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566B1 -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566B1
KR102400566B1 KR1020210032483A KR20210032483A KR102400566B1 KR 102400566 B1 KR102400566 B1 KR 102400566B1 KR 1020210032483 A KR1020210032483 A KR 1020210032483A KR 20210032483 A KR20210032483 A KR 20210032483A KR 102400566 B1 KR102400566 B1 KR 102400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upport
vehicle
flap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호
제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스
Priority to KR102021003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랑용 회전식 컵 홀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을 수납하고 지지하기 위한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는, 상기 컵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 트레이, 바닥부와 상기 컵을 지지하는 제1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컵을 지지하지 않는 제1 위치와 상기 컵을 지지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회전에 연동되어 운동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진입하여 상기 컵을 지지하는 제2 플랩을 포함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ROTARY CUP HOLD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에 다양한 컵을 흔들림없이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회전 식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에는 운전자 및 동승자가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납공간은 물건 이외에 음료수 캔 또는 컵 형태의 음료 통도 수납하고 지지할 수 있는 원통형의 컵 홀더로 제작되곤 한다.
그러나 이러한 컵 홀더는 대형 컵도 수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컵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컵 홀더보다 작은 직경의 컵은 차량 주행에 따라 불안정하게 흔들리거나 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넘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컵 홀더의 벽면에서 탄성적으로 컵을 밀착하여 지지하는 플랩이 마련되는 구조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플랩이 밀착할 수 있는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컵은 지지할 수 없고, 항시 플랩이 컵 홀더 벽면에서 돌출되어 있어 컵 홀더의 사용에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10-0431983 B1 (2004. 05. 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컵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납공간에서 흔들림없이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회전 플랩을 이용하여 컵을 수납하는 전용 공간을 마련하는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컵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보조 플랩이 플랩의 회전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사라지는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을 수납하고 지지하기 위한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는, 상기 컵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 트레이; 바닥부와 상기 컵을 지지하는 제1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컵을 지지하지 않는 제1 위치와 상기 컵을 지지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회전에 연동되어 운동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진입하여 상기 컵을 지지하는 제2 플랩을 포함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상기 바닥부 하부에는, 원호 형상을 가지되 각 지점의 돌출높이가 서로 상이한 돌출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부가 상기 돌출리브를 타고 운동하면서 상기 제2 플랩을 상기 수납공간에 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돌출리브를 타고 이동함에 따라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돌출리브의 일단과 접촉하며 상기 제1 지지대가 회전됨에 따라 운동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가 회전됨에 따라 운동하며며 상기 제2 플랩을 상기 수납공간에 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2 플랩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의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에서 미끄럼 운동하여 제2 링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링크는 일단에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는 일단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 내에서 안내되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소정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각각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의 스프링은 상기 제1 링크의 일단이 상기 돌출리브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고, 상기 제2 링크의 스프링은 상기 제2 플랩이 상기 수납공간에 진입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으로 인한 상기 제1 지지대의 회전의 속도를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는, 컵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납공간에서 흔들림없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플랩을 이용하여 컵을 수납하는 전용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컵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보조 플랩이 플랩의 회전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가 제1 위치에 있는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가 제2 위치에 있는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의 저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의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위치의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가 제2 위치에 있는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의 제2 지지대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위치의 제2 지지대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가 제1 위치에 있는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가 제2 위치에 있는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10)는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에 다양한 크기의 컵을 흔들림없이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컵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1)이 마련된 수납 트레이(100), 수납공간(11)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컵을 지지할 수 있는 분리된 공간(12)을 형성하는 제1 지지대(200) 및 수납공간(11)에 진입하여 상기 컵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10)는 제1 지지대(200)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 스위치(400), 차량용 회전식 컵홀더(1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트레이 하우징(500), 제2 지지대(3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대 커버(600) 및 제1 지지대(2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댐퍼(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의 저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의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위치의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컵홀더(10)의 제1 지지대(200)는 원형의 바닥부(210)를 가지고, 제1 플랩(220)이 바닥부(210)의 외주 일부를 따라 절곡되며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200)의 바닥부(210) 하부 중심에는 플랩스프링(211)이 마련되고, 플랩스프링(21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바닥부(210)와 제1 플랩(220)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대(200)의 제1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플랩(220)이 수납 트레이(100)의 개방면(101)을 막는 위치이고, 제1 지지대(200)의 제2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부(210)가 회전하여 제1 플랩(220)이 개방면(101)을 벗어나 수납공간(11)을 일부 분리하는 위치일 수 있다. 플랩스프링(211)은 힌지캡(501)에 의해 바닥부(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되며, 힌지캡(501)은 캡나사(502)에 의해 트레이 하우징(5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플랩스프링(211)은 비틀림 스프링(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제1 지지대(200)가 제2 위치일 때 플랩스프링(211)이 원상태가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210)의 하부에는 플랩스프링(211)의 외각으로 평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고, 바닥부(210)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리브(21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리브(212)는 각 지점의 돌출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리브(212)는 시작지점에서 종료지점까지 돌출높이가 점점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리브(212)에는 제2 지지대(300)의 일단(322)이 탄성 바이어스 되며 항상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지지대(300)는 제1 지지대(200)의 회전에 따라 제2 지지대(300)의 일단(322)과 돌출리브(212)의 접촉점의 높이가 변화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플랩(310)을 분리된 공간(12)으로 출입시킬 수 있다. 제2 지지대(300)의 자세한 동작은 후술한다.
