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900B1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900B1
KR100330900B1 KR1019990056895A KR19990056895A KR100330900B1 KR 100330900 B1 KR100330900 B1 KR 100330900B1 KR 1019990056895 A KR1019990056895 A KR 1019990056895A KR 19990056895 A KR19990056895 A KR 19990056895A KR 100330900 B1 KR100330900 B1 KR 10033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cup
ca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645A (ko
Inventor
이강우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90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6Vehicle attached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 or bottle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에 형성된 가이드들(2,7)에서 전후이동되어지는 전방지지대(4)와 후방지지대(9)의 상부에 각각 주받침대(5)와 보조받침대(1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지지대(4)와 후방지지대(9)는 제1로드(16)에 의해 연동되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주받침대(5)와 보조받침대(10)의 사이에 컵을 안정적으로 놓아 둘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a cup holder for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을 안착시키기 편리하고, 안착된 컵을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해줄 수 있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센터콘솔의 하부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컵홀더가 설치되어,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가 컵이나 음료수캔등을 마시던 중에 놓아둘 수 있도록 되어 편의를 돕고 있다.
종래 자동차의 컵홀더는 대개 센터콘솔의 하부 설치부로부터 컵홀더를 외부로 인출하여 컵받침홀에 컵이나 음료수캔등을 삽입함으로써 이들이 위치고정되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컵이 놓여지는 상기 컵받침홀의 지름은 일정한 크기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컵받침홀과 컵사이의 유격이 존재하므로 주행중 차량진동이 심하면 컵이 흔들리게 되고, 그 결과 컵홀더로부터 컵이 떨어지거나 컵 내부의 음료가 외부로 튀어나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컵이나 음료수캔의 지름에 상관없이 모든 크기의 음료용기를 유격없이 안전하게 잡아줄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컵홀더의 상부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플레이트, 2 : 전방가이드,
3 : 이동판, 4 : 전방지지대,
5 : 주받침대, 6 : 커버,
7 : 후방가이드, 8 : 캠박스,
9 : 후방지지대, 10 : 보조받침대,
11 : 캠박스커버, 12 : 스프링,
13 : 캠, 14,15 : 핀,
16 : 제1로드, 17 : 핀,
18 : 제2로드, 19,20,21 : 핀,
22 : 제3로드, 23 : 록브라켓,
24 : 접시머리보울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방과 후방에 가이드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판과 캠박스에 각각 전방지지대와 후방지지대가 장착되며, 전방지지대의 상단에는 주받침대가 후방지지대의 상단에는 보조받침대가 구비되고, 이중 주받침대는 커버의 상부에 위치되고 보조받침대는 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나 상부의 커버 화살형공이 형성되어 이 화살형공을 통해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지지대에 제1로드가 연결되고 이 제1로드는 상기 캠박스내의 캠과 연결되며, 이 캠은 캠박스에 형성된 호형구멍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 2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전방지지대에 제 2로드가 연결되고, 이 제2로드의 끝부분에 힌지고정된 제3로드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된 록브라켓에 걸려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주받침대에 컵을 놓고 전방으로 밀면 보조받침대가 화살형공을 통해 상승후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컵을 주받침대쪽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매우 안정적으로 컵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직사각의 판재인 베이스플레이트(1)의 전방에 후방으로 개구되어 내부에서 판재가 전후이동될 수 있도록 된 전방가이드(2)가 형성되고, 이 전방가이드(2)의 내부에 이동판(3)이 구비되며, 이 이동판(3)에는 상방으로 전방지지대(4)가 형성되고, 이 전방지지대(4)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커버(6)의 