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221B1 -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221B1
KR101028221B1 KR1020090019366A KR20090019366A KR101028221B1 KR 101028221 B1 KR101028221 B1 KR 101028221B1 KR 1020090019366 A KR1020090019366 A KR 1020090019366A KR 20090019366 A KR20090019366 A KR 20090019366A KR 101028221 B1 KR101028221 B1 KR 10102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 holder
protrusion
containe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367A (ko
Inventor
도시아키 소마
츠요시 후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09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과제) 음료용기의 출납의 조작성이 좋고, 음료용기를 안정성 좋게 연직방향으로 세울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한 컵 홀더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컵을 수용하여 유지하는 컵 홀더(1)로서, 바닥부(41)와 상기 바닥부(41)에서 세워진 측벽(42)에 의해서 구획되는 컵 수용부(3)를 구비한 수용체(4)를 가지며, 상기 측벽(42)의 상기 바닥부(41)에 접하지 않는 부분에는 상기 컵 수용부(3)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1개의 가요성을 가지는 돌출부(46)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또, 상기 측벽(42)의 상기 돌출부(46)를 구성하는 부분은 상기 측벽(42)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해서 얇게 형성하였다. 또, 상기 측벽(42)의 외면에 있어서, 상기 측벽(42)의 상기 돌출부(46)를 구성하는 부분에 비해서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다른 부분에서부터 상기 돌출부(46)의 중앙에 이르는 리브(50)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컵 홀더{CUP HOLDER}
본 발명은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가지 형상이나 크기의 음료용기를 안정성 좋게 수용하여 유지할 수 있는 차량 탑재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자동차의 콘솔박스에는 음료용기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컵 홀더가 설치된 것이 있다. 컵 홀더에는 일반적인 형상으로서의 바닥부가 있는 원통형상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이 오목부에 음료용기(컵)를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음료가 여러가지 형상이나 크기의 음료용기에 충전되어 판매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여러가지 형태의 음료용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정성 좋게 유지할 수 있는 컵 홀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닥부가 있는 원통형상의 오목부를 구비한 컵 홀더를 가요성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하되, 오목부의 측벽에 음료용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컵 홀더는 가요성을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 사이에 음료용기를 끼워서 파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여러가지 형태의 음료용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특허 제6,050,46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컵 홀더와 같이 가요성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컵 홀더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성형상의 문제로 인하여 돌출부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게 된다. 예를 들면, 가요성 재료로 일체적으로 물체를 성형할 경우에는 사출성형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사출성형에서는 두께가 얇으면 충전불량이나 기포 발생에 의한 불량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돌출부의 두께가 두껍게 되면, 돌출부의 강성이 증가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음료용기의 출납시에 있어서 음료용기와 돌출부와의 사이의 마찰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조작성 및 사용감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컵 홀더에서는 돌출부가 측벽에서부터 바닥부에 걸쳐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용기가 바닥부에 도달하기 어렵고, 또 음료용기가 바닥부에 도달하였다 하더라도 바닥부가 돌출부의 변형에 의해서 그 형상이 변형되어 평탄성이 상실되기 때문에, 음료용기를 연직방향으로 세우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음료용기의 출납의 조작성 및 사용감이 좋고, 음료용기를 안정성 좋게 연직방향으로 세울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한 컵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컵을 수용하여 유지하는 컵 홀더(1)로서, 바닥부(41)와 상기 바닥부(41)에서 세워진 측벽(42)에 의해서 구획되는 컵 수용부(3)를 구비한 수용체(4)를 가지며, 상기 측벽(42)의 상기 바닥부(41)에 접하지 않는 부분에는 상기 컵 수용부(3)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1개의 가요성을 가지는 돌출부(46)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4)는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부재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측벽(42)의 상기 돌출부(46)를 구성하는 부분은 상기 측벽(42)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해서 얇게 형성되고,
상기 측벽(42)의 외면에 있어서, 상기 측벽(42)의 상기 돌출부(46)를 구성하는 부분에 비해서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다른 부분에서부터 상기 돌출부(46)의 중앙에 이르는 리브(5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컵 홀더는 컵 수용부의 측벽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서 컵 수용부에 수용되는 컵을 파지함으로써 컵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돌출부는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컵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적합하게 변형됨으로써 여러가지 형태의 컵을 수용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 돌출부는 바닥부에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의 변형이 바닥부의 형상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바닥부의 형상이 평탄하게 유지됨으로써 컵을 안정성 좋게 세울 수 있다.