또한, 제1 지지대(200) 하부에는 일례로 기어형태의 댐퍼(700)가 설치되어, 제1 지지대(2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지지대(300)는 트레이 하우징(500) 외부에 마련되며, 제2 지지대 커버(600)가 제2 지지대(300)를 감싸며 설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대(300)는 상기 컵과 분리된 공간(12)과의 틈이 없도록 상기 컵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플랩(310)과 링크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랩(310)은 수납공간(11)에 진입 또는 진출하여 상기 컵을 지지하며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며, 링크부(301)는 제1 지지대(200)의 회전에 따라 제2 플랩(310)을 수납공간(11)에 출입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링크부(301)는 제1 링크(320) 및 제2 링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320)와 제2 링크(330) 각각은, 회전축(321, 331)을 중심으로 일단(322, 332)과 타단(323, 333)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320)는 제2 링크(33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320)와 제2 링크(330) 각각은, 회전축(321, 331)을 중심으로 감겨져 제1 링크(320)와 제2 링크(3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324, 3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가 제2 위치에 있는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컵홀더(10)의 수납 트레이(100) 상단에는 제1 지지대(200)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 스위치(400)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 스위치(400)는 일측면에 마련된 걸림부(401)가 제1 플랩(220)의 외주면에 마련된 고정부(221)와 걸림으로써 플랩스프링(211)으로 인한 제1 지지대(200)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고정 스위치(400)를 눌러 걸림부(401)와 제1 플랩(220)의 고정부(221)의 걸림을 해제하여, 제1 지지대(20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위치로 회전된 제1 지지대(200)는 제1 플랩(220)이 수납공간(11)을 분리시키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컵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분리된 공간(12)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수납공간(11)은 분리된 공간(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컵은 제1 지지대(200)의 위치가 제1 위치인 수납공간(11)에 수납될 때보다 제2 위치일 때 분리된 공간(12)에 수납되는 것이 더 안정적이나 분리된 공간(12)과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기 컵의 크기가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상기 컵과 분리된 공간(12)과의 틈으로 상기 컵이 고정되지 않아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컵이 흔들려 상기 컵의 내용물이 흘러넘칠 수도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의 제2 지지대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위치의 제2 지지대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2 지지대(300)의 구조와 제2 지지대(300)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실시예에서, 제2 지지대(300)의 제1 링크(320)는 일단(322)이 돌출리브(212)에 접촉하고, 타단(323)이 제2 링크(330)의 일단(332)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링크(320)의 타단(323)과 제2 링크(330)의 일단(332)은 각각의 회전 반경 내에 각각이 위치함으로써 제1 링크(320)의 타단(323)이 제2 링크(330)의 일단(332)에서 미끄럼 운동하며 제2 링크(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320)의 타단(323)과 제2 링크(330)의 일단(332) 각각은 미끄럼 운동에서 각각 서로를 이탈하지 않고 구속되도록 미끄럼 운동이 일어나는 면에 돌출부(325, 3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랩(310)은 제2 링크(330)의 타단(333)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링크(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리브(212)는 시작점(212a)으로부터 끝점(212b)까지 상기 돌출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시작점(212a)은 제1 지지대(200)가 제1 위치일 때, 제1 링크(320)의 일단(322)이 돌출리브(212)에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끝점(212b)은 제1 지지대(200)가 제2 위치일 때, 제1 링크(320)의 일단(322)이 돌출리브(212)에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링크(320)와 제2 링크(330)는 각각의 스프링(324, 334)으로 인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링크(320)는 제1 링크(320)의 일단(322)이 돌출리브(212)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며, 제2 링크(330)는 제2 플랩(310)이 수납공간(11)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제1 링크(320)의 스프링(324)과 제2 링크(330)의 스프링(334)은 비틀림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지지대(300)는 제1 지지대(200)의 회전에 따라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프링(324)에 의해 일단(322)이 돌출리브(212)와 항상 접촉하도록 탄성 바이어스되는 제1 링크(320)는, 제1 지지대(2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또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됨에 따라 돌출리브(212)의 돌출높이가 낮아지거나 높아진다. 이에 따라, 제1 링크(320)는 스프링(324)의 탄성력 및 돌출리브(212)의 수직항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1 링크(320)가 회전하면, 제2 링크(330)가 제1 링크(320)에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제2 플랩(310)을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대(2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면, 제1 링크(320)는 제1 링크(320)의 일단(322)과 돌출리브(212)와의 접촉점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링크(3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링크(330)는 스프링(334)의 탄성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플랩(310)이 수납공간(11) 내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제2 플랩(310)은, 도 3에 도시된, 트레이 하우징(500)의 개방구(501)를 통해 수납공간(11)으로 진입하고, 제2 링크(330) 일단(332)의 돌출부(335)는 제1 링크(320)의 가이드 홈(326) 내에서 안내되며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지지대(20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하면, 제1 링크(320)는 제1 링크(320)의 일단(322)과 돌출리브(212)와의 