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474A - 자동차용 컵 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474A
KR20200025474A KR1020180102879A KR20180102879A KR20200025474A KR 20200025474 A KR20200025474 A KR 20200025474A KR 1020180102879 A KR1020180102879 A KR 1020180102879A KR 20180102879 A KR20180102879 A KR 20180102879A KR 20200025474 A KR20200025474 A KR 20200025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flap
support
cup suppor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321B1 (ko
Inventor
신윤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0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321B1/ko
Priority to EP19194265.5A priority patent/EP3616986B1/en
Priority to US16/556,437 priority patent/US11046228B2/en
Priority to CN201910813547.6A priority patent/CN110871729B/zh
Publication of KR2020002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컵홀더의 홈 내에 수납되는 컵이 크기에 관계없이 컵이 안정되게 지지되면서, 상기 홈 내에 수납된 컵이 홈에서 이탈되거나 일측으로 넘어져 음료수가 컵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11)이 형성된 수납 트레이(100)와, 상기 수납 트레이(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1)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와, 상기 컵 지지대(200)의 회전량에 따라 링크스프링(600)을 압축시키면서 전후진되는 플랩링크(300)와, 상기 플랩링크(300)의 전후진 량에 따라 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 홀더{Cup Holder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컵홀더의 홈 내에 수납되는 컵이 크기에 관계없이 컵이 안정되게 지지되면서, 상기 홈 내에 수납된 컵이 홈에서 이탈되거나 일측으로 넘어져 음료수가 컵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음료수 캔이나 컵 등(이하, 컵이라 통칭함)을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컵 홀더가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한 뒤 필요한 경우 컵을 상기 컵 홀더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컵 홀더는 차량 주행시 컵이 일측으로 넘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크래쉬 패드(CRASH PAD) 또는 콘솔 박스(CONSOLE BOX) 등에 형성되거나 또는 차량의 소정 부위에 부착 설치되고 있다.
종래 컵 홀더로서 가장 단순한 구조로는 크래쉬 패드 또는 콘솔 박스의 상부면에 단순히 컵을 수납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한 구조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컵 홀더는 다양한 크기의 컵을 수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컵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지 못하였다.
즉, 홈이 콘솔 박스에 일률적인 크기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 가능한 컵의 크기가 정해져 있으며, 특히 컵과 홈의 크기가 맞지 않는 경우 주행 중 컵이 홈에서 이탈되거나 일측으로 넘어지게 되어 음료수가 컵 밖으로 흘러 차량 내부를 더럽히게 되고, 이는 결국 운전 중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컵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국공개특허 제2005-0001127호 및 미국특허 제5,170,980호에는 컵이 수납되는 홈 내에 회전 가능한 컵 지지대를 설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미국공개특허 제2005-0001127호의 컵홀더는 수납 공간을 분할하도록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180도 정도를 포위하는 벽과, 회전 접시로 구성된 컵 지지대(divider)와; 컵 지지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과; 버튼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여 컵 지지대를 걸림 해제시키는 직경 보상 플랩(diameter-compensating flap)으로 구성된다.
