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503B1 -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503B1
KR102601503B1 KR1020160169194A KR20160169194A KR102601503B1 KR 102601503 B1 KR102601503 B1 KR 102601503B1 KR 1020160169194 A KR1020160169194 A KR 1020160169194A KR 20160169194 A KR20160169194 A KR 20160169194A KR 102601503 B1 KR102601503 B1 KR 102601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guide
elastic body
cup holder
hold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835A (ko
Inventor
공병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503B1/ko
Priority to US15/591,543 priority patent/US10252658B2/en
Priority to CN201710431928.9A priority patent/CN108608916B/zh
Publication of KR2018006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a soft material and a rigid material, e.g. making articles with a seal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32Bowls, Cups, 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2Plastic parts manufactured by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의 축소가 가능하고, 원가 절감이 가능한 컵 홀더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차량용 컵 홀더에 있어서, 컵 홀더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홀더 바디, 홀더 바디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 가이드와 홀더 바디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탄성체는 상기 홀더 바디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Description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Cup hol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의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운전자와 승객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편의기구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각종 물건들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콘솔 박스(console box),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armrest), 캔이나 병, 컵 등의 음료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cup holder)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컵 홀더는 통상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 박스, 콘솔 박스 앞의 트레이 등에 설치되고 있으며, 운전자 및 조수석 승객이 캔이나 병, 컵 등의 각종 음료용기를 수납하여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어 시트의 승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도어 트림이나 암레스트, 프론트 시트의 후면부, 콘솔 박스의 후면부 등의 차량 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고 있다.
컵 홀더는 상부가 개구된 수납홈을 가지면서 수납홈 내측으로 용기가 넣어져 수납되는 홀더 본체와, 홀더 본체에 설치되어 홀더 본체 내측으로 넣어지는 용기를 가이드 하면서 수납된 용기의 측면을 밀착 지지하게 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컵 홀더의 예로서 가이드는 홀더 본체의 수납홈 내측면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 가이드가 홀더 본체의 수납홈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돌출 내지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는 수납홈 안쪽 방향으로 탄성 돌출 내지 회전하여 수납홈 내 용기의 측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가이드의 탄성적인 작동을 위해 가이드와 홀더 본체 또는 홀더 본체에 일체로 설치된 가이드 하우징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토션 스프링이 될 수 있고, 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가이드를 수납 홈 안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 내지 회전시키는 힘이 된다.
또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가이드를 용기 측면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용기에 대한 가이드의 밀착력 및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홀더 본체(또는 가이드 하우징)에는 가이드의 돌기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어, 돌기가 슬롯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가이드의 돌출 내지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컵 홀더는, 홀더 본체, 가이드 하우징, 가이드, 스프링 등과 같이 부품 수가 많고, 그만큼 조립을 위한 공정 수가 많으며, 그로 인해 원가 및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컵 수납 시 가이드가 작동할 때 스프링으로 인한 소음, 및 슬롯과 돌기 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용기 형상에 따른 작동력 불균일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미국특허 5,839,711호에는 고무줄 타입의 가이드 작동 방식이 적용된 컵 홀더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컵 홀더에서는 가이드(jaw)가 고무줄(common spring ring)에 의해 탄성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줄 타입의 경우 부품 수 축소 및 조립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고, 고무줄의 탄성력을 이용하므로 소음의 최소화 및 작동력의 균일화가 가능하나, 가이드와 고무줄을 조립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공정 수 측면에서 여전히 불리함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의 축소가 가능하고, 원가 절감이 가능한 컵 홀더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컵 미끌림 방지 및 고급감을 부여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컵 홀더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용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와 상기 홀더 바디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홀더 바디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홀더 바디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노출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노출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홀더 바디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측면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형성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탄성체 설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홀더 바디와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힌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힌지의 후방에 오버 몰딩되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 설치부는, 상기 홀더 바디의 저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개구와, 상기 홀더 바디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개구와, 상기 홀더 바디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개구에 마련되는 제1탄성체; 상기 제2개구에 마련되는 제2탄성체; 상기 제3개구에 마련되는 제3탄성체; 상기 가이드의 개구에 마련되는 제4탄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개구 및 제2 개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TPO(thermoplastic olefin)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컵 홀더의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를1차 금형내에서 사출하여 홀더 바디를 1차 사출하고, 상기 홀더 바디를 2차 금형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2차 금형 내부에 탄성 소재를 주입하여, 상기 홀더 바디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체가 일체로 마련되는 컵 홀더를 2차 사출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홀더 