또, 돌출부와 수용체 전체를 일체로 동일한 가요성 부재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돌출부의 변형시에 돌출부의 주위의 측벽도 변형되기 때문에, 돌출부가 더욱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삭제
그리고, 돌출부가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측벽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가요성 또는 유연성이 향상되어 쉽게 변형되게 되며, 따라서 컵에 대한 적합성이 향상된다. 또, 돌출부에 의한 컵의 파지력이 저감하기 때문에, 컵의 출납이 용이하게 되어 사용감 또는 조작성이 향상된다.
삭제
또, 돌출부(46)의 중앙에 이르는 리브(50)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수용체를 사출성형에 의해서 성형할 때에 리브를 통해서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부분{박육부(薄肉部)}에 수지재료가 균일하게 충전되기 때문에, 성형이 용이하게 되어 제조수율이 향상된다.
삭제
또 본 발명은, 상기 리브(50)는 상기 컵 수용부(3)에 대한 컵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리브의 배치에 의해서 돌출부의 변형방향이 규정됨으로써 컵을 수용할 때에 돌출부가 매끄럽게 변형되게 되어 컵을 수용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50)는 상기 돌출부(46)를 종단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수용체를 사출성형에 의해서 성형할 때에 박육부로의 수지재 료의 충전이 보다 촉진되게 됨으로써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또 발명은, 상기 돌출부(46)를 내측으로 압압하는 탄지수단(2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돌출부가 탄지수단에 의해서 항상 컵 측으로 탄지되게 됨으로써 컵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컵의 유지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 컵을 빼낸 상태에서도 돌출부가 컵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다음에 컵을 수용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수용체(4)를 지지하는 골격구조체(2)를 가지며, 상기 수용체(4)는 상기 골격구조체(2)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체를 골격구조체와 별체로 형성함으로써 재료의 선택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그리고, 컵 수용부를 형성하는 수용체를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음료용기의 유지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가지 형태의 컵을 안정성 좋게 세운 기립상태로 수용하여 유지할 수 있는 컵 홀더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컵 홀더는 컵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저항이 비교적 작으므로 사용감 및 조작성이 좋다. 또, 상기 컵 홀더는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컵 홀더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를 차량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수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수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화살표 Ⅵ방향에서 본 수용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화살표 Ⅶ방향에서 본 수용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및 도 8에 있어서의 컵 홀더의 지면상의 상측을 컵 홀더의 상측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1)는 자동차(100)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콘솔박스(101)의 앞부분에 부착된다. 콘솔박스(101)에는 개구부(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컵 홀더(1)는 그 상부의 주연부가 콘솔박스(101)의 개구부(102)에 일치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컵 홀더(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격구조체(2)와, 이 골격구조체(2)에 의해서 지지됨과 아울러 상측에 개구된 컵 수용부(3)를 구성하는 수용체(4)와, 골격구조체(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컵 수용부(3)를 개폐하는 덮개부재(6)를 주요 구조로서 가진다. 컵 홀더(1)는 상기 컵 수용부(3)가 개구되는 측을 상측으로 하여 콘솔박스(101)의 개구부(102)에 일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골격구조체(2) 및 덮개부재(6)는 예를 들면 ABS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ABS/폴리카보네이트아로이 등을 사출성형함에 의해서 형성된다. 수용체(4)는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로서 열가소성의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함에 의해서 형성된다. 수지재료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고, 특히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도 8에 컵 홀더(1)에서 수용체(4)만을 분리해 낸 도면을 나타낸다. 