이에, 사용자가 버튼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이와 연동하여 직경 보상 플랩이 회전하게 되어 컵 지지대가 걸림 해제되고, 그 결과 컵 지지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컵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컵홀더 역시도 컵이 수납되는 홈 내에 외경이 작은 컵이 수납되는 경우에는, 상기 홈 내에 수납된 컵이 홈에서 이탈되거나 일측으로 넘어져 음료수가 컵 밖으로 흘러 차량 내부를 더럽히게 됨은 물론, 차량을 운행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공개특허 제2005-0001127호 미국 특허 제5,170,98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 트레이의 수납공간에서 회전되는 컵 지지대의 회전량에 따라 보조컵지지대가 수납공간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면서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컵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컵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에 크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컵을 수납시키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컵이 지지되면서 수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11)이 형성된 수납 트레이(100)와, 상기 수납 트레이(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1)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와, 상기 컵 지지대(200)의 회전량에 따라 링크스프링(600)을 압축시키면서 전후진되는 플랩링크(300)와, 상기 플랩링크(300)의 전후진 량에 따라 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컵 지지대(200)는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바닥부(220)와, 상기 바닥부(220)로 부터 기립 형성되어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가 기립되게 형성된 바닥부(220)의 저면에 외측 하부로 돌출되게 시작단의 폭과 종료단의 폭이 상이한 비정원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230)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가이드리브(230)에 접촉되면서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전후진되는 플랩링크(300)에는 플랩하우징(400)에 일측단부가 지지되는 링크스프링(600)의 타측부가 삽입되는 결합돌기(320)와, 상기 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보조컵지지대(500)에 접촉되는 연결돌기(310)가 각각 형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플랩하우징(400)에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와 플랩링크(300) 사이에는 보조컵지지대(500)가 항상 수납 트레이(10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서브플랩스프링(700)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컵지지대(500)가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수납 트레이(100)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수납된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수납 트레이(100)의 저면에는 수납공간(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오일댐퍼(130)가 댐퍼스크류(140)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일댐퍼(130)에 의해 회전속도가 조절되도록 수납공간(111)에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중심부위에는 컵 지지대(200)를 회전 작동시키는 플랩스프링(240)이 힌지캡(25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캡(250)은 힌지스크류(260)에 의해 수납 트레이(100)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에 탑승한 탑승자가 수납 트레이의 수납공간에 컵을 수납시킨 상태에서 버튼을 작동시키면 상기 버튼에 의해 컵 지지대가 컵을 지지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보조컵지지대의 상부가 수납공간의 내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면서 수납 트레이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수납 트레이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크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컵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수납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 지지대와 보조컵지지대가 컵을 지지하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 지지대를 보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지지대가 컵을 지지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지지대가 회전되기전의 보조컵지지대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지지대가 회전되어 보조컵지지대가 컵을 지지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홀더용 플랩링크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를 보인 평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 지지대와 보조컵지지대가 컵을 지지하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 지지대를 보인 저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지지대가 컵을 지지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지지대가 회전되기전의 보조컵지지대의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지지대가 회전되어 보조컵지지대가 컵을 지지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홀더용 플랩링크를 보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컵(미도시)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11)이 형성된 수납 트레이(100)와, 상기 수납 트레이(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1)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와, 상기 컵 지지대(200)의 회전량에 따라 링크스프링(600)을 압축시키면서 전후진되는 플랩링크(300)와, 상기 플랩링크(300)의 전후진 량에 따라 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컵 지지대(200)는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바닥부(220)와, 상기 바닥부(220)로 부터 기립 형성되어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가 기립되게 형성된 바닥부(220)의 저면에 외측 하부로 돌출되게 시작단의 폭과 종료단의 폭이 상이한 비정원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2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리브(230)에 접촉되면서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전후진되는 플랩링크(300)에는 플랩하우징(400)에 일측단부가 지지되는 링크스프링(600)의 타측부가 삽입되는 결합돌기(320)와, 상기 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보조컵지지대(500)에 접촉되는 연결돌기(310)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플랩하우징(400)에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와 플랩링크(300) 사이에는 보조컵지지대(500)가 항상 수납 트레이(10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서브플랩스프링(7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납 트레이(100)의 저면에는 수납공간(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오일댐퍼(130)가 댐퍼스크류(140)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일댐퍼(130)에 의해 회전속도가 조절되도록 수납공간(111)에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중심부위에는 컵 지지대(200)를 회전 작동시키는 플랩스프링(240)이 힌지캡(25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캡(250)은 힌지스크류(260)에 의해 수납 트레이(10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스몰트레이(110)에 트레이하우징(120)이 수납공간(111)이 형성되록 결합된 수납 트레이(100)의 저면에 오일댐퍼(13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댐퍼스크류(140)를 이용해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댐퍼스크류(140)를 이용해 오일댐퍼(130)를 설치한 후에는 수납공간(111)에 컵 지지대(20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안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바닥부(220)로 부터 기립 형성된 지지부(210)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면서 수납공간(111)에 수납되는 컵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납공간(111)에 컵 지지대(200)를 안착시킨 후에는 컵 지지대(200)를 회전작동시키는 플랩스프링(240)과, 상기 플랩스프링(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힌지캡(250)과 , 상기 힌지캡(250)이 수납 트레이(100)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힌지스크류(26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힌지스크류(260)에 의해 컵 지지대(200)를 회전가능하게 수납 트레이(100)에 설치한 후에는, 플랩하우징(400)에 링크스프링(600)의 일측부를 안착시키고, 상기 링크스프링(600)의 타측부에는 플랩링크(300)의 결합돌기(32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압축 조립한다.
