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949B1 -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949B1
KR101787949B1 KR1020170073383A KR20170073383A KR101787949B1 KR 101787949 B1 KR101787949 B1 KR 101787949B1 KR 1020170073383 A KR1020170073383 A KR 1020170073383A KR 20170073383 A KR20170073383 A KR 20170073383A KR 101787949 B1 KR101787949 B1 KR 101787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inged
pressing member
box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성희
Original Assignee
곽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성희 filed Critical 곽성희
Priority to KR102017007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N2/468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함과 하부함이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함이 이송수단에 의해 뒷자석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뒷자석의 탑승자가 앞좌석측으로 상체를 기울이지 않은 상태에서도 콘솔박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는 콘솔박스에 있어서, 상부와 내부가 빈 함체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에 뚜껑이 힌지 결합되는 상부함; 상부와 내부가 빈 함체로 구성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함이 배치되는 하부함; 상기 상부함이 상기 하부함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함이 상기 하부함으로부터 분리되어 뒷자석측으로 이송되거나 다시 상기 하부함에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함과 하부함을 연결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뚜껑의 폭방향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Multifunction console box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부함과 하부함이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함이 이송수단에 의해 뒷자석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뒷자석의 탑승자가 앞좌석측으로 상체를 기울이지 않은 상태에서도 콘솔박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콘솔박스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부로부터 프런트 시트인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프런트 콘솔박스와 리어 콘솔박스로 구성되어 있다.
리어 콘솔박스는 박스 형태의 함체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높이를 높게 하여 사용자의 암레스트(arm rest)로 사용되는 것과 동시에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 문화가 일상화되고, 운행시나 점차 심각해지는 교통체증 등으로 인하여 승객이 자동차 실내에서 장시간 머물러야 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편의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리어 콘솔박스에는 음료 용기 홀더, 방향제 홀더, 멀티미디어 기기, cd수납부, 후방 에어컨 및 조명 등의 다양한 부가 장치를 구비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다기능 콘솔박스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051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콘솔박스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한 수납공간과, 티켓꽂이수단 및 재떨이수단을 구비하고, 상부에 동전꽂이를 형성한 상부 수납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콘솔박스의 좌우측에 사이드포켓수단을 구비하여, 다방향에서 다양한 편의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콘솔박스에 다양한 부가장치를 구비하고, 이를 앞좌석에 탑승한 운전자 뿐만아니라 뒷자석에 탑승한 탑승자까지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여전히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콘솔박스가 위치된 상태에서 이를 사용하도록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뒷좌석의 탑승자는 주 수납공간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체를 콘솔박스 측으로 가까이 이동시켜야만 하는 바, 전 좌석의 탑승자가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불편함이 있다.
또한, 뒷좌석 탑승자가 콘솔박스를 사용하기 위해 콘솔박스에 인접한 위치에 가까이 붙어 있게 되면, 운전자의 시야를 일부 차단하는 것은 물론, 운전자의 팔 움직임을 일부 봉쇄하여 운전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KR 20-0210518 Y1 2000.11.06.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함과 하부함이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함이 이송수단에 의해 뒷자석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뒷자석의 탑승자가 앞좌석측으로 상체를 기울이지 않은 상태에서도 콘솔박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는 콘솔박스에 있어서, 상부와 내부가 빈 함체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에 뚜껑이 힌지 결합되는 상부함; 상부와 내부가 빈 함체로 구성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함이 배치되는 하부함; 상기 상부함이 상기 하부함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함이 상기 하부함으로부터 분리되어 뒷자석측으로 이송되거나 다시 상기 하부함에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함과 하부함을 연결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뚜껑의 폭방향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은, 절곡된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상부함과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함과 힌지 결합되며, 하단의 힌지축에 제 1이송기어가 구비되는 제 1링크바; 절곡된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링크바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상부함과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함과 힌지 결합되는 제 2링크바; 상기 제 1이송기어와 맞물리는 제 2이송기어가 동력축에 구비되는 이송모터(M1)와 상기 이송모터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이송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송 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송 동작부는, 별도로 구비되는 스위치 또는 리모컨에 의해 동작 명령을 전달받도록 한다.