도 4∼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체(4)는 바닥부(41)와 원통형상의 측벽(42)으로 이루어지는 컵 수용부(3)를 2개 가진다. 2개의 컵 수용부(3)의 상단부분의 일부분은 제 1 플랜지부(4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다른 부분은 제 1 플랜지부(43)와 단차를 두고서 형성된 제 2 플랜지부(4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 1 플랜지부(43)와 제 2 플랜지부(44)는 이들 플랜지부(43,44)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벽부(58)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2개의 컵 수용부(3)는 연통로(45)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측벽(42)에는 바닥부(41)와 접하지 않는 위치에 이 측벽(42)이 컵 수용부(3)의 내측으로 돌출된 4개의 돌출부(46)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46)는 측벽(42)의 둘레방향으로 90°씩의 간격을 두고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46)는 선단이 상측을 향한 화살촉 형상을 나타내는 상부(46a)와, 이 상부(46a) 의 화살촉 형상의 하단부의 형상에 일치한 대략 반원형상을 나타내는 하부(46b)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46)의 상부(46a)는 컵 수용부(3)의 내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부(46b)는 컵 수용부(3)의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6)의 상부(46a)의 내면{컵 수용부(3)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있어서, 컵 수용부(3)의 내측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에는 3개의 리브(47)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측벽(42)의 외면(42a){컵 수용부(3)의 내측을 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에는 각각의 돌출부(46) 및 그 주연부를 포함하도록 한 두께가 얇은 박육부(薄肉部)(48)가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48)와 측벽(42)의 다른 부분과의 경계에는 단차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돌출부(46) 및 그 주연부의 두께가 측벽(42)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해서 얇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측벽(42)의 다른 부분이 약 1.7㎜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박육부(48), 즉 돌출부(46) 및 그 주연부는 약 0.7㎜의 두께로 형성된다.
박육부(48)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차부(49a)의 중간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부(46)의 중앙을 통과하는 리브(50)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리브(50)의 컵 수용부(3)의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는, 예를 들면 측벽(42)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서 박육부(48)의 두께를 뺀 두께와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측벽(42)의 다른 부분의 두께가 약 1.7㎜이고 박육부(48)의 두께가 0.7㎜인 경우에는 리브(50)의 두께가 1.O㎜로 형성된다(도 8 참조). 리브(50)는 각 박육부(48)에 형 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50)의 선단이 박육부(48)의 상단부에 형성된 단차부(49b)에 접속될 때까지 리브(50)가 박육부(48)를 종단하도록 길게 형성되어도 된다.
각 바닥부(41)의 외면(41a)의 대략 중앙부에는 걸림구멍(51)을 구비한 걸림편(52)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구멍(51)은 바닥부(41)의 외면(41a)과, 바닥부(41)의 외면(41a)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돌출된 2개의 다리부(53)와, 2개의 다리부(53)의 각 자유단이 결합된 판형상의 손잡이부(54)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53)는 밴드형상 또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신축성을 가진다.
제 2 플랜지부(44)의 측단(44a)에는 제 2 걸림편(55)이 4개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 2 걸림편(55)의 기단부는 선단부에 비해서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큰 폭으로 형성된 기단부에 제 2 걸림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걸림구멍(56)의 선단부에는 손잡이부(57)가 형성되어 있다.
골격구조체(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체(4)의 제 1 플랜지부(43) 및 제 2 플랜지부(44)의 하면{컵 수용부(3)를 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을 따라서 형성된 상부구조(21)와, 상부구조(21)에서 수용체(4)의 측벽(42)의 외면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다리부(22)와, 수용체(4)의 바닥부(41)의 외면(41a)을 따라서 배치되며 다리부(22)의 선단에 고정된 하부구조(23)와, 덮개부재(6)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덮개부재(6)의 일부를 수용하는 상자형상의 덮개수용부(24)를 가지고 있다.
