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130B1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130B1
KR100600130B1 KR1020040066609A KR20040066609A KR100600130B1 KR 100600130 B1 KR100600130 B1 KR 100600130B1 KR 1020040066609 A KR1020040066609 A KR 1020040066609A KR 20040066609 A KR20040066609 A KR 20040066609A KR 100600130 B1 KR100600130 B1 KR 100600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ase
beverage container
cup holde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297A (ko
Inventor
한승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130B1/ko
Priority to DE102005038683A priority patent/DE102005038683A1/de
Priority to CNA2005100933014A priority patent/CN1740000A/zh
Priority to US11/210,622 priority patent/US20060043249A1/en
Publication of KR2006001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및 음료용기 등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수납시킬 수 있고, 특히 수납된 상태의 음료용기를 걸림없이 부드럽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플로워 콘솔에 구성되는 컵홀더에 있어서,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수납구 및 이 수납구의 사방 위치에 장착구가 형성된 홀더 플레이트와; 전면이 개방부로 형성되고, 양측면 상하 위치에 반달형의 제1슬롯 및 대각선의 제2슬롯이 각각 관통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장착구에 고정 장착되는 중공형의 케이스와; 일면이 개방되고, 양쪽 외측면의 상하 위치에 상기 제1슬롯에 삽입되는 제1핀과 상기 제2슬롯에 삽입되는 제2핀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후면에 일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 내후면에 타단이 지지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한다.
컵홀더, 음료용기 분리, 케이스, 지지부재, 리턴스프링, 홀더 플레이트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Cup holder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지지부재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지부재와 스프링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4b는 도 3의 케이스에 지지부재 및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홀더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6b는 도 5의 홀더 플레이트에 지지부재가 결합된 케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컵홀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료용기 12 : 지지부재
14 : 제1핀 16 : 제2핀
18 : 지지면 20 : 리턴스프링
22 : 고정축 24 : 고정단
26 : 케이스 28 : 지지홈
30 : 제1슬롯 32 : 제2슬롯
34 : 홀더 플레이트 36 : 장착구
38 : 끼움단 42 : 수납구
44 : 슬라이드홈 46 : 플로워 콘솔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탄지력을 이용하여 컵 및 음료용기 등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수납시킬 수 있고, 특히 수납된 상태의 음료용기를 어떠한 간섭 내지 걸림없이 부드럽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컵홀더는 오디오, 에어컨 조절판 등이 설치되는 센터 페시아 패널에 수납 또는 인출되는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거나, 기어 변속레버와 콘솔박스 사이의 플로워 콘솔 트레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있다.
대개, 상기 컵홀더의 수납구는 일정한 크기로 구성되지만, 최근에는 어떠한 직경의 음료용기라도 모두 수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채택되고 있고, 또한 차량의 진동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음료용기의 외경면을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있는 구조로 적용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일본특개2004-82887(2004.03.18)에 공개된 바와 같고, 그 구성을 도 9를 참조로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료용기(10)가 삽입 안착되는 홀더본체(100)와,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해주는 지지부재(102)와, 이 지지부재(10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평축선이 되는 지지축(104)에 끼워져 일끝단은 지지부재(102)의 후면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홀더본체(10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106)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102)는 안쪽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형상으로서, 그 중간부분은 실질적으로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부(108)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용기(10)를 컵홀더에 삽입시키게 되면, 음료용기(10)의 둘레면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102)는 스프링(106)을 압축시키면서 뒤로 밀리게 되고, 이어서 음료용기(10)가 홀더본체(100)내에 안착되는 동시에 지지부재(102)는 스프링(106)의 탄성 복원력을 받으면서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02)의 하단부가 각운동을 하며 뒤로 밀리거나, 또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힌지점은 상기 스프링(106)이 끼워진 지지축(104)이며, 이 지지축(104)을 중심으로 지지부재(102)의 하단부는 도 9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부재(102)의 힌지 회전점이 되는 지지축(104)보다 음료용기를 실질적으로 지지해주는 상기 지지부재(102)의 가이드부(108)가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항상 