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805A - 자동차용 컵 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805A
KR20240039805A KR1020220118612A KR20220118612A KR20240039805A KR 20240039805 A KR20240039805 A KR 20240039805A KR 1020220118612 A KR1020220118612 A KR 1020220118612A KR 20220118612 A KR20220118612 A KR 20220118612A KR 20240039805 A KR20240039805 A KR 2024003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ubflap
link
support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효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1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805A/ko
Publication of KR2024003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8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ix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컵홀더의 홈 내에 수납되는 컵이 크기에 관계없이 컵이 안정되게 지지되면서, 상기 홈 내에 수납된 컵이 홈에서 이탈되거나 일측으로 넘어져 음료수가 컵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11)이 형성된 수납 트레이(100)와, 상기 수납 트레이(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1)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지지대 (200)와, 상기 컵 지지대(200)의 회전량에 따라 링크스프링(600)을 압축시키면서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서브플랩링크(300)와, 상기 서브플랩링크(300)의 전후진 량에 따라 서브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컵 지지대(200)는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바닥부(220)와, 상기 바닥부(220)로 부터 기립 형성되어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가 기립되게 형성된 바닥부(220)의 저면에 외측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리브(230)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230)는 시작단의 폭과 종료단의 폭이 상이한 비정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리브(230)에는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전후진되는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가 각각 높이가 상이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의 상부에는 전후진 량에 따라 서브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한쌍의 보조컵지지대(500)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 홀더{Cup holder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컵홀더의 홈 내에 수납되는 컵이 크기에 관계없이 컵이 안정되게 지지되면서, 상기 홈 내에 수납된 컵이 홈에서 이탈되거나 일측으로 넘어져 음료수가 컵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음료수 캔이나 컵 등(이하, 컵이라 통칭함)을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컵 홀더가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한 뒤 필요한 경우 컵을 상기 컵 홀더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컵 홀더는 차량 주행시 컵이 일측으로 넘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크래쉬 패드(CRASH PAD) 또는 콘솔 박스(CONSOLE BOX) 등에 형성되거나 또는 차량의 소정 부위에 부착 설치되고 있다.
종래 컵 홀더로서 가장 단순한 구조로는 크래쉬 패드 또는 콘솔 박스의 상부면에 단순히 컵을 수납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한 구조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컵 홀더는 다양한 크기의 컵을 수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컵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지 못하였다.
즉, 홈이 콘솔 박스에 일률적인 크기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 가능한 컵의 크기가 정해져 있으며, 특히 컵과 홈의 크기가 맞지 않는 경우 주행 중 컵이 홈에서 이탈되거나 일측으로 넘어지게 되어 음료수가 컵 밖으로 흘러 차량 내부를 더럽히게 되고, 이는 결국 운전 중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컵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국공개특허 제2005-0001127호 및 미국특허 제5,170,980호에는 컵이 수납되는 홈 내에 회전 가능한 컵 지지대를 설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미국공개특허 제2005-0001127호의 컵홀더는 수납 공간을 분할하도록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180도 정도를 포위하는 벽과, 회전 접시로 구성된 컵 지지대(divider)와; 컵 지지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비틀림스프링과; 버튼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여 컵 지지대를 걸림 해제시키는 직경 보상 플랩(diameter-compensating
flap)으로 구성된다.
