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122B1 - 홀더 - Google Patents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122B1
KR101918122B1 KR1020170005846A KR20170005846A KR101918122B1 KR 101918122 B1 KR101918122 B1 KR 101918122B1 KR 1020170005846 A KR1020170005846 A KR 1020170005846A KR 20170005846 A KR20170005846 A KR 20170005846A KR 101918122 B1 KR101918122 B1 KR 101918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unting portion
mounting
cup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508A (ko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김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일 filed Critical 김동일
Priority to KR1020170005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1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본체;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 및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홀더{HOL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실내에는 필수적인 장치 외에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및 시설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편의시설 중 차량 내부에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물병이나 컵을 비치할 수 있는 컵 홀더가 마련된다. 이렇게,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는 컵 홀더는 운행중 차체의 흔들림에 의해 컵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컵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해야 한다.
하지만, 차량 내부에 휴대 컵을 거치시킬 수 있는 제한되기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9168호(2012.07.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므로 간편하게 휴대와 보관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본체;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 및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1 거치부; 및 상기 제1 거치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거치부에 대해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는 결합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본체;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마련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므로 간편하게 휴대와 보관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다양한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홀더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부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거치부가 제1 거치부에 대해 회전하여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수단이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수단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수납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차량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홀더(100)는 본체(200), 본체(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300),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본체(200)와 거치부(30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410) 및 본체(2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내부에 컵을 보관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컵은 보관홈(210)으로 삽입되어 보관하게 된다. 상기 컵이 보관홈(210)에 삽입된 경우, 컵을 용이하게 빼내기 위해 컵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00)는 입구와 바닥부분의 지름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컵이 보관홈(210) 내에서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고,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물품이 보관홈(210)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200)는 컵만을 수납하는 것이 아니며, 그 이외에 음료캔 또는 물병 등을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체(200)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인 스마트 폰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0)의 내부 바닥면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컵이 본체(200)에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컵을 보호하고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부재는 본체(200) 내에서 컵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탄성부재는 컵을 본체(20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컵을 본체(20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컵이 본체(200) 내에 수납되는 경우, 탄성부재는 컵에 의해 수축되고, 수축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컵은 본체(200)의 측면으로 가압되게 된다. 따라서, 컵은 본체(20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컵을 가압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입구와 바닥부분의 지름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의 지름은 입구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는, 후술한 수납부(500)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본체(200)는 바닥과 입구가 개방된 부분과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220)는 본체(2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220)는 후술한 수납부(50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51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200)와 수납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에서 거치부(300)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에서 거치부(300)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거치부(300)는 결합부(410)에 의해 본체(100)와 결합되는 제1 거치부(310), 제1 개방홀(312) 및 제1 거치부(3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거치부(310)에 대해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는 제2 거치부(320), 제2 개방홀(322)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300)에는 컵이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거치부(300)의 직경은 컵이 빠지지 않도록 컵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는, 거치부(300)에 컵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료캔이나 음료수 병 등이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치부(300)는 본체(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일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부(41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410)는 본체(200)와 거치부(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410)는 거치부(300)를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300)는 본체(200)의 일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은 거치부(300)가 본체(200)에서 반시계방향(R1R)으로 회전된 경우이다. 