다리부(22)는 수용체(4)의 돌출부(46)의 배면과 상대하는 위치에 개구부(25) 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25)의 상단부(25a)에는 이 개구부(25)의 중앙측으로 또한 수용체(4)측으로 돌출되는 판스프링(26)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판스프링(26)의 선단부(26a)는 리브(50)에 맞닿아서 이 리브(50) 및 돌출부(46)의 배면을 컵 수용부(3)측으로 탄지한다.
하부구조(23)는 수용체(4)의 걸림편(52)과 상대하는 위치에 개구부(27)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27)의 주위에는 하부구조(23)의 하면(23a)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8)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후에 하부구조(23)의 하면(23a)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L형 걸림편(29)이 형성되어 있다. L형 걸림편(29)의 오목부(28)에서의 돌출량은 하부구조(23)의 하면(23a)에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수용체(4)의 걸림편(52)은 상기 개구부(27)를 통과한 후에 약 90도 꺽어 구부림에 의해서 걸림구멍(51)과 L형 걸림편(29)이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 때, 걸림편(52)의 손잡이부(54)는 L형 걸림편(29)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며 오목부(28)의 표면을 따라서 배치되게 된다.
상부구조(21)는 수용체(4)의 제 2 걸림편(55)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30)를 가진다. 돌기(30)는 제 2 걸림편(55)의 걸림구멍에 걸어맞춰져서 수용체(4)의 제 2 플랜지부(44)가 상부구조(21)에서 분리되어 걷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부구조(21)의 측단부에는 콘솔박스(101)의 하면에 맞닿는 플랜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1)에는 콘솔박스(101)의 하면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또는 클립 등이 끼워지는 부착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재(6)는 판형상의 덮개체(61)와, 덮개체(61)의 양 측부에 이 덮개 체(61)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암(62)을 가지며, 암(62)에 형성된 회전축(63)에 의해서 골격구조체(2)의 상부구조(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덮개부재(6)의 덮개체(61)는 컵 홀더(1)의 폐쇄상태에서 컵 수용부(3)를 덮도록 대략 수평방향으로 길게 놓여지고, 이 상태에서 수용체(4)의 제 1 플랜지부(43)에 맞닿아서 이동이 규제될 때까지 회전축(6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덮개체(61)가 제 1 플랜지부(43)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덮개체(61)가 컵 수용부(3)의 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세워진 개방상태가 된다(도 2 참조). 덮개부재(6)는 가요성을 가지는 제 1 플랜지(43)에 맞닿아서 이동이 정지되기 때문에, 정지할 때의 충격음의 발생이 저감된다. 덮개체(61)는 회전축(63)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64)에 의해서 항상 개방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 암(62)에는 푸쉬·푸쉬형 래치(65)가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부재(6)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푸쉬·푸쉬형 래치(65)와 상대하는 덮개수용부(24)의 부위에는 푸쉬·푸쉬형 래치(65)와 걸어맞춰지는 스트라이커(6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골격구조체(2)와 암(62) 중 어느 일측에는 래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래크에 걸어맞춰지는 회전댐퍼가 구비되어, 덮개부재(6)의 개폐 이동이 완충되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1)는 수용체(4)의 컵 수용부(3)에 컵(음료용기)을 수용하여 유지한다. 측벽(42)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의 컵을 컵 수용부(3)에 수용할 경우에는 측벽(42)에 형성된 돌출부(46)가 컵에 맞닿음으로써 컵을 파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돌출부(46)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컵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어 여러가지 형태의 컵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수용체(4)는 골격구조체(2)에 비해서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러지는 일 없이 컵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수용체(4)는 측벽(42) 및 바닥부(41)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컵에서 액체가 넘쳐 흐르더라도 액체가 하측으로 새는 일이 없어 차량의 다른 부재 등을 더럽히거나 녹슬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46)는 박육부(48)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약한 힘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컵을 컵 수용부(3)에 대해서 출납할 때에 컵과 돌출부(46)의 마찰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컵 홀더(1)의 사용감 및 조작성이 향상된다. 박육부(48)가 돌출부(46)를 포함하도록 이 돌출부(46)의 주위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컵의 수용에 의한 돌출부(46)의 변형은 이 돌출부(46)의 주위까지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돌출부(46)는 더욱 용이하게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변형되는 면적이 확대되기 때문에, 일부에 변형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변형에 의한 수용체(4)의 피로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46)는 그 배면측에서 판스프링(26)에 의해서 컵 수용부(3)의 내측으로 압압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량의 압력을 컵에 부여함으로써 컵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컵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돌출부(46)가 판스프링(26)에 의해서 컵 수용부(3)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판스프링(26)은 돌출부(46)에 있어서의 그 두께가 두꺼운 리브(50)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마모에 의한 돌출부(46)의 마모 및 단열(斷裂)이 방지된다.