앞쪽에 형성된 장공(6a)을 통하여 커버(6)위쪽으로 인출되며 그 단부에 수평으로 반원판의 둘레에 수직의 벽이 형성된 형상의 주받침대(5)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후방에 상기 전방가이드(2)와 마주보는 형상의 후방가이드(7)가 형성되고, 이 후방가이드(7)서는 사각의 박스인 캠박스(8)가 전후이동되어지며, 이 캠박스(8)의 내부에 하단이 위치되어지는 후방지지대(9)의 상단에는 상기 주받침대(6)의 호형벽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호형벽면과 이 호형벽면의 하부내측에 형성된 호형의 밑판으로 이루어진 보조받침대(10)가 형성되고, 이 보조받침대(10)의 상부에는 보조받침대(10)가 상방으로 인출되고 이후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커버(6)에 화살형공(6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대(4)의 한쪽측면에 핀(17)을 매개로 제1로드(16)의 한쪽단부가 힌지고정되고, 이 제1로드(16)의 타단에는 장공(16a)이 형성되어 이 장공(16a)을 통해 핀(15)이 삽입되며, 이 핀(15)은 상기 캠박스(8)의 측면에 형성된 호형공(8a)으로 삽입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박스(8)의 내부에 핀(14)을 매개로 하부가 힌지고정된 캠(13)의 상부에 고정되고, 이 캠(13)은 캠박스(8)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후방지지대(9)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게 되며, 이 후방지지대(9)의 하단부와 캠박스(8)의 윗벽면사이에는 스프링(12)이 구비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캠박스(8)의 한쪽측면은 캠박스커버(11)로 닫혀지는데, 이 캠박스(8)와 캠박스커버(1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홈(8b)과 이 홈(8b)에 삽입되는 돌기를 갖춘 고정편(11a)이 형성되어 이들이 결합됨으로써캠박스커버(11)가 캠박스(8)의 측면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지지대(4)의 다른 한쪽 측면에는 핀(19)을 매개로 제2로드(18)의 단부가 힌지고정되며, 이 제2로드(18)의 타단에는 제3로드(22)가 핀(20)을 매개로 힌지고정되고, 이 제3로드(22)는 베이스플레이트(1)상의 후방가이드(7) 뒤쪽위치에 하방으로부터 진입되는 접시머리보울트(24)에 의해 고정된 록브라켓(23)의 측벽에 핀(21)을 매개로 힌지고정되며, 상기 록브라켓(2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이어진 다수의 요홈(23a)이 형성되며, 이 중 어느하나의 요홈(23a)에 상기 제3로드(22)의 단부가 걸려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컵을 놓아두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주받침대(5)에 컵의 하측전방부를 밀착시킨후 컵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주받침대(5)를 동시에 앞으로 밀면 전방지지대(4)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로드(16)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1로드(16)의 뒤쪽 단부 장공(16a)부분이 캠(13)에 고정되어 있는 핀(15)를 잡아당기게 되므로 이 핀(15)이 호형공(8a)을 따라 상방으로 회동되어져 상기 캠(13)이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지지대(9)를 상승시켜 보조받침대(10)가 화살형공(6b)의 호형부분으로 인출되어지고, 이후 주받침대(5)를 계속 앞쪽으로 밀면 캠박스(8)자체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이에 설치된 후방지지대(9) 상부의 보조받침대(10)도 더욱 전방으로 이동되어 컵의 후면하부를 밀면서 밀착되므로 컵이 주받침대(5)와 보조받침대(10)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안정적으로 받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로드(22)는 제2로드(18)의 당김에 의해 핀(21)을 중심으로 하단이 뒤쪽으로 선회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이 힘에 의해 제3로드(22)의 하단은 상기 록브라켓(23)의 요홈(23a)에 걸려져 컵받침상태에서 두 지지대(4,9)가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반대로 컵을 뺄때는 컵을 잡은채로 보조받침대(10)를 뒤로 당기면 우선 제3로드(22)의 요홈(23a)걸림상태가 해제되고, 더욱 뒤쪽으로 당겨 보조받침대(10)가 화살형공의 호형부분상부에 이르면 압축되어 있던 캠박스(8)내 스프링(12)에 의해 후방지지대(9)가 하강하면서 보조받침대(10)는 커버(6)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이때 상기 캠(13)도 후방으로 회전되고 제1로드(16)도 뒤로 당겨지며, 이에 의해 주받침대(5)도 후퇴되어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받침대와 보조받침대의 사이에 컵이 꼭 끼이는 상태로 매우 안정되게 보관되므로 주행중의 진동에 의해 컵이 컵홀더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더불어 컵이 흔들리지 않게 되어 내용물이 튀어나오지 않게 되며, 컵홀더의 모든 동작을 컵을 손에 쥔 상태에서 한손으로 행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방가이드(2)와 