거치부(300)가 회전됨으로써, 본체(200)에 대해 일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회전제한부(150)는 거치부(300)가 본체(200)로부터 회전되는 경우 그 회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본체(2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제한부(150)는 거치부(300)의 추가적인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제한부(150)는 본체(2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300)는 결합부(410)에 의해 본체(100)와 결합되는 제1 거치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부(310)는 컵의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제1 개방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컵은 제1 거치부(310)에 형성된 제1 개방홀(312)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방홀(312)의 크기는 다양한 컵의 크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개방홀(312)의 직경은 컵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거치부(320)가 제1 거치부(310)에 대해 회전하여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거치부(320)는 제1 거치부(3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제2 거치부(320)가 제1 거치부(3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제2 거치부 결합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거치부 결합부(420)는 제2 거치부(320)를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거치부(320)는 제1 거치부(310)에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치부(320)는 제1 거치부(310)의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본체(200)에서 거치부(300)가 회전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거치부(320)는 제 1 거치부(3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도 회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거치부(320)는 컵의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개방홀(322)을 포함할 수 있다. 컵은 제2 거치부(320)에 형성된 제2 개방홀(322)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개방홀(322)의 크기는 다양한 컵의 크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 개방홀(322)의 직경은 컵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거치부(320)는 본체(200)와 결합부(41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는 결합부홈(32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홈(324)는 제2 거치부(320)가 제1 거치부(310)에서 회전되기 전에, 제2 거치부(320)가 제1 거치부(310) 상측에 위치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거치부(320)가 제1 거치부(310)로부터 회전되어 그 회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회전제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제한부는 제1 거치부(31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300)는 본체(200)에 대해 제1 힌지축(A1)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힌지축(A1)이 회전되는 방향은 반시계방향(R1R)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거치부(300)가 반시계방향(R1R)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으나,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거치부(300)는 시계방향(R2R)으로도 회전될 수 있다. 즉, 본체(200)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거치수단(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200)와 거치수단(330)을 결합시키는 거치수단 결합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에서 거치수단(330)이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에서 거치수단(330)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거치수단(330)은 본체(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거치수단 결합부(430)는 본체(200)와 거치수단(3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거치수단 결합부(430)는 거치수단(330)을 거치수단 힌지축(A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수단(330)은 본체(200)의 타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은 거치수단(330)이 본체(200)에서 시계방향(R2R)으로 회전된 경우이다. 거치수단(330)이 회전됨으로써, 본체(200)에 대해 타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회전제한부(150)는 거치수단(330)이 본체(200)로부터 회전되어 그 회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본체(2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제한부(150)는 거치부(300)의 추가적인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제한부(150)는 본체(2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거치수단(330)은 컵의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거치수단 개방홀(332)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수단(330)에는 컵이 거치수단 개방홀(332)로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거치수단 개방홀(332)의 직경은 컵이 빠지지 않도록 컵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는, 거치수단(330)에 컵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료캔이나 음료수 병 등이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거치수단(330)은 본체(200)와 결합부(41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는 결합부홈(3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와 수납부(500)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100)는 본체(200)와 수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와 수납부(500)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납부(500)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물품은 수납부(500) 내부로 삽입되어 보관하게 된다. 상기 물품은 수납부(500) 내에서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고,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물품이 수납부(500)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부(500)는 컵만을 수납하는 것이 아니며, 그 이외에 음료캔 또는 물병등을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체(200)는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인, 스마트 폰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수납부(500)의 내부 바닥면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컵이 수납부(500)에 수납될 때 추격으로부터 물품을 보호하고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부재는 수납부(500) 내에서 컵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탄성부재는 컵이 수납부(50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컵이 수납부(50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컵이 수납부(500) 내에 수납되는 경우, 탄성부재는 컵에 의해 수축되고, 수축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컵은 수납부(500)의 측면으로 가압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컵은 수납부(50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컵을 가압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500)는 본체(2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삽입홈(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삽입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수납부(500)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삽입돌기(220)는 삽입홈(510)에 삽입되어 결합하게 된다. 