돌출부(46)의 상부(46a)는 그 선단이 상측을 향한 화살촉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컵을 컵 수용부(3)에 삽입할 때에 가이드로서 기능하며, 컵을 컵 수용부(3)의 중앙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돌출부(46)에 있어서의 컵과 맞닿는 부위에는 리브(4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46)와 컵의 접촉면적이 저감되어 컵을 출납할 때의 마찰저항이 저감된다. 또, 리브(47)가 접촉하기 때문에, 돌출부(46)가 마찰에 의해서 마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돌출부(46)는 측벽(42)의 바닥부(41)에서 떨어진 부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46)의 변형이 바닥부(41)의 형상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으며, 바닥부(41)는 항상 평탄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컵은 수용상태에서 바닥부(41)에 대해서 세워진 기립자세로 유지된다. 바닥부(41)가 수평하게 되도록 컵 홀더(1)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컵은 연직방향으로 세워진 기립자세로 유지된다.
박육부(48)에 리브(50)를 형성함으로써 수용체(4)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수용체(4)를 사출성형에 의해서 성형할 경우에는 박육부(48)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수지의 충전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있지만, 리브(50)에 의해서 수지의 유로가 확보되어 박육부(48)의 중앙까지 균일하게 수지가 충전되게 됨으로써 제조수율이 향상된다. 또한, 리브(50)가 박육부(48)를 종단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박육부(48)에 대한 수지의 충전이 더욱 더 용이하게 되어 불량품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폭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돌출 부(46)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되며, 예를 들면 측벽(42)의 둘레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환형상을 이루도록 하여도 된다. 또, 돌출부(46) 및 리브(50)의 개수는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 외 제어장치의 구성은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를 차량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수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수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화살표 Ⅵ방향에서 본 수용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4의 화살표 Ⅶ방향에서 본 수용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컵 홀더 2 - 골격구조체
3 - 컵 수용부 4 - 수용체
6 - 덮개체 26 - 판스프링(탄지수단)
41 - 바닥부 42 - 측벽
43 - 제 1 플랜지부 44 - 제 2 플렌지부
46 - 돌출부 47 - 리브
48 - 박육부(薄肉部) 49 - 단턱부
50 - 리브

Claims (10)

  1. 컵을 수용하여 유지하는 컵 홀더(1)로서,
    바닥부(41)와 상기 바닥부(41)에서 세워진 측벽(42)에 의해서 구획되는 컵 수용부(3)를 구비한 수용체(4)를 가지며,
    상기 측벽(42)의 상기 바닥부(41)에 접하지 않는 부분에는 상기 컵 수용부(3)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1개의 가요성을 가지는 돌출부(46)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4)는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부재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측벽(42)의 상기 돌출부(46)를 구성하는 부분은 상기 측벽(42)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해서 얇게 형성되고,
    상기 측벽(42)의 외면에 있어서, 상기 측벽(42)의 상기 돌출부(46)를 구성하는 부분에 비해서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다른 부분에서부터 상기 돌출부(46)의 중앙에 이르는 리브(5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50)는 상기 컵 수용부(3)에 대한 컵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50)는 상기 돌출부(46)를 종단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브(50)는 상기 돌출부(46)를 종단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8. 청구항 1, 청구항5,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6)를 내측으로 압압하는 탄지수단(2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9. 청구항 1, 청구항5,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4)를 지지하는 골격구조체(2)를 가지며, 상기 수용체(4)는 상기 골격구조체(2)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4)를 지지하는 골격구조체(2)를 가지며, 상기 수용체(4)는 상기 골격구조체(2)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KR1020090019366A 2008-03-07 2009-03-06 컵 홀더 KR101028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57901 2008-03-07