바디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노출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1차 사출 과정에서 상기 홀더 바디는, 그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힌지가 마련되는 가이드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노출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홀더 바디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측면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형성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탄성체 설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힌지의 후방에 오버 몰딩되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 설치부는, 상기 홀더 바디의 저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개구와, 상기 홀더 바디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개구와, 상기 홀더 바디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개구 및 제2 개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의 축소가 가능하고, 원가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컵 미끌림을 방지하고, 고급감을 부여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A-A' 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체가 마련된 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B-B' 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가이드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C-C' 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D-D' 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체가 마련된 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E-E'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체가 마련된 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성형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설명에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A-A' 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체가 마련된 컵 홀더의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1 의 B-B' 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가이드 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1 의 C-C' 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단면도이고, 도 6 은 도 1 의 D-D' 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체가 마련된 컵 홀더의 단면도이며, 도 7 은 도 1 의 E-E'부분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체가 마련된 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컵 홀더(1)는 그 내부에 수용공간(10)이 형성되는 홀더 바디(20)와, 홀더 바디(20)의 내측 수용공간(10)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려되는 가이드(25), 그리고 홀더 바디(20)와 가이드(25)에 마련되는 탄성체(30)를 포함한다.
홀더 바디(20)는 상면이 개구(10a)된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바디(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0)이 형성된다. 홀더 바디(20)의 수용공간(10)을 통해 컵(미도시)이 넣어져 수납될 수 있다. 홀더 바디(20)의 개구(10a) 외측으로는 상면(22)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바디(20)의 상면(22)은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바디(20)의 상면(22)은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홀더 바디(20)의 저면(21)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바디(20)의 저면(21)은 상측의 개구(10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면(21)에는 후술하게 되는 탄성체(30)가 마련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탄성체 설치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홀더 바디(20)는 한 개의 수용공간(10)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납공간은 적어도 두 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25)는 홀더 바디(20)의 수용공간(10) 내측으로 돌출 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25)는 수용공간(10)의 내측 중심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수용공간(10)에 수납되는 컵의 측면에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탄성체(30)는 가이드(25)의 탄력적인 돌출 작동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탄성체(30)는 홀더 바디(20)와 가이드(25)의 적어도 일부에 노출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탄성체(30)는 홀더 바디(20)와 가이드(25)의 적어도 일부에 노출되도록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가이드(25)는 홀더 바디(20)의 수용공간(10)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이드(25)는 수용공간(10)의 90 도 간격으로 4 개가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5)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가이드(25)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일 때는 홀더 바디(20)의 수용공간(10)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홀더 바디(20)의 수용공간(10)으로 컵이 삽입되어 가이드(25)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가이드(25)는 홀더 바디(20)의 수용공간(10)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25)의 상단부는 홀더 바디(20)와 힌지(26)로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25)는 힌지(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이드(25)의 상단 힌지(26)와 홀더 바디(20) 사이의 힌지(26)는 가이드(25)의 회전 중심이 되어 가이드(25)가 수용공간(10)의 내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25)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5)는 홀더 바디(2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측면부(25b)와, 한 쌍의 가이드 측면부(25b) 사이를 연결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형성하는 전면부(25a)와, 전면부(25a)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탄성체 설치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5)의 전면부(25a)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정해진 부분에서 홀더 바디(2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25b)는 전면부(25a)의 양측에서 홀더 바디(20)의 내측면과 수직하도록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5)는 홀더 바디(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5)는 홀더 바디(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5)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바디(2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또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가이드(25)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또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전면부(25a)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탄성체 설치부(40)는 탄성체(30)가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30)는 홀더 바디(2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체(30)는 가이드(25)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체(3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30)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TPO(thermoplastic olefin)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로 성형될 수 있다.