지지부재(102)는 지지축(104)을 중심으로 도 9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상향(바깥쪽 방향을 향하여)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 및 작동 관계를 갖는 일본특개2004-82887의 컵홀더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음료용기(10)가 홀더본체(108)에 안착되어 지지부재(102)가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밀착 지지해주는 상태에서 음료용기(10)를 컵홀더로부터 빼내는 순간, 오히려 음료용기(10)의 하단 둘레면이 지지부재(102)의 가이드부(108)의 저부에 걸리게 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지지부재 및 스프링 등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10)가 분리되면서 음료용기의 하단 둘레면이 지지부재(102)의 최고 돌출점인 가이드부(108)에 걸리게 되어, 음료용기의 원할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결국 지지부재 및 스프링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음료용기의 중간 부분이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예를들어, 콜라병, 캔 하단부에 절곡부을 갖는 맥주캔)인 경우에는 음료용기의 오목한 부위 또는 절곡부로 지지부재(102)의 가이드부(108)가 밀착 위치하게 되는 바, 음료용기의 분리시 음료용기의 오목한 부위 또는 절곡부에 지지부재(102)의 가이드부(108)가 더욱 잘 걸리게 되어, 마찬가지로 지지부재 및 스프링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음료용기가 지지부재에 걸리게 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의 후면 상단부가 상기 스프링이 끼워진 수평 지지축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 지지축을 힌지점으로 하여, 도 9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각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일본특개2004-82887에 공개된 컵홀더는 음료용기의 안정적인 수납은 가능하지만, 음료용기의 분리 동작은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음료용기의 분리시 지지부재 및 스프링이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특개2002-144941(2002.05.22)와, 일본실개평6-78066(1994.11.01)에도 음료용기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해주는 컵홀더가 공개되어 있는 바, 마찬가지로 음료용기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의 회전점이 위쪽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용기의 원할한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음료용기의 안정적인 수납 및 원할한 분리가 모두 가능한 컵홀더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스프링의 탄지력을 이용하여 컵 및 음료용기 등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수납시킬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하되, 음료용기의 수납시 지지부재가 가이드 수단을 따라 뒤로 밀리게 되는 동시에 음료용기의 둘레면을 탄성력을 받으면서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고, 음료용기의 분리시에는 지지부재의 상단부가 뒤로 각회전을 하여 음료용기가 지지부재에 걸리지 않고 원할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플로워 콘솔에 구성되는 컵홀더에 있어서,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수납구 및 이 수납구의 사방 위치에 장착구가 형성된 홀더 플레이트와; 전면이 개방부로 형성되고, 양측면 상하 위치에 반달형의 제1슬롯 및 대각선의 제2슬롯이 각각 관통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장착구에 고정 장착되는 중공형의 케이스와; 일면이 개방되고, 양쪽 외측면의 상하 위치에 상기 제1슬롯에 삽입되는 제1핀과 상기 제2슬롯에 삽입되는 제2핀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후면에 일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 내후면에 타단이 지지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모서리부에는 끼움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장착구의 측벽에는 상기 끼움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벽면에는 상기 리턴스프링 이 끼워지는 고정축이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스프링의 일끝단이 고정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후면에는 직각의 고정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단 내후면에는 오목한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각운동을 위한 힌지 회전점을 위쪽에 두어, 음료용기의 안정적인 수납은 물론 분리가 매우 원할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지지부재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지지부재와 스프링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플로워 콘솔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료용기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부재(12)는 후면이 개방된 반원형의 중공형 성형물로서, 그 양쪽 외측면의 상하 위치에 제1핀(14)과 제2핀(16)이 돌출되며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부재(12)의 전(前)면은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지지해줄 수 있는 부분으로서, 반원 또는 타원형태로 볼록한 지지면(18)으로 형성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의 내측벽면에는 리턴스프링(20)이 삽입되는 고정축(22)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후면에는 리턴스프링(20)의 일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단(24)이 일체로 형성된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턴스프링(20)의 일끝단은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12)의 고정단(24)에 고정되고, 이 리턴스프링(20)의 타단은 후술하는 케이스(26)의 지지홈(28)에 용이하게 밀착 지지되도록 구부러진 상태가 된다.