한편, 상기 트레이부는,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의 폭방향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트레이; 및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되, 상기 제 1트레이부의 하부에서 상기 뚜껑의 폭방향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함에는, 차량 내부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방향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함이 뒷자석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뒷좌석의 탑승자가 상체를 콘솔박스측으로 기울이지 않고 뒷자석에 앉아 있던 상태로 상기 상부함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뒷자석 탑승자가 운전자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콘솔박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의 양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 및 인입되는 트레이가 구비되도록 함에 따라, 뒷좌석 탑승자는 이를 물건이나 음식을 올려두는 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함의 내부에 일정 시간간격으로 자동으로 방향물질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방향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차량의 내부에 항상 좋은 향기가 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의 상부함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의 상부함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트레이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향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향부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향부재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부함(100)과 하부함(200)이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함(100)이 이송수단(400)에 의해 뒷자석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뒷자석의 탑승자가 앞좌석측으로 상체를 기울이지 않은 상태에서도 콘솔박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의 상부함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의 상부함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함(100), 트레이부(300), 하부함(200), 및 이송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함(10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박스로서, 상부와 내부가 빈 함체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에 뚜껑(110)이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뚜껑(110)은 후방측으로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힌지 결합되며,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트레이부(300)는 물건 또는 음식물을 올려두는 테이블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뚜껑(110)의 폭방향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트레이부(300)는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110)의 폭방향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트레이(320)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되, 상기 제 1트레이(320)의 하부에서 상기 뚜껑(110)의 폭방향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트레이(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트레이(320)와 제 2트레이(33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110)의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이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하여, 뒷자석의 탑승자가 물건 또는 음식 등을 올려두는 테이블 또는 선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함(20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박스로서, 상부와 내부가 빈 함체로 구성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함(100)이 배치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상부함(100)은 상기 상부함(100)으로부터 결합되거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함(100)의 하부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함(200)에 걸림 결합이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송수단(400)은 상기 상부함(100)이 상기 하부함(200)으로부터 분리되어 뒷자석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상부함(100)과 하부함(20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 1링크바(410), 제 2링크바(420) 및 이송 동작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링크바(410)는 절곡된 막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상기 상부함(100)과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함(200)과 힌지 결합되며, 하단의 힌지축에 제 1이송기어(411)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제 2링크바(420)는 절곡된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링크바(410)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상부함(100)과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함(200)과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함(100)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폭방향 측벽에 결합되는 제 1지지프레임(440)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함(200)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폭방향 측벽에 결합되는 제 2지지프레임(450)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제 1링크바(410) 및 제 2링크바(420)의 상단이 상기 제 1지지프레임(440)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1링크바(410) 및 제 2링크바(420)의 하단이 상기 제 2지지프레임(450)과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송 동작부(430)는 상기 상부함(100)을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이송기어(411)와 맞물리는 제 2이송기어(431)가 이송모터(M1)의 동력축에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모터(M1)의 동력에 의해 상기 제 1이송기어(41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1링크바(4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송모터(M1)의 동작은 이송 제어부(C1)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이송 제어부(C1)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리모컨 등에 의해 동작명령을 전달받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모터(M1)는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의 