탄성체(30)는 탄성체(30)의 사출 성형 후 초기 복원력(탄성력)의 향상을 위해서 성형 후 수축률이 설정 수준 이상, 일 예로 1.5% 이상이 되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30)의 초기 복원력 향상을 위해 탄성체(30)의 성형 후 수축률(%)이 탄성체(30)의 영구 인장 변형률(%, 100% 인장+80도+500h 후 길이 변화율) 동등 이상이 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30)의 탄성계수는 탄성체(30)의 재질 탄성계수(경도와 연계됨), 두께, 폭, 성형 면적 및 형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탄성체(30)의 색상과 엠보(embossment)를 가이드(25) 및 홀더 바디(20)와 다르게 하여 이원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탄성체(30)가 컵 홀더(1)의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장식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탄성체(30)는 재질의 색상 및 엠보 형상을 통해 컵 홀더(1)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장식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탄성체(30)를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탄성체 설치부(40)는 홀더 바디(20)의 저면(21)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개구(41)와, 홀더 바디(20)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개구(42)와, 홀더 바디(20)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개구(43)와, 가이드(25)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4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 설치부(40)에는 탄성체(30)가 일체로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탄성체(30)는 홀더 바디(20) 저면(21)에 형성된 제1개구(41)에 마련되는 제1탄성체(31)와, 홀더 바디(20)의 측면 중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개구(42)에 마련되는 제2탄성체(32)와, 홀더 바디(20)의 측면 중심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개구(43)에 마련되는 제3탄성체(33)와, 가이드(25)의 저면부() 개구(44)에 마련되는 제4탄성체(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구(41)는 홀더 바디(20)의 저면(21)에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개구(41)는 홀더 바디(20)의 저면(21)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개구는 두 개의 동심원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 바디(20)의 저면(21)에 형성되는 제1탄성체(31)는 컵 홀더(1)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장식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탄성체(31)와 제2탄성체(32), 제3탄성체(33) 그리고 제4탄성체(34)는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30)는 홀더 바디(20) 저면(21)에 마련되는 제1탄성체(31)와 제1탄성체(31)와 연결되어 홀더 바디(20)의 측면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2탄성체(32), 제2탄성체(32)와 연결되어 홀더 바디(20)의 측면 중심에 수평으로 마련되는 제3탄성체(33), 그리고 제3탄성체(33)와 연결되어 가이드(25)의 전면부(25a)에 마련되는 제4탄성체(34)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25)의 전면부(25a)에 형성되는 개구(44)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5)의 개구(44)에 마련되는 제4탄성체(34)는 대략 스트립(strip)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5)에 마련되는 제4탄성체(34)는 가이드(25) 상단의 힌지(26) 후방을 오버 몰딩하도록 마련되는 제5탄성체(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탄성체(35)는 제4탄성체(34)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5탄성체(35)는 가이드(25) 힌지(26)의 후면을 오버 몰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즉 탄성체(30)는 가이드(25)의 힌지(26), 홀더 바디(20)의 상면(22)에 걸쳐 중첩된 구조가 되므로, 힌지(26)의 내구성이 확보 될 수 있다. 제5탄성체(35)는 컵 홀더(1)의 상면(22) 후방에 마련되어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탄성체(31)와 제2탄성체(32), 제3탄성체(33), 그리고 제4탄성체(34)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색상과 엠보(embossment)를 다양하게 하여 이원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가이드(25)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6)에 의해 홀더 바디(20)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이드(25)의 일측은 힌지(26)에 의해 홀더 바디(20)에 연결되고 타측은 홀더 바디(20)의 측면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제3탄성체(3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25)는 원 형상의 홀더 바디(20)에 4 개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25)는 홀더 바디(20)의 제3탄성체(33)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25) 주변의탄성체(30)의 초기 자유 길이(L0)는 동일하고, 이를 위해 각각의 가이드(25)에는 탄성체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체 고정부는 다양한 형상과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탄성체(30)가 수용공간(10)으로 삽입되는 컵에 의해 신장 후 복원할 때 흔들리고나, 처진 상태로 복원되어도 기본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제3탄성체(33)가 마련되는 제3개구(43)의 각도(θ)는 15도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바디(20)와 가이드(25)의 탄성체 설치부(40)에 마련되는 탄성체(30)에 의해 컵 홀더(1)의 수용공간(10)에 컵 등의 용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잇다.