삽입돌기(220)는 삽입홈(510)에 삽입되어 본체(200)와 수납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삽입홈(51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삽입돌기(220)도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삽입홉(510)은 삽입돌기(22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돌기(200)는 삽입홈(510)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본체(200)와 수납부(50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는 본체(200)와 수납부(500)의 결합이 용이하므로 다양한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홀더(100)는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므로 간편하게 휴대와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홀더(100)는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므로, 본체(200)와 수납부(500)를 분리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수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가 차량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홀더(10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내부 구조물(50)은 센터페시아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내부 구조물(50)로는 예를 들어,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홀더(100)가 차량 내부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홀더(100)는 다양한 곳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a)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홀더(100)와 유사한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홀더(100a)의 수납부(500a)는 본체(200a)의 바닥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부(500a)는 본체(200a)의 바닥면에서 단차를 형성하며,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500a)의 바닥면의 지름 내지 단면적은 본체(200a)의 바닥면의 지름 내지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을(단면적은 좁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200a) 및 수납부(500a)의 단면이 원형일 경우, 수납부(500a)의 바닥면의 지름이 본체(200a)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는, 홀더(100a)가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배치될 때, 홀더(100a)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즉, 본체(200a)와 수납부(500a)의 경계 부분(죽,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이 센터페시아의 턱에 걸림으로써, 홀더(100a)의 위치를 센터페시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100a)는 이탈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수납부(500a)는 홀더(100a)의 파지 편의성을 위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홀더
150 : 회전제한부
200 : 본체
210 : 보관홈
220 : 삽입돌기
300 : 거치부
310 : 제1 거치부
312 : 제1 개방홀
320 : 제2 거치부
322 : 제2 개방홀
324 : 결합부홈
330 : 거치수단
332 : 거치수단 개방홀
334 : 거치수단 결합부홈
410 : 결합부
420 : 제2 거치부 결합부
430 : 거치수단 결합부
500 : 수납부
510 : 삽입홈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제1 거치부 및 상기 제1 거치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하는 거치부; 및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홀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는 결합부홈을 포함하는,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홀을 포함하는,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홀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홀더.
  7. 본체;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제1 거치부 및 상기 제1 거치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하는 거치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마련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홀더.
KR1020170005846A 2017-01-13 2017-01-13 홀더 KR101918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46A KR101918122B1 (ko) 2017-01-13 2017-01-13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46A KR101918122B1 (ko) 2017-01-13 2017-01-13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08A KR20180083508A (ko) 2018-07-23
KR101918122B1 true KR101918122B1 (ko) 2019-02-08

Family

ID=6310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846A KR101918122B1 (ko) 2017-01-13 2017-01-13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1855B1 (fr) * 2020-06-29 2022-10-21 Faurecia Interieur Ind Ensemble de rangement pour véhicule
KR102627367B1 (ko) * 2021-12-10 2024-01-19 주식회사 블랙홀릭 차량용 컵홀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095B1 (ko) * 2014-04-08 2015-07-06 서정옥 차량용 멀티 컵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168B1 (ko) 2010-10-19 2012-07-3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095B1 (ko) * 2014-04-08 2015-07-06 서정옥 차량용 멀티 컵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08A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258B1 (ko) 자동차 콘솔 박스의 컵 홀더
US20090174208A1 (en) Motor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Having A Container Assembly With A Flush Door
JP2005022645A (ja)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KR101918122B1 (ko) 홀더
JP2003522672A (ja) 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装置
US9809141B2 (en) Storage compartment comprising a foldable holder element
KR102334565B1 (ko) 지지력이 향상된 자동차용 멀티 컵홀더
KR20170112430A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JP2003175759A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H10291436A (ja) 車両用可倒式アームレスト
JP5846947B2 (ja) 底上げ装置
JP4338262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KR101481683B1 (ko) 수납장치
KR102335393B1 (ko) 차량용 가변식 히든 컵홀더
KR20090040175A (ko) 컵 홀더
JP3625740B2 (ja) 車両用収納体
JP5121436B2 (ja) 車両用物品保持装置
JP4222002B2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ー
JP3788267B2 (ja) 小物入れ付き飲料容器ホルダ構造
KR20120016887A (ko) 스토리지 박스
JP2003291734A (ja) 車両用容器保持装置
JP3339179B2 (ja) カップホルダー兼用小物入れ
KR102375206B1 (ko) 지지력 및 결합력이 향상된 자동차용 멀티 컵홀더
JP2013112174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