구성에 따라, 탑승자가 상기 스위치 또는 리모컨을 조작하면, 상기 이송 제어부(C1)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모터(M1)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함(100)이 뒷자석측으로 이송되거나 다시 복귀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이송모터(M1)가 동작되면, 상기 제 2이송기어(43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 1이송기어(411)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링크바(410) 또한 회전되게 되면서 상기 상부함(100)을 뒷자석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함(100)이 뒷자석측으로 이동되면, 앞좌석의 탑승자는 상기 하부함(200)을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뒷좌석의 탑승자는 상체를 콘솔박스측으로 기울이지 않은 채 뒷자석에 앉아 있던 상태로 상기 상부함(100)을 사용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전좌석에 탑승한 모든 탑승자들이 운전자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콘솔박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무선으로 기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것은 통상적으로 산업전반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트레이부(300)의 사시도로서, 상기 상부함(100)이 뒷자석측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부(300)를 상기 상부함(100)의 폭방향 양단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며, 상기 트레이부(300)를 뒷자석 탑승자의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부(300)에는 뒷자석 탑승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음료홀더부(31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음료홀더부(310)는 일반적인 원형의 음료 용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홀딩부(311)와 수납홈(3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딩부(311)는 내부에 음료 용기가 구비될 수 있도록 원호의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며, 일단이 상기 제 1트레이(320) 및 제 2트레이(330)에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수납홈(313)은 상기 홀딩부(311)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것으로서, 상기 홀딩부(311)가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삽입되어 충분히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트레이(320) 및 제 2트레이(330)의 일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딩부(311)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312)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트레이부(300)의 상면에는 상기 손잡이(312)가 회전되는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수납안내홈(314)을 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손잡이(312)는 상기 홀딩부(311)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트레이부(30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트레이부(300)의 상면에 형성된 수납안내홈(314)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312)가 상기 수납안내홈(314)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홀딩부(311)의 인출 및 인입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뚜껑(110)으로부터 상기 트레이부(300)를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12)를 회전시키면 상기 홀딩부(311)가 상기 수납홈(313)으로부터 인출되어 음료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향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향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향부재의 측면도로서, (a)는 편심캠의 플랭크가 가압부재로부터 멀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편심캠의 플랭크가 가압부재측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하부함(200)에 구비되는 방향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방향부재(500)는 방향제 구비함(510), 배출구(512), 분사 동작부(520) 및 분사 제어부(C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향제 구비함(510)은 내부에 방향물질이 수용된 몸체와 분사노즐(N)로 구성된 방향제(F)가 수납되는 곳으로서, 상기 하부함(200)의 내부 수용공간에서 상기 하부함(200)의 코너측에 구획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방향제 구비함(510)의 내부에는 상기 방향제(F)뿐만 아니라 상기 방향제(F)를 동작하는 분사 동작부(520) 및 분사 제어부(C2) 또한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함(200)에 수용되는 여러 물건들로부터 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방향제 구비함(510)에는 상기 방향제(F)의 몸체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분사노즐(N)이 구비되는 공간을 일부 분리하는 격벽(511)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방향제(F)가 내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방향제 구비함(510)의 상부나 측벽은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방향제(F)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512)는 분사된 방향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함(200)의 측벽에 형성되는 다량의 통공으로 구성되며, 이는 상기 분사노즐(N)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상기 배출구(512)는 방향제 구비함(510) 내부로 분출되는 방향물질이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하부함(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N)이 상기 하부함(200)의 측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통공은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 동작부(520)는 상기 분사노즐(N)을 가압하여 방향물질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가압부재(530) 및 가압 동력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재(530)는 상기 분사노즐(N)의 가압방향의 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부재(530)를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부연하면, 상기 가압부재(530)는 상기 분사노즐(N)을 충분히 가압하도록 소정의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며, 폭방향 양단에 형성된 가압돌기(531)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비함(510)의 내측벽에는 상기 가압돌기(53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532)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홈(532)에는 상기 가압돌기(531)의 이동에 따라 압축 및 복원이 이루어지는 스프링(S)이 구비되도록 한다.