도 8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성형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8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1)의 제조방법은 제1금형(100)을 통하여 가이드(25)가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 바디(20)가 사출되는 1차 사출과, 1차 사출이 완료된 후 홀더 바디(20)를 제2금형(200)에 인서트 하고, 홀더 바디(20)에 탄성체(30)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2차 사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금형(100)의 상부 금형(101)과 하부 금형(102) 사이에는 캐비티(101a)가 형성되고, 캐비티(101a)에 연결되어 사출 소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02a)가 하부 금형(102)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입구(102a)는 하부 금형(102)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입구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금형(100)에 형성되는 캐비티(101a)는 가이드(25)가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 바디(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캐비티(101a)에는 탄성체(30)를 일체로 사출하기 위한 탄성체 설치부(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01a)에는 탄성체 설치부(40)의 제1개구(41) 내지 제4개구(44), 그리고 가이드(25)의 힌지(26)에 대응되는 형상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잇다.
하부 금형(102)의 주입구()를 통해 캐비티로 용융 수지를 주입하고, 1차 사출품, 즉 가이드(25)가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 바디(20)를 사출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금형(100)을 통해 1차 사출이 완료 되면, 1차 사출품인 가이드(25)가 일체로 마련되는 홀더 바디(20)를 제2금형(200)의 캐비티(201a)에 위치시킨다.
제2금형(200)의 상금형(201)과 하금형(202) 사이에는 캐비티(201a)가 마련된다. 캐비티(201a)는 1차 사출품인 홀더 바디(20)가 인서트된다.
제2금형(200)의 하금형(202)에는 캐비티(201a)와 연결되어 탄성소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202a,202b)가 형성된다. 주입구(202a,202b)는 홀더 바디(20)의 저면(21)에 형성된 제1개구(4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주입구(202a)와, 홀더 바디(20)의 측면에 형성된 제3개구(43)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주입구(20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입구(202a,202b)는 하금형(202)에 두 개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입구는 상금형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금형(200)은 상금형(201)과 하금형(202)으로 마련되어 탄성체(30)가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 바디(20)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제1금형(100)과 제2금형(200)은 언더컷 형상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금형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금형(201)과 하금형(202) 사이의 캐비티(201a)에 하금형(202)의 제1주입구(202a)와 제2주입구(202b)를 통해 캐비티로 탄성소재의 용융 수지를 주입하고, 2차 사출품, 탄성체(30)가 일체로 마련되는 컵 홀더(1)를 사출한다.
이때, 탄성체(30)는 컵 홀더(1)의 홀더 바디(20)와 가이드(25)의 적어도 일부에 노출되도록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컵 홀더 10 : 수용공간
10a : 개구 20 : 홀더 바디
21 : 저면 22 : 상면
25 : 가이드 25a : 전면부
25b : 측면부 26 : 힌지
30 : 탄성체 40 : 탄성체 설치부

Claims (18)

  1. 차량용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와 상기 홀더 바디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설치를 위한 탄성체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홀더 바디와 상기 가이드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탄성체 설치부는,
    상기 가이드와 통하도록 상기 홀더 바디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컵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홀더 바디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컵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컵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홀더 바디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측면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형성하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 설치부는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홀더 바디와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힌지의 후방에 오버 몰딩되어 마련되는 컵 홀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설치부는,
    상기 홀더 바디의 저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개구와,
    상기 홀더 바디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개구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개구에 마련되는 제1탄성체;
    상기 제2개구에 마련되는 제2탄성체;
    상기 홀더 바디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제3탄성체;
    상기 가이드 전면부의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제4탄성체를 포함하는 컵 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 및 제2개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되는 컵 홀더.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TPO(thermoplastic olefin)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컵 홀더.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컵 홀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를 1차 금형 내에서 사출하여 홀더 바디를 1차 사출하고,
    상기 홀더 바디를 2차 금형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2차 금형 내부에 탄성 소재를 주입하여, 상기 홀더 바디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체가 일체로 마련되는 컵 홀더를 2차 사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컵 홀더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출 과정에서 상기 홀더 바디는, 그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힌지가 마련되는 가이드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컵 홀더의 제조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169194A 2016-12-13 2016-12-13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1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94A KR102601503B1 (ko) 2016-12-13 2016-12-13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