접촉점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링크(3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링크(320)의 타단(323)이 제2 링크(330)의 일단(332)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며 제2 링크(330)의 일단(332)을 밀어올림으로써, 제2 링크(3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2 플랩(310)은 수납공간(1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링크(330)의 일단(332)의 돌출부(335)에 제1 링크(320)의 타단(323)의 돌출부(325)가 걸림으로써 제1 링크(320)의 타단(323)이 제2 링크(330)의 일단(332)에서 이탈하여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10)는 제1 지지대(200)의 돌출리브(212)의 경사진 원호 형상과, 제1 지지대(200)의 회전에 따라 돌출리브(212)를 타고 회전하는 링크부(301)를 이용하여 제1 지지대(200)의 위치에 따라 자연스럽게 제2 플랩(310)이 수납공간(11)을 드나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10)는 소형 컵이라도 컵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납공간(11)에서 흔들림없이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100: 수납 트레이
200: 제1 지지대 210: 바닥부
220: 제1 플랩 300: 제2 지지대
310: 제2 플랩 320: 제1 링크
330: 제2 링크 400: 고정 스위치
500: 트레이 하우징 600: 제2 지지대 커버

Claims (9)

  1. 컵을 수납하고 지지하기 위한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로서,
    상기 컵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 트레이;
    바닥부와 상기 컵을 지지하는 제1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컵을 지지하지 않는 제1 위치와 상기 컵을 지지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회전에 연동되어 운동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진입하여 상기 컵을 지지하는 제2 플랩을 포함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상기 바닥부 하부에는, 원호 형상을 가지되 각 지점의 돌출높이가 서로 상이한 돌출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부가 상기 돌출리브를 타고 운동하면서 상기 제2 플랩을 상기 수납공간에 출입시키는 것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돌출리브를 타고 이동함에 따라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돌출리브의 일단과 접촉하며 상기 제1 지지대가 회전됨에 따라 운동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가 회전됨에 따라 운동하며 상기 제2 플랩을 상기 수납공간에 출입시키는 것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2 플랩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의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에서 미끄럼 운동하여 제2 링크를 회전시키는 것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일단에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는 일단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 내에서 안내되며 이동하는 것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각각이 소정의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각각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의 스프링은 상기 제1 링크의 일단이 상기 돌출리브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링크의 스프링은 상기 제2 플랩이 상기 수납공간에 진입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으로 인한 상기 제1 지지대의 회전의 속도를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KR1020210032483A 2021-03-12 2021-03-12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KR102400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83A KR102400566B1 (ko) 2021-03-12 2021-03-12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83A KR102400566B1 (ko) 2021-03-12 2021-03-12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566B1 true KR102400566B1 (ko) 2022-05-25

Family

ID=8179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483A KR102400566B1 (ko) 2021-03-12 2021-03-12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999B1 (ko) * 2022-09-01 2022-12-23 주식회사 에이투지오토 공간 활용성을 개선한 컵홀더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983B1 (ko) 2001-11-09 2004-05-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컵홀더장치
KR20120050760A (ko) * 2010-11-11 2012-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동식 컵 홀더
KR20200025474A (ko)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컵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983B1 (ko) 2001-11-09 2004-05-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컵홀더장치
KR20120050760A (ko) * 2010-11-11 2012-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동식 컵 홀더
KR20200025474A (ko)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컵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999B1 (ko) * 2022-09-01 2022-12-23 주식회사 에이투지오토 공간 활용성을 개선한 컵홀더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01127A1 (en)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KR101144383B1 (ko) 차량의 컵 홀더
KR102400566B1 (ko)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US5820094A (en) Cup holding device with a guide for guiding cup holders
JP2002144941A (ja) カップホルダ
US20110259906A1 (en) Cup holder
JP3778032B2 (ja) 収容具
JP5234337B2 (ja) カップホルダー
EP3616986B1 (en) Cup holder for car
WO2014133282A1 (ko) 자동차 컵 홀더의 플랩 조립체
JP2002104052A (ja) 小物収納装置
KR101918122B1 (ko) 홀더
JP2000052837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3594470B2 (ja) カップホルダー
JP2001199272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2003175759A (ja) 車両用収納装置
KR20090040175A (ko) 컵 홀더
JP2020082982A (ja) 収容部材
KR20240039805A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756952B1 (ko) 차량용 컵 홀더
JP4033057B2 (ja) 収容具
KR100250918B1 (ko) 차량적재용 소품수납장치
JP7305285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H08230545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