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952B1 - 차량용 컵 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952B1
KR100756952B1 KR1020060080531A KR20060080531A KR100756952B1 KR 100756952 B1 KR100756952 B1 KR 100756952B1 KR 1020060080531 A KR1020060080531 A KR 1020060080531A KR 20060080531 A KR20060080531 A KR 20060080531A KR 100756952 B1 KR100756952 B1 KR 10075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using
cup holder
receiving groov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컵 홀더가 인출될 때 컵의외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연동될 수 있게 설치하여 컵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차량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차량의 실내 전면 중앙에 삽입되고 내측 저면에는 가이드편(11)이 상향돌출되게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선단부에는 수용홈(21)이 형성된 이동부재(20)와, 상기 이동부재(20)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커버(50)와, 상기 수용홈(21)의 개방부를 위치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30)와, 상기 회전부재(30)의 후방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축(31)과, 상기 힌지축(31)의 외측 둘레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32)와, 상기 걸림돌기(32)를 가압하도록 하우징(10)의 내측 저면에 설치된 탄성편(4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차량, 컵, 홀더, 스프링, 회전부재

Description

차량용 컵 홀더{Cup holder for car}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컵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를 나타낸 작동 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가이드편
20 : 이동부재
21 : 수용홈
21 : 수용홈
30 : 회전부재
30 : 회전부재
31 : 힌지축
32 : 걸림돌기
40 : 탄성편
50 : 전면커버
본 발명은 차량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된 컵 홀더가 인출될 때 컵의 외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연동될 수 있게설치하여 컵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차량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홀더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편의장치 중 하나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사이드패널, 콘솔박스 등 탑승객의 사용이 용이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탑승객이 차량 주행 중 컵이나 음료 용기를 일시적으로 거치 시킬 수 있도록 하여 탑승객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도1은 종래의 컵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 전면 중앙에 이동부재(10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이동부재(100)에는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수용홈(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100)의 전면에는 전면 커버(10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컵 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이동부재(1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면커버(102)를 밀어 보관하는 것이며, 이대 이동부재(100)는 별도의 고정수단(도면 미도시)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컵 홀더를 사용할 때에는 전면커버(102) 및 이동부재(100)를 인 출시키는 것이며, 이와 같이 이동부재(100)가 인출되면 그 이동부재(100)에 형성된 수용홈(101)이 노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홈(101)에 컵을보관하는 것이다.
상기 수용홈(101)에 다양한 크기의 컵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01)의 일측면에 지지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컵을 보관할 수는 있지만, 컵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운전중 지지부재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컵 또는 음료수가 담겨진 용기의 외측 둘레면에 긴밀히 접촉되는 회전부재가 이동부재와 연동되게 설치하여 컵 또는용기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컵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 홀더는 차량의 실내 전면 중앙에 삽입되고 내측 저면에는 가이드편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선단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커버와, 상기 수용홈의 개방부를 위치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후방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축과, 상 기 힌지축의 외측 둘레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가압하도록 하우징의 내측 저면에 설치된 탄성편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를 나타낸 작동 상태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 홀더는 차량의 실내 전면 중앙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우징(10)이 마련되어 있고, 그 하우징(10)의 내측 저면에는 가이드편(11)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이동부재(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이동부재(20)의 선단부에는 수용홈(21)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수용홈(21)은 이동부재(20)의 선단부 어느 일방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선단부 양방향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0)의 전면에는 전면커버(5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전면커버(50)는 컵 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선단부 양측에는 회전부재(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되, 그 회전부재(30)는 수용홈(21)의 개방부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30)의 후방 저면에는 힌지축(31)이 하향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힌지축(31)의 외측 둘레면에는 걸림돌기(3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2)를 탄력 지지하 는 탄성편(40)이 설치되어 있되, 그 탄성편(40)의 탄성력은 상기 회전부재(30)가 수용홈(21) 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컵 홀더에 컵을 삽입하지 않을 경우 즉, 컵 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부재(20)를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며, 이때 이동부재(20)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커버(50)에 의해서 차량 내부의 외관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컵 홀더를 사용할 때에는 이동부재(20)를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이며,
상기 이동부재(20)가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이동부재(20)에 설치된 회전부재(30)가 함께인출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30)에 설치된 힌지축(31)은 하우징(10)의 내측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편(11)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이동부재(20)가 완전히 인출된경우에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축(31)에 형성된 걸림돌기(32)는 탄성편(40)에 의해서 탄력 지지되므로 상기 회전부재(30)를 수용홈(21) 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즉, 수용홈(21)과 회전부재(30) 사이의 간격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할 수 있는컵의 크기중 가장 작은 크기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홈(21)과 회전부재(30)의 사이에 크기가 큰 컵을 보관할 때에는 상기 수용홈(21)과 회전부재(30)의 사이에 컵을 삽입하면,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0)는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걸림돌기(32)는 탄성편(40)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30)에는 탄성편(40)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보관된 컵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발명은 이동부재를 인출 및 삽입할 때 그 이동부재에 설치된 회전부재가 연동되므로 컵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의 위치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의 집중도를 유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된 컵의 측면에 설치된 회전부재에 탄성편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차량 주행중 진동으로 인하여 컵 또는 용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실내 전면 중앙에 삽입되고 내측 저면에는 가이드편(11)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선단부에는 수용홈(21)이 형성된 이동부재(20)와, 상기 이동부재(20)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커버(50)와, 상기 수용홈(21)의 개방부를 위치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30)와, 상기 회전부재(30)의 후방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축(31)과, 상기 힌지축(31)의 외측둘레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32)와, 상기 걸림돌기(32)를 가압하도록 하우징(10)의 내측 저면에 설치된 탄성편(4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21)은 이동부재(20)의 전방 선단부 양측에 형성되고, 그 수용홈(21)의 개방부에는 회전부재(30)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40)은 회전부재(30)가 수용홈(21) 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KR1020060080531A 2006-08-24 2006-08-24 차량용 컵 홀더 KR10075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531A KR100756952B1 (ko) 2006-08-24 2006-08-24 차량용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531A KR100756952B1 (ko) 2006-08-24 2006-08-24 차량용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952B1 true KR100756952B1 (ko) 2007-09-07