JP2008057901A JP5139125B2 (ja) 2008-03-07 2008-03-07 カップホル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367A KR20090096367A (ko) 2009-09-10
KR101028221B1 true KR101028221B1 (ko) 2011-04-11

Family

ID=4105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366A KR101028221B1 (ko) 2008-03-07 2009-03-06 컵 홀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60380B2 (ko)
EP (1) EP2253507B1 (ko)
JP (1) JP5139125B2 (ko)
KR (1) KR101028221B1 (ko)
CN (1) CN102317113B (ko)
AT (1) ATE554970T1 (ko)
WO (1) WO2009110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5694B4 (de) * 2009-07-30 2011-12-22 F.S. Fehrer Automotive Gmbh Armlehne mit Trinkgefäßhalter
DE102010042177A1 (de) 2010-10-08 2012-04-12 Robert Bosch Gmbh Halteelement, Drehratenerfassungsmodul
WO2014058544A1 (en) * 2012-08-31 2014-04-1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Illuminated cup holder assembly
US9216693B2 (en) 2012-12-10 2015-12-22 Nyx, Inc. Fatigue-resistant fingers for cup holder
US9694731B2 (en) * 2013-04-30 2017-07-04 Yanfeng Global Automotive Interior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storage compartment
CN104207596B (zh) * 2013-06-04 2018-01-12 标致雪铁龙(中国)汽车贸易有限公司 一种可移动式杯托
US9174799B2 (en) * 2013-08-22 2015-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verage container holder
US9428313B2 (en) 2014-04-18 2016-08-30 Honda Motor Co., Ltd. Adjustable container holder
US9428093B2 (en) * 2014-06-18 2016-08-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up holder assembly having deformable retainer
US9272651B1 (en) * 2014-11-12 2016-03-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assembly with cup holder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9452716B2 (en) 2014-12-11 2016-09-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up holder for tonneau cover
US9834122B2 (en) * 2015-09-08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up holder retainer incorporating an integral preloaded retainer clip
KR101795284B1 (ko) 2016-07-04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
US9889799B1 (en) * 2016-08-12 2018-0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mpartment door key catcher
US9839313B1 (en) * 2016-12-05 2017-12-12 Joseph Aolden Gaudet Inverted container holder with convex-profile funnel
KR102601503B1 (ko) * 2016-12-13 2023-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
US10279722B2 (en) * 2017-08-10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up holder micro-tensioner
JP6851949B2 (ja) * 2017-10-12 2021-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D877045S1 (en) 2018-07-23 2020-03-03 Caterpillar Inc. Cup holder
CN112757899B (zh) * 2021-01-11 2022-09-27 浙江零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u型包覆饰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425A (en) * 1985-11-22 1987-04-07 Ian C. Goldey Universal cup holder
US20070221804A1 (en) * 2006-03-23 2007-09-27 Lear Corporation Vehicle cup holder with improved support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016Y2 (ja) 1988-10-26 1994-10-19 株式会社東洋シート 車両用シートの筒状容器保持装置
US4928873A (en) * 1989-07-31 1990-05-29 Johnson Wayne A Foldable cup holder
US5054733A (en) * 1990-02-14 1991-10-08 Shields Michael P Container support device
JP2594955Y2 (ja) * 1993-03-15 1999-05-24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の小物収納装置
US5404800A (en) * 1994-05-06 1995-04-11 Airlux Electrical Co., Ltd. Convection oven rack
CN2201293Y (zh) * 1994-07-26 1995-06-21 叶亚东 汽车司机饮料杯存放器