이렇게 리턴스프링(20)이 결합된 지지부재(12)를 케이스(26)에 장착시키게 되는 바, 첨부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6)는 전(前)면이 개방부로 형성되고, 양측면 상하 위치에 반달형의 제1슬롯(30) 및 대각선의 제2슬롯(32)이 각각 관통 형성된 중공의 성형 구조물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의 상단부가 뒤로 회전되는 작동을 통하여 음료용기(10)의 분리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롯(30)은 반드시 반달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제2슬롯(32)은 케이스(26)의 후면에서 전면 개방부쪽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대각선 형태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26)의 전면 모서리에는 후술하는 홀더 플레이트(34)의 장착구(36)에 케이스(26)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끼움단(38)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6)의 상단 내후면에는 상기 리턴스프링(20)의 타단이 밀 착 지지되는 오목한 지지홈(28)이 형성된다.
첨부한 도 4a,4b는 상기 케이스에 지지부재 및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케이스(26)의 전면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리턴스프링(20)이 결합된 지지부재(12)를 삽입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2)의 후단부를 상기 케이스(26)의 개방부를 통하여 삽입하는 동시에 지지부재(12)의 제1핀(14)이 반달형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스(26)의 제1슬롯(30)에 삽입 체결되고, 지지부재(12)의 제2핀(16)이 대각선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스(26)의 제2슬롯(32)에 삽입 체결된다.
이때, 상기 리턴스프링(20)의 타단(구부러진 부분)은 상기 케이스(26)의 지지홈(28)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태가 되고, 일끝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의 고정단(24)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결국 리턴 스프링(20)은 "V" 자 형태로 놓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6) 및 이 케이스(26)에 결합된 지지부재(12)를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더 플레이트(34)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 홀더 플레이트(34)는 음료용기(10)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구(42)를 갖는 성형 구조물로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플로워 콘솔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홀더 플레이트(34)의 수납구의 사방 위치에는 상기 케이스(26) 장착용 장착구(36)가 형성되고, 이 장착구(36)의 양쪽 모서리 부분에는 슬라이드홈(44)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가 결합된 케이스(26)의 끼움단(38)을 상기 슬라이드홈(44)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줌으로써, 홀더 플레이트(34)에 대한 케이스(26)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홀더 플레이트(34)를 플로워 콘솔(46)의 저부로부터 장착시키게 되면, 첨부한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만이 홀더 플레이트(34)의 수납구(42)의 사방 위치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6)는 홀더 플레이트(34)의 장착구(36)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단지 상기 지지부재(12)의 전(前)면 즉, 음료용기(10)를 지지해줄 수 있는 반원 또는 타원 형태의 볼록한 지지면(18)만이 상기 리턴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컵홀더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음료용기(10)의 수납 전 상태는 상기 지지부재(12)의 제1핀(14)과 제2핀(16)이 리턴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6)의 제1슬롯(30) 및 제2슬롯(32)의 가장 위쪽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러한 음료용기의 수납 전 상태에서, 음료용기(10)를 홀더 플레이트(34)의 수납구(42)를 통하여 삽입시키게 되면, 음료용기(10)의 저부가 상기 지지부재(12)의 상단면을 눌러주게 되는 동시에 지지부재(12)는 뒤로 밀리게 되고, 음료용기(10)가 수납구(42)에 안착되는 순간 지지부재(12)의 지지면(18)은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리턴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 지지해주게 된다.
즉, 상기 음료용기(10)의 저부가 상기 지지부재(12)의 상단면을 눌러주게 되면, 지지부재(12)는 리턴스프링(20)을 압축시키게 되고, 동시에 지지부재(12)의 제1핀(14)과 제2핀(16)은 각각 케이스(26)의 제1슬롯(30)과 제2슬롯(32)을 따라 하향 이동을 하게 되어, 결국 지지부재(12)가 뒤로 밀리게 되는 것이고, 지지부재(12)의 지지면(18)이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리턴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 지지해주게 되는 것이다(도 8(a) 참조).
