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175A -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175A
KR20090040175A KR1020070105822A KR20070105822A KR20090040175A KR 20090040175 A KR20090040175 A KR 20090040175A KR 1020070105822 A KR1020070105822 A KR 1020070105822A KR 20070105822 A KR20070105822 A KR 20070105822A KR 20090040175 A KR20090040175 A KR 20090040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cup
main body
cup holder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섭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0175A/ko
Publication of KR2009004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컵 홀더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컵을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부; 및 이 본체부 내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본체부에 구비되며, 컵을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지지하는 플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부 내부에 컵이 삽입되면, 제1플랩 및 제2플랩이 이 컵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컵을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력을 제공한다.
또한, 장치 전체의 크기가 종래에 비해 소형화됨으로써, 재료비 및 중량이 절감되며, 패키지 구성시 좀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컵, 홀더, 플랩

Description

컵 홀더{CUP HOLDER}
본 발명은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실 내부에 구비되는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장기 운행 중에는 탑승자가 식수 또는 음료수를 필요로 하며, 이와 같은 식수나 음료수는 캔과 같은 원통형의 용기에 제공된다.
그리고, 차량에는 통상적인 용기를 수납하는 컵홀더가 장착되어, 탑승자는 음료를 마시면서 지속적으로 용기를 파지하는 것이 아니라, 음료를 마시지 않을 경우 용기를 컵홀더에 일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 홀더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컵 홀더(10)는 차실 내부에 장착되고 컵(1)이 수납되는 공간(12)을 갖는 홀더 본체(14)와, 이 홀더 본체(14)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홀더 본체(14)에 삽입되는 컵(1)을 지지해주는 컵 지지대(16)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컵 홀더(10)에 따르면, 고무 재질로 형성된 컵 지 지대(16)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컵을 지지하는 것인데, 고무의 탄성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컵 지지력이 좋지 못하여 사용 중 컵이 기울어지는 등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컵 홀더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다른 예에 따른 컵 홀더(20)는, 차실 내부에 장착되고 컵(1)이 수납되는 공간(22)을 갖는 홀더 본체(24)와, 이 홀더 본체(24)의 내부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홀더 본체(24)에 삽입되는 컵(1)을 지지하는 플랩(flap; 26)을 포함한다.
여기서 플랩(26)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홀더 본체(24)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가, 홀더 본체(24)에 컵(1)이 삽입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컵(1)의 측부를 지지한다.
이때, 컵(1)이 쓰러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하여, 플랩(26)과 컵(1)의 접점은 홀더 본체(24)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a; 도 2 참조)만큼 이격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컵 홀더에 따르면, 플랩과 컵의 접점이 홀더 본체의 바닥면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려면, 플랩이 홀더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장착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장치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컵 지지력이 증대되면서도 장치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는: 컵을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컵을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지지하는 플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랩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에 컵이 삽입되면, 상기 컵 측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플랩; 및 상기 본체부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에 컵이 삽입되면, 상기 본체부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플랩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플랩은, 상기 제1플랩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플랩 및 상기 제2플랩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 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플랩 및 상기 제2플랩은, 하나의 상기 회전축에 함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랩부는, 상기 제1플랩을 상기 몸체부 내부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플랩을 상기 몸체부 내부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제2탄성부재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플랩은, 상기 제1플랩이 상기 몸체부 내부로 돌출되면, 상기 제2플랩을 걸어 상기 몸체부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플랩은, 상기 제1플랩이 상기 몸체부 내부로 돌출되면, 상기 제1플랩에 걸림되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컵 홀더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몸체부 내부에 컵이 삽입되면, 제1플랩 및 제2플랩이 이 컵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컵을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컵이 몸체부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제1플랩과 제2플랩이 복수의 지점에서 컵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므로, 제1플랩이 몸체부의 바닥 면에 밀착될 정도로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체 플랩부의 높이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장치 전체의 크기가 종래에 비해 소형화될 수 있게 됨으로써, 재료비 및 중량이 절감되며, 패키지 구성시 좀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00)는, 본체부(110) 및 플랩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컵(1; 도 4 참조)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컵(1)이 수납되는 공간부(112)가 내부에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공간부(112)가 하나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체부(110)에는 다수의 컵(1)을 수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공간부(112)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측부에는, 회전축(114)이 구비된다. 이 회전축(114)은, 본체부(110)의 바닥면(116)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114)이 본체부(110)의 양측부, 즉 두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축(114)은, 본체부(110)의 측부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회전축(114)은, 본체부(110)의 측부에 셋 이상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때 각각의 회전축(114)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술할 플랩부(120)가 본체부(110)의 양측부 뿐만이 아닌 본체부(110)의 측부에 셋 이상 구비될 수 있게 된다.