즉, 상기 가압부재(530)를 이동방향의 전방측에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돌기(531)가 가이드홈(532)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스프링(S)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가압 동력부(540)는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되는 분사모터(M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N)을 가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 1변속기어(541), 제 2변속기어(542) 및 편심캠(543)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변속기어(541)는 상기 분사모터(M2)의 동력축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모터(M2)의 동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분사모터(M2)의 동력축은 상기 방향제(F)와 직교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상기 제 2변속기어(542)는 상기 동력축과 나란하게 구비된 고정축에 상기 제 1변속기어(541)와 맞물리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제 1변속기어(54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편심캠(543)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볼록캠, 즉, 플랭크(flank)가 원호의 형태로 형성된 볼록캠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530)와 맞닿는 상태로 배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분사 동작부(520)는 상기 분사모터(M2)의 동작에 의해 상기 플랭크가 상기 가압부재(530)측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530)가 상기 분사노즐(N)측으로 이송되면서 방향제(F)의 분사가 이루어지고, 상기 플랭크가 상기 가압부재(530)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가압부재(530)가 스프링(S)에 의해 제자리로 복원되면서 분사동작이 완료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분사 제어부(C2)는 상기 분사 동작부(5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로 구비되는 분사조절 리모컨에 의해 전달받은 동작명령에 따라 상기 분사모터(M2)의 동작환경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분사조절 리코컨이 상기 분사모터(M2)의 회전수 및 분사주기에 대한 동작명령을 전달하면, 상기 분사 제어부(C2)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모터(M2)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방향부재(500)는 소정의 시간간격에 따라 분사가 이루어지되, 1회 동작시 설정된 분사횟수로 방향물질을 분사하여 방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모터(M2)는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상부함 110 : 뚜껑
200 : 하부함
300 : 트레이부 310 : 음료홀더부
311 : 홀딩부 312 : 손잡이
313 : 수납홈 314 : 수납안내홈
320 : 제 1트레이 320 : 제 2트레이
400 : 이송수단 410 : 제 1링크바
411 : 제 1이송기어
420 : 제 2링크바 430 : 이송 동작부
431 : 제 2이송기어
440 : 제 1지지프레임 450 : 제 2지지프레임
500 : 방향부재 510 : 방향제 구비함
511 : 격벽 512 : 배출구
520 : 분사 동작부 530 : 가압부재
531 : 가압돌기 532 : 가이드홈
540 : 가압 동력부 541 : 제 1변속기어
542 : 제 2변속기어 543 : 편심캠
M1 : 이송모터 M2 : 분사모터
C1 : 이송 제어부 C2 : 분사 제어부
S : 스프링
F : 방향제 N : 분사노즐

Claims (5)

  1.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는 콘솔박스에 있어서,
    상부와 내부가 빈 함체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에 뚜껑(110)이 힌지 결합되는 상부함(100);
    상부와 내부가 빈 함체로 구성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함(100)이 배치되는 하부함(200);
    상기 상부함(100)이 상기 하부함(20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함(100)이 상기 하부함(200)으로부터 분리되어 뒷자석측으로 이송되거나 다시 상기 하부함(200)에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함(100)과 하부함(200)을 연결하는 이송수단(400); 및
    상기 뚜껑(110)의 폭방향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레이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400)은,
    절곡된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상부함(100)과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함(200)과 힌지 결합되며, 하단의 힌지축에 제 1이송기어(411)가 구비되는 제 1링크바(410);
    절곡된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링크바(410)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상부함(100)과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함(200)과 힌지 결합되는 제 2링크바(420); 및
    상기 제 1이송기어와 맞물리는 제 2이송기어(431)가 동력축에 구비되는 이송모터(M1)와 상기 이송모터(M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이송 제어부(C1)를 포함하며, 별도로 구비되는 스위치 또는 리모컨에 의해 동작 명령을 전달받도록 이루어지는 이송 동작부(430);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함(100)의 폭방향 측벽에는 제 1지지프레임(440)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함(200)의 폭방향 측벽에는 제 2지지프레임(45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링크바(410) 및 제 2링크바(420)의 상단은 상기 제 1지지프레임(440)과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제 2지지프레임(450)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부(300)는,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110)의 폭방향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트레이(320);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되, 상기 제 1트레이(320)의 하부에서 상기 뚜껑(110)의 폭방향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트레이(330); 및
    상기 제 1트레이(320) 및 제 2트레이(330)에 내장되어 원형의 음료 용기가 수납되도록 하는 음료홀더부(310);
    을 포함하며,
    상기 음료홀더부(310)는,
    내부에 음료 용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트레이(320) 및 제 2트레이(330)와 힌지 결합되는 홀딩부(311);
    상기 홀딩부(311)가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도록 상기 제 1트레이(320) 및 제 2트레이(330)의 일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수납홈(313);