여기서, 음료용기의 분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음료용기가 수납된 상태(도 8(b) 참조)에서, 음료용기(10)를 빼내는 동작시 즉, 분리하는 순간, 음료용기(10)의 저부가 상기 지지부재(12)의 저면을 쳐올리게 된다.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12)의 상단부는 대각선의 제2슬롯(32)에 삽입된 제2핀(16)을 중심으로, 도 8(c)에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각운동으로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슬롯(32)은 직선형 슬롯이므로 제2핀(16)은 고정된 상태가 되어 지지부재(12)의 각운동을 위한 회전점이 되고, 이 회전점을 중심으로 지지부재(12)의 상단부가 리턴스프링(20)을 압축시키면서 후방으로 각운동을 하 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2)의 상단부가 후방을 향하여 각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유는 상기 지지부재(12)의 제1핀(14)은 상기 반달형의 제1슬롯(32)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 지지부재(12)의 상단부가 후방을 향하여 각운동을 할 때, 상기 제1핀(14)의 궤적은 직선이 아니라 곡선을 그리게 되는 바, 이에 상기 제1핀(14)의 곡선 궤적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슬롯(32)이 반달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결국, 음료용기 분리 동작시, 음료용기(10)의 저부가 지지부재(12)의 저부를 쳐올리더라도 지지부재(12)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각회전을 하게 되어, 음료용기의 원할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음료용기(특히, 밑단이 넓고 중간 부분이 오목하게 만곡된 콜라병과 같은 음료용기)의 분리시, 음료용기의 저부가 지지부재의 저부를 타격하며 쳐올리게 되더라도, 지지부재의 상단부가 그 타격을 흡수하면서 후방으로 각회전을 하게 되어, 음료용기의 원할하면서 부드러운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의하면, 음료용기의 수납시 지지부재가 뒤로 밀리게 되는 동시에 음료용기의 둘레면을 탄성력으로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고, 음료용기의 분리시에는 음료용기의 저부가 지지부재의 저부를 쳐올리는 순간, 지지부재의 상단부가 뒤로 각회전을 하게 되어, 음료용기의 저부가 지지부재에 걸리지 않고 원할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음료용기의 분리 동작시, 음료용기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의 간섭없이 원할하고 부드러운 분리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구 및 이 수납구의 사방 위치에 장착구가 형성된 홀더 플레이트가 자동차용 플로워 콘솔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컵홀더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부로 형성되고, 양측면 상하 위치에 반달형의 제1슬롯 및 대각선의 제2슬롯이 각각 관통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장착구에 고정 장착되는 중공형의 케이스와;
    일면이 개방되고, 양쪽 외측면의 상하 위치에 상기 제1슬롯에 삽입되는 제1핀과 상기 제2슬롯에 삽입되는 제2핀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후면에 일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 내후면에 타단이 지지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모서리부에는 끼움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장착구의 측벽에는 상기 끼움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벽면에는 상기 리턴스프링이 끼워지는 고정축이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용 컵홀더.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리턴스프링의 일끝단이 고정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후면에는 직각의 고정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단 내후면에는 오목한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1020040066609A 2004-08-24 2004-08-24 자동차용 컵홀더 KR100600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609A KR100600130B1 (ko) 2004-08-24 2004-08-24 자동차용 컵홀더
DE102005038683A DE102005038683A1 (de) 2004-08-24 2005-08-16 Tassenhalter für Fahrzeuge
CNA2005100933014A CN1740000A (zh) 2004-08-24 2005-08-23 车用水杯座
US11/210,622 US20060043249A1 (en) 2004-08-24 2005-08-24 Cup holder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609A KR100600130B1 (ko) 2004-08-24 2004-08-24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297A KR20060018297A (ko) 2006-03-02
KR100600130B1 true KR100600130B1 (ko) 2006-07-13

Family

ID=3609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609A KR100600130B1 (ko) 2004-08-24 2004-08-24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43249A1 (ko)
KR (1) KR100600130B1 (ko)
CN (1) CN1740000A (ko)
DE (1) DE102005038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0714B2 (ja) * 2004-06-17 2010-03-24 株式会社ニフコ 容器保持ユニット及び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600132B1 (ko) * 2004-10-02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지지구조
AU2006206159A1 (en) * 2005-01-24 2006-07-2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for modeling cell signaling systems by means of bayesian networks
KR100643800B1 (ko) * 2005-09-29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 홀더
KR100668882B1 (ko) * 2005-09-30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 홀더
US7566040B2 (en) * 2006-02-03 2009-07-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enter console having hidden storage
US20070278372A1 (en) * 2006-06-02 2007-12-06 Toyoda Gosei Co., Ltd. Cup holder
KR100747356B1 (ko) * 2006-07-28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KR100837086B1 (ko) * 2007-01-02 2008-06-1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컵홀더