JP3053540B2 (ja) * 1995-02-01 2000-06-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DE29606583U1 (de) 1996-04-11 1997-10-09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JP3263808B2 (ja) * 1996-05-28 2002-03-1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小物入れ兼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3283009B2 (ja) * 1998-04-07 2002-05-2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US6050468A (en) 1998-09-04 2000-04-18 Chrysler Corporation Unitarily constructed apparatus for adjustably supporting a beverage container
CA2314657A1 (en) * 2000-07-26 2002-01-26 Paul Joseph Taillefer Beverage container holder adaptor
JP4762447B2 (ja) * 2001-07-13 2011-08-31 株式会社ニフコ 容器ホルダー
JP3953770B2 (ja) * 2001-10-11 2007-08-08 株式会社ニフコ 開閉部材の制動機構、これを備えた容器ホルダー及び自動車用扉
DE20208253U1 (de) * 2002-05-28 2003-10-09 Fischer Automotive Sys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KR100488859B1 (ko) * 2002-07-24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DE102004003349B4 (de) * 2004-01-22 2015-07-23 Lisa Dräxlmaier GmbH Cupholder mit 2-fach-Ausgleich
JP4440714B2 (ja) * 2004-06-17 2010-03-24 株式会社ニフコ 容器保持ユニット及びカップホルダ装置
JP4519565B2 (ja) * 2004-08-05 2010-08-04 株式会社ニフコ 小物入れ
JP4064384B2 (ja) * 2004-08-23 2008-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容器保持構造
KR100600132B1 (ko) * 2004-10-02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지지구조
KR100634650B1 (ko) * 2004-10-28 2006-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 홀더 삽입형 컵 어댑터
FR2899872A1 (fr) * 2006-04-13 2007-10-19 Renault Sas Dispositif de support pour recipients
DE102007050787A1 (de) * 2007-10-24 2009-04-30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S7611115B2 (en) * 2008-03-07 2009-11-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up holde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425A (en) * 1985-11-22 1987-04-07 Ian C. Goldey Universal cup holder
US20070221804A1 (en) * 2006-03-23 2007-09-27 Lear Corporation Vehicle cup holder with improved support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0248A1 (ja) 2009-09-11
ATE554970T1 (de) 2012-05-15
EP2253507A1 (en) 2010-11-24
EP2253507B1 (en) 2012-04-25
KR20090096367A (ko) 2009-09-10
JP2009214595A (ja) 2009-09-24
CN102317113B (zh) 2015-09-02
JP5139125B2 (ja) 2013-02-06
US20110006092A1 (en) 2011-01-13
CN102317113A (zh) 2012-01-11
EP2253507A4 (en) 2011-03-30
US8360380B2 (en)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221B1 (ko) 컵 홀더
JP4895550B2 (ja) 自動車用飲料容器ホルダー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8662580B2 (en) Arm rest with drinking vessel holder
CN107531174B (zh) 容器保持器
KR10060013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20160012154A (ko) 용기
US20120074188A1 (en) Cup holder assembly having a pair of lids and a single release button
KR100468128B1 (ko) 용기 홀더
JP4296054B2 (ja) カップホルダ
JP5234337B2 (ja) カップホルダー
JP5276413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2004010040A (ja) 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部
WO2011155167A1 (ja) カップホルダ
KR100969054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643958B1 (ko) 차량용 컵홀더 가이드 구조
KR100974036B1 (ko) 차량용 컵홀더
JP4222002B2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ー
US20110095060A1 (en) Device for laterally positioning an object in a container
JP5252632B2 (ja) 車両用収納装置
CN115593292A (zh) 杯架
JP6461778B2 (ja) 車両用物品ホルダー
JP4023296B2 (ja) 飲料容器保持具
JP4070132B2 (ja) 車両用ポケット構造
KR950006471Y1 (ko) 자동차용 음료용기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