    상기 홀딩부(311)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트레이부(30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트레이부(300)의 상면에 형성된 수납안내홈(314)에 의해 안내되는 손잡이(312);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함(200)에는,
    방향제(F)가 수납된 상태로 상기 하부함(200)의 코너측에 구획된 상태로 구비되는 방향제 구비함(510);
    상기 하부함(200)의 측벽에 형성되는 다량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향제로부터 분사된 방향물질이 상기 하부함(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512);
    상기 방향제(F)에 구비된 분사노즐(N)의 가압방향 전방에서 상기 분사노즐(N)을 가압하는 가압부재(530)와, 상기 가압부재(53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동력부(54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동력부(54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방향제(F)로부터 방향물질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 동작부(520); 및
    상기 분사 동작부(5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C2);
    를 포함하는 방향부재(500)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530)는,
    상기 구비함(510)의 내측벽에 형성된 가이드홈(532)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압돌기(531)가 폭방향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532)에는 스프링(S)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된 상기 가압부재(530)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며,
    상기 가압동력부(540)는,
    분사모터(M2)의 동력축에 결합되는 제 1변속기어(541);
    상기 제 1변속기어(541)와 맞물리도록 상기 동력축과 나란하게 구비된 고정축에 결합되는 제 2변속기어(542); 및
    상기 가압부재(530)와 맞닿는 상태로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되, 플랭크(flank)가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는 편심캠(543);
    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동작부(520)는,
    상기 분사모터(M2)의 동작에 의해 상기 플랭크가 상기 가압부재(530)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530)가 상기 분사노즐(N)측으로 이송되면서 방향제(F)의 분사가 이루어지고, 상기 플랭크가 상기 가압부재(530)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가압부재(530)가 스프링(S)에 의해 제자리로 복원되면서 분사동작이 완료되며,
    상기 분사 제어부(C2)는,
    별도로 구비되는 분사조절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분사모터(M2)의 회전수 및 분사주기에 대한 동작명령을 전달받아 이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모터(M2)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73383A 2017-06-12 2017-06-12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 KR101787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383A KR101787949B1 (ko) 2017-06-12 2017-06-12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383A KR101787949B1 (ko) 2017-06-12 2017-06-12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949B1 true KR101787949B1 (ko) 2017-11-15

Family

ID=6038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383A KR101787949B1 (ko) 2017-06-12 2017-06-12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9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989A (ko) * 2019-11-13 2021-05-2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 테이블 장치
KR20220160751A (ko)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콘솔에 탈부착 가능한 멀티 도킹스테이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989A (ko) * 2019-11-13 2021-05-2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 테이블 장치
KR102264389B1 (ko) 2019-11-13 2021-06-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 테이블 장치
KR20220160751A (ko)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콘솔에 탈부착 가능한 멀티 도킹스테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6985B2 (en) Console assembly
JP4294623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6001579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US8939491B2 (en) Multiple container holder assembly
JPH06191339A (ja) モジュール型の二連式マグ及びカップホルダー
US9975493B2 (en) Vehicular console device
MX2015000354A (es) Puerta corrediza para un receptaculo de almacenamiento en una consola central del piso de un vehiculo.
KR101787949B1 (ko)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
WO2010119621A1 (ja) 引出し装置
US6854779B2 (en) Driver-accessible storage compartments for passenger vehicles
KR102110321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2005145456A (ja) 車両用輸送容器装置
JP4736638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JP2007160999A (ja) 自動車の小物収納装置
JPH09267662A (ja) 車両用ダッシュボード
JP200218747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カップホルダ
JP3744493B2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ー
JP6942064B2 (ja) 容器載置装置
GB2445741A (en) Lid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storage cavity
US20110095060A1 (en) Device for laterally positioning an object in a container
KR100187857B1 (ko) 이동 가능한 다용도 애시트레이
JP2003048474A (ja) 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432006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3049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WO2013066218A1 (en) Attach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