JP5154849B2 (ja) 2007-07-02 2013-02-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ドリンク容器保持機構
DE102007050787A1 (de) * 2007-10-24 2009-04-30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DE102007061042B4 (de) * 2007-12-18 2018-12-13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JP4538854B2 (ja) * 2008-03-26 2010-09-08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ポンプ装置
DE102008052894B4 (de) * 2008-10-23 2011-05-19 F.S. Fehrer Automotive Gmbh Trinkgefäßhalter
JP5295840B2 (ja) * 2009-04-01 2013-09-18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ー用の径許容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カップホルダー
DE102009030576B4 (de) * 2009-06-26 2019-07-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Einrichtung zum seitlichen Positionieren eines Gegenstandes in einem Behältnis
DE102009033878B4 (de) * 2009-07-17 2016-06-09 Audi Ag Haltevorrichtung zum lösbaren Halten von Gegenständen in einem Aufnahmebehälter
DE102009043770A1 (de) * 2009-09-30 2011-04-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Aufbewahrungsvorrichtung für Gegenstände in einem Kraftfahrzeug
CN102837630A (zh) * 2011-06-24 2012-12-26 上海利富高塑料制品有限公司 杯架
DE102012108844B4 (de) * 2012-09-20 2022-08-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EP2962896B1 (en) * 2013-02-26 2019-04-17 Nifco Korea Inc. Flap assembly of vehicle cup holder
KR101534964B1 (ko) * 2013-12-18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CN103723066A (zh) * 2013-12-19 2014-04-16 苏州市润元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新型车用杯架结构
JP2016078585A (ja) * 2014-10-15 2016-05-16 豊田合成株式会社 容器ホルダ
CN104908617B (zh) * 2015-04-20 2017-06-16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儿童座椅罩盖
CN104890557A (zh) * 2015-07-06 2015-09-09 上海长安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带夹持机构的汽车杯托
DE102018214456A1 (de) * 2018-08-27 2020-02-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blagefach für einen Innenraum eines Fahrzeugs
CN111282756B (zh) * 2020-03-04 2021-07-20 深圳市友晖电子科技有限公司 彩妆喷枪用颜料瓶及该颜料瓶用摇匀底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097A (ko) *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컵 홀더
JP2004182229A (ja) 2002-12-04 2004-07-02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JP2004196293A (ja) 2002-12-18 2004-07-15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8486A (en) * 1995-05-30 1997-05-13 Summit Polymers Conceal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DE29606583U1 (de) * 1996-04-11 1997-10-09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DE20108250U1 (de) * 2001-05-16 2002-09-19 Fischer Artur Werke Gmbh Getränkehalter für eine taillierte Flasche
DE10161122C2 (de) * 2001-12-12 2003-10-23 Preh Elektro Feinmechanik Halterung für Hohlgefäße, insbesondere von Getränkebehältern
JP4011359B2 (ja) * 2002-02-15 2007-11-21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装置
JP4278099B2 (ja) * 2004-08-04 2009-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668882B1 (ko) * 2005-09-30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097A (ko) *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컵 홀더
JP2004182229A (ja) 2002-12-04 2004-07-02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JP2004196293A (ja) 2002-12-18 2004-07-15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38683A1 (de) 2006-03-09
US20060043249A1 (en) 2006-03-02
CN1740000A (zh) 2006-03-01
KR20060018297A (ko)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13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US6655563B2 (en) Cup holding device for vehicle
EP1627770B1 (en) Cup holder for vehicle
EP2253507B1 (en) Cup holder
US20060076468A1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20100090079A1 (en) Cupholder for an automobile
US5820094A (en) Cup holding device with a guide for guiding cup holders
KR100500780B1 (ko) 컵 홀더 장치
KR100969054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747356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777004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3744493B2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ー
JP3625740B2 (ja) 車両用収納体
JP2020199947A (ja) カップホルダ
JP4222002B2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ー
KR10033090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2819095B2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
KR100197231B1 (ko) 콘솔박스의 컵 홀더
KR20100045742A (ko) 차량용 컵홀더
JP2003072447A (ja) カップホルダ
JP4108594B2 (ja) ドリンクホルダー
JP3711809B2 (ja) 容器保持体
JPH1159278A (ja) 自動車用コインホルダ付き収納体
KR100427214B1 (ko) 차량의 센터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