면서 그 끝단이 홀더가이드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유동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를 하우징의 내부로 집어넣음에 따라 상기 각 링크에 고정설치된 탄성스프링은 탄성력을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의 전면을 눌러 이것의 후면에 설치된 잠금수단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몸체는 권취수단의 탄성력으로 몸체가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되고 동시에, 상기 각 링크에 저장된 단성력에 의해 상기 각 링크는 펼쳐지면서 컵형상의 나머지 반쪽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펼쳐진 링크는 상기 몸체의 홀더가이드와 연접되면서 컵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컵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40)은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면에는 잠금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같이 형성된 잠금부(42)에는 상기 몸체(10)의 잠금수단(11)과 잠금/해제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0)의 개방된 천장부위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고정부(41)가 아랫쪽으로 돌출성형되어 있어서, 이것의 내부에 몸체가 끼워진 상태에서 몸체의 가이드장공홈(14)에 끼워지게 된다.
이같이 설치된 고정부(41)는 상기 스트립강판(23)의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수단(20)이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몸체의 돌출가이드부와 대웅되는 가이드장공홈(4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출가이드부(15)가 이것(43)의 내부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잠금장치를 갖는 몸체의 내부에 권취수단을 장착하여 몸체의 전면에 소정의 입력을 가함에 따라 몸체가 개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컵홀더의 이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잠금수단(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천정면의 앞쪽이 일부절개되어 그 하부에 반쪽의 컵형상으로 형성된 홀더가이드912)를 포함하면서 하우징(40)으로부터 인출/수납가능한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그 일단이 하우징의 고정부(41)에 고정되어 몸체에 인출력을 부여해주는 권취수단(20)과, 탄성지지를 받는 한쌍의 링크(31a)(31b)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일단이 상기 몸체의 양측면일부가 절개된 면에 함께 조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몸체의 홀더가이드(12)면에 놓여져 이것의 인출/수납상태에 따라 펴지거나 접혀지면서 컵형상의 나머지 반절을 형성할 수 있는 컵 안착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31a)의 자유단은 홀더가이드(12)면을 따라 슬라이드유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KR1019950039297A 1995-11-02 1995-11-02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21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297A KR100214952B1 (ko) 1995-11-02 1995-11-02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297A KR100214952B1 (ko) 1995-11-02 1995-11-02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362A KR970026362A (ko) 1997-06-24
KR100214952B1 true KR100214952B1 (ko) 1999-08-02

Family

ID=1943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9297A KR100214952B1 (ko) 1995-11-02 1995-11-02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52B1 (ko) * 2006-08-24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362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6415A (en) Luggage compartment cover for a motor vehicle
US6074010A (en) Head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CN210454674U (zh) 电子装置保持架
JP4472161B2 (ja) 制動機構及びこの制動機構を用いた容器ホルダー
GB2326141A (en) Vehicle cup holder
JPH0714080Y2 (ja) 車両用仕切板
KR100214952B1 (ko)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JP3737691B2 (ja) 小物収納装置
EP1971798A2 (en) A hook for receiving a hinging journal
KR100219444B1 (ko) 차량용 컵 홀더
JP2675559B2 (ja) 自動車用のサン・バイザ
JP3594045B2 (ja)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JP3749973B2 (ja) 自動車用ブラインド巻取り装置
KR0117351Y1 (ko)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KR0141281B1 (ko) 자동차용 콘솔리드의 팔걸이 장치
KR0125002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맵포켓
KR0125003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맵포켓
JP2002336080A (ja) 座席のアームレスト構造
JP2019209726A (ja) チケットホルダ付き車両用サンバイザ
JP2013189120A (ja) 車載用収容部材
KR200162531Y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461254B1 (ko) 차량의 접이식 시트 수납장치
JP3723419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結合装置
KR0117353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KR100216922B1 (ko) 자동차의 룸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