플랩부(120)는, 본체부(110) 내부, 즉 공간부(112)로 돌출 가능하도록 본체부(110)에 구비된다. 이 플랩부(120)는, 공간부(112)에 수납된 컵(1)을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플랩(121) 및 제2플랩(125)을 구비한다.
제1플랩(121)은, 본체부(110)의 공간부(112)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제1플랩(121)은, 그 일측이 본체부(110) 측부에 형성된 회전축(1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제1플랩(121)은, 본체부(110)의 바닥면(116)에 대략 수평한 방향으로 공간부(112) 내에 돌출되어 있다가, 공간부(112)에 컵(1)이 삽입되면, 컵(1) 측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된다.
제2플랩(125)은, 제1플랩(121)과 마찬가지로, 그 일측이 본체부(110) 측부에 형성된 회전축(1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2플랩(125)은, 공간부(112)에 컵(1)이 삽입되면, 본체부(110) 내부를 향해 회동하여 본체부(110)의 공간부(112)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2플랩(125)은, 제1플랩(121)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제1플랩(121)과 제2플랩(125)은, 하나의 회전축(114)에 함께 결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플랩(121)과 제2플랩(125)은 각각 별개의 회전축에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플랩(121) 및 제2플랩(125)을 구비하는 플랩부(120)는, 몸체부(110) 내부에 컵(1)이 삽입되면, 제1플랩(121) 및 제2플랩(125)이 이 컵(1)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된 컵(1)을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력을 제공한다.
한편, 제1플랩(121)에는, 걸림편(122)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편(122)은, 제2플랩(125)과 인접한 제1플랩(121)의 측부에 제2플랩(125)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1플랩(121)이 몸체부(110)의 공간부(112) 내부로 돌출되면, 즉, 공간부(112)로부터 컵(1)이 이탈되면, 제2플랩(125)을 걸어 몸체부(110)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제1플랩(121)에 걸림편(122)을 구비하여 제1플랩(121)이 몸체부(110)의 공간부(112) 내부로 돌출될 때, 제2플랩(125)을 몸체부(110)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은, 몸체부(110) 내부에 컵(1)이 수용되지 않을 때,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제2플랩(125)이 공간부(112)로 노출되지 않 게 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걸림편은, 상기한 바와 다르게, 제2플랩(125)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걸림편은 제1플랩(121)과 인접한 제2플랩(125)의 측부에 제1플랩(121)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편의 작동관계는, 상술한 걸림편(122)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플랩(121,125)을 구비하는 플랩부(120)는, 제1탄성부재(미도시) 및 제2탄성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는, 제1플랩(121)을 몸체부 내부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제2탄성부재는, 제2플랩(125)을 몸체부(110) 내부, 즉 공간부(112)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탄성부재로서, 그 일측이 회전축(114)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1플랩(121) 또는 제2플랩(125)에 고정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Helical torsion spring)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이 제1 및 제2탄성부재로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탄성부재는, 제2탄성부재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바,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서로 동등한 탄성력을 갖거나, 제2탄성부재가 제1탄성부재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갖게 되면, 제1플랩(121)이 몸체부(110)의 공간부(112)를 향해 돌출될 때, 제2플랩(125)을 걸어 이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플랩부(12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컵 홀 더(100)에 따르면, 컵(1)이 몸체부(110)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제1플랩(121)과 제2플랩(125)이 복수의 지점에서 컵(1)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므로, 제1플랩(121)이 몸체부(110)의 바닥면(116)에 밀착될 정도로 몸체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플랩(125)의 높이를 감안하더라도, 전체 플랩부(120)의 높이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00)는, 장치 전체의 크기가 종래에 비해 소형화될 수 있게 됨으로써, 재료비 및 중량이 절감되며, 패키지 구성시 좀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컵 홀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00)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랩(121)이 몸체부(110) 내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공간부(112)에 컵(1)이 삽입되면, 제1플랩(121)은 컵(1) 측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플랩(121)에 걸려 몸체부(110) 측부에 밀착되어 있던 제2플랩(125)은, 제1플랩(121)의 걸림편(122)에 의한 걸림력이 해제되면서, 제2탄성부재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몸체부(110) 내부를 향해 돌출된다.
이러한 제1플랩(121) 및 제2플랩(125)은, 각각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몸체부(110) 내부, 즉 컵(1)을 향해 이동하려는 힘을 갖게 되므 로, 컵(1)이 쓰러지거나 몸체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컵(1)을 복수의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컵(1)이 몸체부(110) 내부로부터 꺼내지면, 제1플랩(121)은,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몸체부(110) 내부를 향해 돌출되며, 제2플랩(125)은, 제1플랩(121)의 걸림편(122)에 걸려 제1플랩(121)을 따라 몸체부(110)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다시 몸체부(110) 측부에 밀착됨으로써, 공간부(112) 상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 홀더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자동차가 아닌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 홀더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컵 홀더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컵 홀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컵 홀더 110 : 본체부
112 : 공간부 114 : 바닥부
116 : 회전축 120 : 플랩부
121 : 제1플랩 122 : 걸림편
123 : 제1탄성부재 125 : 제2플랩
126 : 제2탄성부재