후방가이드(7)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와, 이 베이스플레이트(1)에 씌워지고 장공(6a)과 화살형공(6b)이 형성된 커버(6)와, 상기 전방가이드(2)의 내측에서 전후이동되는 이동판(3)과, 이 이동판(3)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6)의 장공(6a)을 통해 인출된 전방지지대(4)와, 이 전방지지대(4)의 상단에 형성된 주컵받침대(5)와, 상기 후방가이드(7)에서 전후이동되며 내측에 캠(13)이 힌지고정된 캠박스(8)와, 이 캠박스(8)의 내부에 하단이 위치되어 이 하단은 상기 캠(13)에 의해 지지되며 캠박스(8)의 윗벽에 대해 스프링(12)으로 탄지되는 후방지지대(9)와, 이 후방지지대(9)의 상단에 형성된 보조컵받침대(10)와, 한쪽단부는 상기 전방지지대(4)에 힌지고정되고 다른 한쪽단부에는 장공(16a)이 형성되어 이 장공(16a)을 통해 삽입된 핀(15)이 캠박스(8) 측벽에 형성된 호형공(8a)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캠(13)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로드(16)와, 이 제1로드(16)의 반대쪽 위치에서 한쪽단부는 전방지지대(4)에 힌지고정되고 다른 한쪽단부에는 제3로드(22)가 힌지고정되어 있는 제2로드(18)와, 측벽에 상기 제3로드(22)가 힌지고정되고 이 제3로드(22)의 단부 접촉부분에 수개의 요홈(23a)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가이드(7)의 뒤쪽에 인접하여 베이스플레이트(1)상에 고정되는 록브라켓(23)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컵홀더.
KR1019990056895A 1999-12-11 1999-12-11 자동차용 컵홀더 KR10033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95A KR100330900B1 (ko) 1999-12-11 1999-12-11 자동차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95A KR100330900B1 (ko) 1999-12-11 1999-12-11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645A KR20010055645A (ko) 2001-07-04
KR100330900B1 true KR100330900B1 (ko) 2002-04-03

Family

ID=1962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895A KR100330900B1 (ko) 1999-12-11 1999-12-11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7587B (zh) * 2018-07-31 2022-01-1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中控箱安装支架
CN112623048B (zh) * 2020-12-29 2022-09-16 华晨鑫源重庆汽车有限公司 一种兼顾杯托的手刹检修盖板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645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9962A (en) Cup holder
KR100569342B1 (ko) 자동차용 컵홀더 지지구조
US7354086B2 (en) Cup holder structure for vehicles
US5524958A (en) Automotive cup holder
US5839710A (en) Concealable variable size vehicle container holder with flexible band
KR10060013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US5533772A (en) Ashtray and container holder for motor vehicles
JP3802421B2 (ja)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US20020033656A1 (en) Withdrawal mechanism and cup-holder unit using the same
KR10033090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432006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0140658Y1 (ko) 크기가 다양한 컵을 수용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JP3625740B2 (ja) 車両用収納体
JPH068769A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0133546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콘솔박스
KR0178925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
KR100521684B1 (ko)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KR20020040169A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0129058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293546B1 (ko) 컵홀더
KR100472648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200318675Y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H07186808A (ja)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KR100428386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0137683Y1 (ko) 차량용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