Family

ID=3873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531A KR100756952B1 (ko) 2006-08-24 2006-08-24 차량용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391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컵홀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808A (ja) * 1993-12-24 1995-07-25 Nifco Inc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KR970026362A (ko) * 1995-11-02 1997-06-24 전성원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JPH1095263A (ja) 1996-09-20 1998-04-14 Piolax Inc 乗り物用カップホルダー
KR20030049678A (ko) * 2001-12-17 2003-06-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808A (ja) * 1993-12-24 1995-07-25 Nifco Inc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KR970026362A (ko) * 1995-11-02 1997-06-24 전성원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JPH1095263A (ja) 1996-09-20 1998-04-14 Piolax Inc 乗り物用カップホルダー
KR20030049678A (ko) * 2001-12-17 2003-06-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391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컵홀더
KR102268868B1 (ko) 2019-10-25 2021-06-2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컵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KR100837086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2006056504A (ja) 自動車用飲料容器ホルダー
US20050001127A1 (en)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JP3873054B2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ー
WO2014133282A1 (ko) 자동차 컵 홀더의 플랩 조립체
KR100747356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756952B1 (ko) 차량용 컵 홀더
JP2016078836A (ja) 自動車用パワーアウトレットトレイ
KR20200025474A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643958B1 (ko) 차량용 컵홀더 가이드 구조
KR200240277Y1 (ko) 자동차용컵홀더
JPH0976811A (ja)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KR200412704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0133546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콘솔박스
US20110095060A1 (en) Device for laterally positioning an object in a container
JP2019119241A (ja) 車両用収容装置
JPH11165573A (ja) 容器保持具
KR20100045742A (ko) 차량용 컵홀더
KR100494495B1 (ko) 자동차 도어용 수납장치
KR10040589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535597B1 (ko) 회전식 컵지지대를 가지는 컵홀더
JPH11151965A (ja) 車載用の飲料容器の保持装置
KR0175099B1 (ko) 컵홀더 기능을 갖는 수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