이에, 사용자가 버튼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이와 연동하여 직경 보상 플랩이 회전하게 되어 컵 지지대가 걸림 해제되고, 그 결과 컵 지지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컵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컵홀더 역시도 컵이 수납되는 홈 내에 외경이 작은 컵이 수납되는 경우에는, 상기 홈 내에 수납된 컵이 홈에서 이탈되거나 일측으로 넘어져 음료수가 컵 밖으로 흘러 차량 내부를 더럽히게 됨은 물론, 차량을 운행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공개특허 제2005-0001127호 미국 특허 제5,170,98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 트레이의 수납공간에서 회전되는 컵 지지대의 회전량에 따라 높이가 상이한 두개의 보조컵지지대가 각각 수납공간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면서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컵의 외측면에 상하부에 각각 접촉되어 컵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에 크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컵을 수납시키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컵이 지지되면서 수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11)이 형성된 수납 트레이(100)와, 상기 수납 트레이(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1)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지지대 (200)와, 상기 컵 지지대(200)의 회전량에 따라 링크스프링(600)을 압축시키면서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서브플랩링크(300)와, 상기 서브플랩링크(300)의 전후진 량에 따라 서브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컵 지지대(200)는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바닥부(220)와, 상기 바닥부(220)로 부터 기립 형성되어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가 기립되게 형성된 바닥부(220)의 저면에 외측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리브(230)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230)는 시작단의 폭과 종료단의 폭이 상이한 비정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리브(230)에는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전후진되는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가 각각 높이가 상이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의 상부에는 전후진 량에 따라 서브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한쌍의 보조컵지지대(500)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서브플랩하우징(400)에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와 서브플랩링크(300) 사이에는 보조컵지지대(500)가 항상 수납 트레이(10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서브플랩힌지스프링(700)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컵지지대(500)가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수납 트레이(100)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수납된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중심부위에는 컵 지지대(200)를 회전 작동시키는 플랩힌지스프링(240)이 힌지캡(25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에 타고있는 탑승자가 수납 트레이의 수납공간에 컵을 수납시킨 상태에서 버튼을 작동시키면 상기 버튼에 의해 컵 지지대가 컵을 지지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높이가 상이한 각각의 보조컵지지대가 수납공간의 내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면서 수납 트레이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컵의 상부와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수납 트레이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크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컵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수납되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 지지대와 보조컵지지대가 컵을 지지하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 지지대를 보인 저면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 - 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컵 홀더용 컵 지지대의 작동궤적을 보인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컵 홀더용 컵 지지대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표현한 형상 이외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아니하였음을 일러둔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를 보인 평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 지지대와 보조컵지지대가 컵을 지지하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컵 지지대를 보인 저면도 이며,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이고, 도 6은 도 4의 B - B'선 단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컵 홀더용 컵 지지대의 작동궤적을 보인 저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컵 홀더용 컵 지지대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컵 홀더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11)이 형성된 수납 트레이(100)와, 상기 수납 트레이(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1)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지지대 (200)와, 상기 컵 지지대(200)의 회전량에 따라 링크스프링(600)을 압축시키면서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서브플랩링크(300)와, 상기 서브플랩링크(300)의 전후진 량에 따라 서브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컵 지지대(200)는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바닥부(220)와, 상기 바닥부(220)로 부터 기립 형성되어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가 기립되게 형성된 바닥부(220)의 저면에 외측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리브(230)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230)는 시작단의 폭과 종료단의 폭이 상이한 비정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리브(230)에는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전후진되는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가 각각 높이가 상이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의 상부에는 전후진 량에 따라 서브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한쌍의 보조컵지지대(5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서브플랩하우징(400)에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와 서브플랩링크(300) 사이에는 보조컵지지대(500)가 항상 수납 트레이(10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서브플랩힌지스프링(70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중심부위에는 컵 지지대(200)를 회전 작동시키는 플랩힌지스프링(240)이 힌지캡(25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수납트레이(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1)에 컵지지대(200)가 안착되는 플랩하우징(800)을 고정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플랩하우징(800)을 수납공간(111)에 설치한 후에는 컵지지대(200)를 플랩하우징(800)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안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바닥부(220)로 부터 기립 형성된 지지부(210)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면서 수납공간(111)에 수납되는 컵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납공간(111)에 컵 지지대(200)를 안착시킨 후에는 컵 지지대(200)를 회전작동시키는 플랩힌지스프링(240)과, 상기 플랩힌지스프링(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힌지캡(250)과 , 상기 힌지캡(250)이 수납 트레이(100)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힌지스크류(26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힌지스크류(260)에 의해 컵 지지대(200)를 회전가능하게 수납트레이(100)에 설치한 후에는, 서브플랩하우징(400)에 링크스프링(600)의 일측부를 안착시키고, 상기 링크스프링(600)의 타측부는 서브플랩링크(300)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압축 조립한다.
그 후 보조컵지지대(500)를 서브플랩힌지스프링(700)에 의해 탄지되도록 서브플랩링크(300)와 보조컵지지대(500)를 연결시킨 후 서브플랩하우징(400)에 보조컵지지대(500)의 하단부에 힌지축(510)을 회전가능하게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보조컵지지대(500)를 서브플랩하우징(400)에 조립시키면 외측 하부로 돌출되게 시작단의 폭과 종료단의 폭이 상이한 비정원형으로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30)에 서브플랩링크(300)의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트레이하우징(120)에 서브플랩하우징(400)이 결합 된다.
이때, 상기 상기 가이드리브(230)에는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전후진되는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가 각각 높이가 상이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의 상부에는 전후진 량에 따라 서브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한쌍의 보조컵지지대(500)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차에 탑승한 탑승자가 내용물이 담기어져 있는 컵을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버튼(180)을 작동시키면 록킹력이 해제되면서 축을 중심으로 컵지지대(20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컵을 지지하도록 수납공간(111)으로 인출시, 컵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30)를 따라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가 각각 링크스프링(600)을 압축시키면서 서브플랩하우징(4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서브플랩하우징(4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된 양만큼 보조컵지지대(500)의 하부가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로인해 상기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에 각각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보조컵지지대(500)는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수납된 컵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수납공간(111) 방향으로 각각 인출된다.