그 후 보조컵지지대(500)를 서브플랩스프링(700)에 의해 탄지되도록 플랩링크(300)과 보조컵지지대(500)를 연결시킨 후 플랩하우징(400)에 보조컵지지대(500)의 하단부에 형성된 힌지축(510)을 회전가능하게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보조컵지지대(500)를 플랩하우징(400)에 조립시키면 외측 하부로 돌출되게 시작단의 폭과 종료단의 폭이 상이한 비정원형으로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30)에 플랩링크(300)의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트레이하우징(120)에 플랩하우징(400)이 결합 된다.
이로 인해 차에 탑승한 탑승자가 내용물이 담기어져 있는 컵을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버튼(180)를 작동시키면 오일댐퍼(130)에 의해 작동속도가 조절되면서 축을 중심으로 컵 지지대(20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컵을 지지하도록 수납공간(111)으로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컵 지지대(20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납공간(111)으로 인출되면,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30)를 따라 플랩링크(300)가 링크스프링(600)을 압축시키면서 플랩하우징(4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플랩하우징(4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된 양만큼 보조컵지지대(500)의 하부가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보조컵지지대(500)의 상부는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수납된 컵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수납공간(111) 방향으로 서브플랩스프링(700)에 의해 탄지되면서 위치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111)으로 부터 컵 인출시킨 후에는, 차에 탑승한 탑승자가 타측 방향으로 컵 지지대(200)가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버튼(180)을 작동시키면 오일댐퍼(130)에 의해 작동속도가 조절되면서 축을 중심으로 컵 지지대(200)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컵 지지대(200)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30)를 따라 링크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플랩링크(300)가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플랩링크(300)가 이동된 양만큼 보조컵지지대(500)의 하부가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부가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 외측부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100 : 수납 트레이
111 : 수납공간
130 : 오일댐퍼
140 :댐퍼스크류
200 : 컵 지지대
210 : 지지부
220 : 바닥부
230 : 가이드리브
240 : 플랩스프링
250 : 힌지캡
260 : 힌지스크류
300 : 플랩링크
310 : 연결돌기
320 : 결합돌기
400 : 플랩하우징
500 : 보조컵지지대
510 : 힌지축
600 : 링크스프링
700 : 서브플랩스프링

Claims (5)

  1.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11)이 형성된 수납 트레이(100)와, 상기 수납 트레이(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1)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와, 상기 컵 지지대(200)의 회전량에 따라 링크스프링(600)을 압축시키면서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플랩링크(300)와, 상기 플랩링크(300)의 전후진 량에 따라 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지지대(200)는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바닥부(220)와, 상기 바닥부(220)로 부터 기립 형성되어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가 기립되게 형성된 바닥부(220)의 저면에 외측 하부로 돌출되게 시작단의 폭과 종료단의 폭이 상이한 비정원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230)에 접촉되면서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전후진되는 플랩링크(300)에는 플랩하우징(400)에 일측단부가 지지되는 링크스프링(600)의 타측부가 삽입되는 결합돌기(320)와, 상기 플랩링크(300)의 전후진 량에 따라 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에 접촉되는 연결돌기(31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랩링크(300)의 전후진 량에 따라 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와 플랩링크(300) 사이에는 보조컵지지대(500)가 항상 수납 트레이(10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서브플랩스프링(7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트레이(100)의 저면에는 수납공간(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오일댐퍼(130)가 댐퍼스크류(140)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일댐퍼(130)에 의해 회전속도가 조절되도록 수납공간(111)에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중심부위에는 컵 지지대(200)를 회전 작동시키는 플랩스프링(240)이 힌지캡(25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캡(250)은 힌지스크류(260)에 의해 수납 트레이(1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KR1020180102879A 2018-08-30 2018-08-30 자동차용 컵 홀더 KR102110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879A KR102110321B1 (ko) 2018-08-30 2018-08-30 자동차용 컵 홀더
EP19194265.5A EP3616986B1 (en) 2018-08-30 2019-08-29 Cup holder for car
US16/556,437 US11046228B2 (en) 2018-08-30 2019-08-30 Cup holder for vehicle
CN201910813547.6A CN110871729B (zh) 2018-08-30 2019-08-30 汽车用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879A KR102110321B1 (ko) 2018-08-30 2018-08-30 자동차용 컵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74A true KR20200025474A (ko) 2020-03-10