US15/591,543 US10252658B2 (en) 2016-12-13 2017-05-10 Cup hol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710431928.9A CN108608916B (zh) 2016-12-13 2017-06-09 杯托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94A KR102601503B1 (ko) 2016-12-13 2016-12-13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835A KR20180067835A (ko) 2018-06-21
KR102601503B1 true KR102601503B1 (ko) 2023-11-13

Family

ID=6248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194A KR102601503B1 (ko) 2016-12-13 2016-12-13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52658B2 (ko)
KR (1) KR102601503B1 (ko)
CN (1) CN1086089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857B1 (ko) * 2018-07-13 2020-06-04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컵 홀더 제조방법
CN111505328A (zh) * 2020-04-21 2020-08-07 遵义医学院附属医院 用于医学检验的液体处理传递装置及其方法
US11071401B1 (en) * 2021-01-18 2021-07-27 David Krueger Rolling drink coasters
DE102021101472A1 (de) 2021-01-25 2022-07-28 Lisa Dräxlmaier GmbH Innenausstattungstei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nnenausstattungsteils
US11820271B1 (en) 2023-02-01 2023-11-21 Subaru Corporation Cup hol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6283A1 (en) 2005-02-18 2006-08-2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ize adjustable cup holder in a motor vehicle
US20150053834A1 (en) * 2013-08-22 2015-0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verage Container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5101B2 (ja) * 2004-06-11 2009-06-1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収納物保持装置
KR100600132B1 (ko) * 2004-10-02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지지구조
DE102007050787A1 (de) * 2007-10-24 2009-04-30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JP5139125B2 (ja) * 2008-03-07 2013-02-06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
DE102009017235A1 (de) * 2009-04-09 2010-10-14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DE102010028805A1 (de) * 2009-09-18 2011-03-24 Ford-Werke Gmbh Einteilige Kunststoff-Klemmeinrichtung für einen Halter für Getränkebehälter
DE102011100833A1 (de) * 2011-05-07 2012-11-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Getränkehalter für ein Fahrzeug
JP5721657B2 (ja) * 2012-03-30 2015-05-20 豊田合成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JP6146344B2 (ja) * 2014-03-04 2017-06-14 豊田合成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KR101574440B1 (ko) * 2014-10-29 2015-12-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JP2016130050A (ja) * 2015-01-13 2016-07-21 オージーケー技研株式会社 飲料容器ホルダー
US9796317B2 (en) * 2015-06-04 2017-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up holder retention feature
CN205059364U (zh) * 2015-09-09 2016-03-02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杯托及使用其的汽车
CN205149615U (zh) * 2015-10-30 2016-04-13 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带夹持机构及面板的杯托
CN205573708U (zh) * 2016-04-12 2016-09-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内水杯的保护结构
KR101795284B1 (ko) * 2016-07-04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6283A1 (en) 2005-02-18 2006-08-2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ize adjustable cup holder in a motor vehicle
US20150053834A1 (en) * 2013-08-22 2015-0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verage Container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52658B2 (en) 2019-04-09
CN108608916B (zh) 2022-01-25
KR20180067835A (ko) 2018-06-21
US20180162258A1 (en) 2018-06-14
CN108608916A (zh)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503B1 (ko) 컵 홀더 및 그 제조 방법
CN107571455B (zh) 杯子保持架及其制造方法
KR100861154B1 (ko) 차량 부품 및 차량 부품 형성 방법
US10189382B2 (en) Vehicle seat assembly
US9845055B2 (en)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US8915531B2 (en) Vehicle console assembly
US20100133866A1 (en)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having a smooth surface
US10052980B2 (en) Vehicle seat assembly
US10946802B2 (en) Sliding center console
EP2479068B1 (en) Pull pocket for vehicle door and vehicle door provided with the same
US10814802B2 (en) Vehicular door
US7572401B2 (en) Insert molded bolster in two-shot door panel
CN204136879U (zh) 一种汽车及其中控箱扶手
CN205615383U (zh) 汽车副仪表板卷帘杯托
US20190162008A1 (en) Vehicular door
US20070077374A1 (en) Two-shot decorative trim panel
KR102166325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CN101574945A (zh) 汽车内室的内饰件
KR102177003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2145962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101958475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CN109094511A (zh) 具有二级噪音消除缓冲件的座椅安全带锁止板总成
JP6395590B2 (ja) 自動車のインパネ装置
US11040664B2 (en) Support member for vehicle center console lid
KR102236884B1 (ko) 진동 억제형 암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