Claims (9)

  1. 컵을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컵을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지지하는 플랩부를 포함하는 컵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에 컵이 삽입되면, 상기 컵 측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플랩; 및
    상기 본체부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에 컵이 삽입되면, 상기 본체부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플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랩은, 상기 제1플랩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플랩 및 상기 제2플랩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랩 및 상기 제2플랩은, 하나의 상기 회전축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는, 상기 제1플랩을 상기 몸체부 내부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플랩을 상기 몸체부 내부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제2탄성부재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랩은, 상기 제1플랩이 상기 몸체부 내부로 돌출되면, 상기 제2플랩을 걸어 상기 몸체부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랩은, 상기 제1플랩이 상기 몸체부 내부로 돌출되면, 상기 제1플랩에 걸림되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KR1020070105822A 2007-10-19 2007-10-19 컵 홀더 KR20090040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822A KR20090040175A (ko) 2007-10-19 2007-10-19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822A KR20090040175A (ko) 2007-10-19 2007-10-19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175A true KR20090040175A (ko) 2009-04-23

Family

ID=4076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822A KR20090040175A (ko) 2007-10-19 2007-10-19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01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3282A1 (ko) * 2013-02-26 2014-09-0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컵 홀더의 플랩 조립체
CN111301249A (zh) * 2019-12-31 2020-06-19 武汉嘉华汽车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车用杯托
KR20220110991A (ko) * 2021-02-01 2022-08-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유변 탄성체를 구비한 컵홀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3282A1 (ko) * 2013-02-26 2014-09-0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컵 홀더의 플랩 조립체
CN105209290A (zh) * 2013-02-26 2015-12-30 利富高(韩国)股份有限公司 车辆杯架的翻板组件
US9469231B2 (en) 2013-02-26 2016-10-18 Nifco Korea Inc. Flap assembly of vehicle cup holder
CN111301249A (zh) * 2019-12-31 2020-06-19 武汉嘉华汽车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车用杯托
KR20220110991A (ko) * 2021-02-01 2022-08-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유변 탄성체를 구비한 컵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7120C2 (ru) Держатель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напитков
KR101144383B1 (ko) 차량의 컵 홀더
JP5721657B2 (ja) カップホルダ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KR101028221B1 (ko) 컵 홀더
KR100837086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7159961B2 (ja) 回転式ホルダ装置
JP5453160B2 (ja) カップホルダー
KR20090040175A (ko) 컵 홀더
CN110871729B (zh) 汽车用杯架
WO2014133282A1 (ko) 자동차 컵 홀더의 플랩 조립체
KR20090052044A (ko) 컵 홀더
KR101918122B1 (ko) 홀더
CN107336652B (zh) 弹出式杯托
EP2331893B1 (en) Cooling device with rotatable shelf
KR100777004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974036B1 (ko) 차량용 컵홀더
KR101189350B1 (ko) 차량의 전동식 컵 홀더
KR100643800B1 (ko) 차량용 컵 홀더
KR101637766B1 (ko) 챠량의 컵 홀더
KR102636678B1 (ko) 차량용 다기능 멀티 컵 홀더
KR200412704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643603B1 (ko) 컵홀더 장치
JP5630252B2 (ja) 車両用ホル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