KR102110321B1 KR102110321B1 (ko) 2020-05-14

Family

ID=6780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879A KR102110321B1 (ko) 2018-08-30 2018-08-30 자동차용 컵 홀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46228B2 (ko)
EP (1) EP3616986B1 (ko)
KR (1) KR102110321B1 (ko)
CN (1) CN1108717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566B1 (ko) * 2021-03-12 2022-05-25 주식회사 코모스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86257A1 (en) * 2021-09-21 2023-03-23 Dorel Juvenile Group, Inc. Cupholder for a juvenile sea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0980A (en) 1991-04-26 1992-12-15 Prince Corporation Container holder
US20050001127A1 (en) 2003-07-03 2005-01-06 Falk Schaal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KR100747356B1 (ko) * 2006-07-28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KR20120000921A (ko) * 2010-06-28 2012-01-0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컵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8808Y (zh) * 1993-02-24 1994-03-16 赵必纯 车用饮料杯托架
US5791618A (en) * 1995-12-12 1998-08-11 Lescoa, Inc. Container holder
US5863089A (en) * 1996-11-01 1999-01-26 Covercraft Industries, Inc. Vehicle console having rotatably mounted cup holder and hinged storage tray
US7487945B2 (en) * 2005-02-18 2009-02-10 Visteon Technologies, Inc. Size adjustable cup holder in a motor vehicle
CN201659909U (zh) * 2009-09-18 2010-12-01 上海越明汽车橡塑饰件有限公司 汽车手动杯托总成
JP5929713B2 (ja) * 2012-11-06 2016-06-0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ヒンジ機構の製造方法
WO2014133282A1 (ko) * 2013-02-26 2014-09-0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컵 홀더의 플랩 조립체
CN103786621B (zh) * 2014-01-27 2016-01-27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车用杯托
DE102016101689A1 (de) * 2016-02-01 2017-08-03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Ablagefach mit einem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KR200488080Y1 (ko) * 2017-11-23 2018-12-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컵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0980A (en) 1991-04-26 1992-12-15 Prince Corporation Container holder
US20050001127A1 (en) 2003-07-03 2005-01-06 Falk Schaal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KR100747356B1 (ko) * 2006-07-28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KR20120000921A (ko) * 2010-06-28 2012-01-0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컵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566B1 (ko) * 2021-03-12 2022-05-25 주식회사 코모스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70707A1 (en) 2020-03-05
US11046228B2 (en) 2021-06-29
CN110871729A (zh) 2020-03-10
EP3616986B1 (en) 2021-03-03
EP3616986A1 (en) 2020-03-04
KR102110321B1 (ko) 2020-05-14
CN110871729B (zh)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882B1 (ko) 차량용 컵 홀더
EP0733510B1 (en) Automotive cup holder
KR101251258B1 (ko) 자동차 콘솔 박스의 컵 홀더
KR101144383B1 (ko) 차량의 컵 홀더
US7431365B2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20050001127A1 (en)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5762307A (en) Retractable automotive cupholder for compact storage in an interior storage compartment
JP2006056504A (ja) 自動車用飲料容器ホルダー
KR20200025474A (ko) 자동차용 컵 홀더
US20180297500A1 (en) Console drawer with delayed articulating cup holders
KR102400566B1 (ko)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KR101787949B1 (ko)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
JP4338262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KR20240039805A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643958B1 (ko) 차량용 컵홀더 가이드 구조
JP2001199272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H10291436A (ja) 車両用可倒式アームレスト
KR100432006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20100005888U (ko) 가변식 물병 보관함을 구비하는 차량용 맵포켓
KR20090052044A (ko) 컵 홀더
KR100756952B1 (ko) 차량용 컵 홀더
KR200412704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1637766B1 (ko) 챠량의 컵 홀더
JP2002019514A (ja) アームレスト用カップ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