이때, 상기 보조컵지지대(500)는 서브플랩힌지스프링(700)에 의해 탄지되면서 수납공간(111)의 상하부에 높이가 상이한 각각의 보조컵지지대가 수납공간의 내부로 인출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수납된 컵의 상부와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111)으로 부터 컵 인출시킨 후에는, 차에 탑승한 탑승자가 타측 방향으로 컵지지대(200)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버튼(180)을 작동시키면 컵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30)를 따라 링크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플랩링크(300)가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플랩링크(300)가 이동된 양만큼 보조컵지지대(500)의 하부가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부가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 외측부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수납 트레이
111 : 수납공간
200 : 컵 지지대
210 : 지지부
220 : 바닥부
230 : 가이드리브
240 : 플랩힌지스프링
250 : 힌지캡
300 : 서브플랩링크
310 : 제1서브플랩링크
320 : 제2서브플랩링크
400 : 서브플랩하우징
510 : 힌지축
500 : 보조컵지지대
600 : 링크스프링
700 : 서브플랩힌지스프링

Claims (3)

  1.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11)이 형성된 수납 트레이(100)와, 상기 수납 트레이(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1)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지지대 (200)와, 상기 컵 지지대(200)의 회전량에 따라 링크스프링(600)을 압축시키면서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서브플랩링크(300)와, 상기 서브플랩링크(300)의 전후진 량에 따라 서브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컵 지지대(200)는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바닥부(220)와, 상기 바닥부(220)로 부터 기립 형성되어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가 기립되게 형성된 바닥부(220)의 저면에 외측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리브(230)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230)는 시작단의 폭과 종료단의 폭이 상이한 비정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리브(230)에는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전후진되는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가 각각 높이가 상이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서브플랩링크(310)와 제2서브플랩링크(320)의 상부에는 전후진 량에 따라 서브플랩하우징(400)에 하단부가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수납공간(111)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한쌍의 보조컵지지대(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서브플랩하우징(400)에 설치되는 보조컵지지대(500)와 서브플랩링크(300) 사이에는 보조컵지지대(500)가 항상 수납 트레이(10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서브플랩힌지스프링(7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1)에 설치되는 컵 지지대(200)의 바닥부(220) 중심부위에는 컵 지지대(200)를 회전 작동시키는 플랩힌지스프링(240)이 힌지캡(25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KR1020220118612A 2022-09-20 2022-09-20 자동차용 컵 홀더 KR20240039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612A KR20240039805A (ko) 2022-09-20 2022-09-20 자동차용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612A KR20240039805A (ko) 2022-09-20 2022-09-20 자동차용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805A true KR20240039805A (ko) 2024-03-27

Family

ID=9048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612A KR20240039805A (ko) 2022-09-20 2022-09-20 자동차용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80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0980A (en) 1991-04-26 1992-12-15 Prince Corporation Container holder
US20050001127A1 (en) 2003-07-03 2005-01-06 Falk Schaal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0980A (en) 1991-04-26 1992-12-15 Prince Corporation Container holder
US20050001127A1 (en) 2003-07-03 2005-01-06 Falk Schaal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3510B1 (en) Automotive cup holder
US5782448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ntainer
JP4895550B2 (ja) 自動車用飲料容器ホルダー
KR100837086B1 (ko) 자동차용 컵홀더
EP0865963A2 (en) Expandable container holder
US5762307A (en) Retractable automotive cupholder for compact storage in an interior storage compartment
US20060076468A1 (en) Cup holder for vehicles
KR100513677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1144383B1 (ko) 차량의 컵 홀더
US5829726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ntainer
JP2003118465A (ja)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CN110871729B (zh) 汽车用杯架
KR20240039805A (ko) 자동차용 컵 홀더
WO2014133282A1 (ko) 자동차 컵 홀더의 플랩 조립체
KR100683200B1 (ko) 차량용 회전식 컵홀더 장치
KR102400566B1 (ko)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KR100643958B1 (ko) 차량용 컵홀더 가이드 구조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4338262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3501197B2 (ja) 車載用容器ホルダ
KR100432006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643800B1 (ko) 차량용 컵 홀더
JP2024071020A (ja) 車両用内装品
KR100756952B1 (ko) 차량용 컵 홀더
JPH0880777A (ja) カップホルダ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