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367B1 - 차량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367B1
KR102627367B1 KR1020210176972A KR20210176972A KR102627367B1 KR 102627367 B1 KR102627367 B1 KR 102627367B1 KR 1020210176972 A KR1020210176972 A KR 1020210176972A KR 20210176972 A KR20210176972 A KR 20210176972A KR 102627367 B1 KR102627367 B1 KR 102627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ray
sub
cup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8106A (ko
Inventor
장세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랙홀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랙홀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랙홀릭
Priority to KR102021017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3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7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different elements of fixed geo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 실내에 마련된 컵수납부에 결합되어 컵의 수납공간을 확장시키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시하며, 상기 컵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컵수납부와 함께 하나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메인홀더; 상기 메인홀더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컵수납부의 바깥쪽에 배치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서브홀더; 및 상기 메인홀더와 상기 서브홀더를 연결하면서 상기 서브홀더를 소정의 각도로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메인홀더 및 상기 서브홀더에 고정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과 직교 상태를 이루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연결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CUP HOLDER FOR VEHICL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에 마련된 컵수납부에 결합되어 컵의 수납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음료수가 담긴 음료용기나, 동전 등의 작은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의 컵수납부를 갖는 컵홀더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컵홀더는 컵 또는 캔 등의 음료 용기를 수용하기 용이하도록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일부 운전자의 경우, 휴대폰, PDA 등의 휴대단말기를 비스듬하게 삽입하여 보관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음료의 테이크아웃을 통해 차량 내부에 음료를 수납할 수 있는 컵수납부의 수가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특히, 조수석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음료용기도 함께 수납하여야 하므로 다양한 음료를 즐기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음료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컵수납부가 필요하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421929호에 개시된 차량용 컵홀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차량의 실내에 한 쌍의 컵수납부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수납공간을 확장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컵을 수납할 수 있는 컵수납 공간만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스마트폰이나 카드 또는 차키와 같은 컵 이외의 물품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차량 실내에 마련된 컵수납부에 결합되어 컵의 수납공간을 확장시키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컵수납부에 결합되는 메인홀더에 연결되는 서브홀더를 통해 컵의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메인홀더와 서브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좀 더 견고하게 서브홀더를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메인홀더를 컵수납부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메인홀더의 상단부에 스마트폰과 같은 컵 이와의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서브홀더의 추가 수납공간을 복수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컵이 아닌 물품을 수납하거나 올려놓은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차량용 컵홀더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실내에 마련된 컵수납부에 결합되어 컵의 수납공간을 확장시키는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컵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컵수납부와 함께 하나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메인홀더; 상기 메인홀더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컵수납부의 바깥쪽에 배치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서브홀더; 및 상기 메인홀더와 상기 서브홀더를 연결하면서 상기 서브홀더를 소정의 각도로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메인홀더 및 상기 서브홀더에 고정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과 직교 상태를 이루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연결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 또는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상기 메인홀더 쪽 단부의 단면적이 상기 서브홀더 쪽 단부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홀더는, 상단 일측이 상기 연결판의 단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단 일측 외주로부터 상기 보강리브가 일체로 연장되며, 컵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수납되고 외주면이 상기 컵수납부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형 또는 속이 빈 역방향의 원뿔대형으로 형성되는 메인홀더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홀더는, 상기 메인홀더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며 하방으로 요입되는 두 개의 홈으로 형성되어, 물품을 소정 각도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홀더는, 상기 메인홀더본체의 상단부가 상기 거치슬롯을 중심으로 상하로 단차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홀더는, 컵이 끼워져 걸린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서브홀더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홀더는, 상기 서브홀더본체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홀더는, 상기 서브홀더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홀더본체와 함께 동심을 이루면서 하나의 상기 추가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홀더본체의 외곽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추가 추납공간을 복수로 확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홀더; 및 상기 분할홀더를 상기 서브홀더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분할홀더의 회동을 허용하는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컵홀더는,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된 장방형의 포켓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어 장방형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포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포켓은, 상기 장방형의 수납공간을 이루는 내주면 중 상기 서브홀더 쪽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물품을 상기 서브홀더와 이격시키는 이격돌기; 및 상기 수납공간을 이루는 벽체의 일부분에 절개된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물품의 파지를 허용하는 그립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컵홀더는, 상기 서브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홀더와 함께 상기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상의 거치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내부에 컵이 수납되고, 상기 서브홀더에 결합되면 외주면이 상기 서브홀더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서브홀더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홀더와 함께 하나의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홀더; 및 상기 트레이홀더의 외주면의 일부분에 고정되고, 쟁반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평면상의 거치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홀더가 상기 서브홀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홀더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는 트레이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본체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본체가 이루는 상기 평면상의 거치공간과 상하방향의 단차를 이루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포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홀더는, 상기 서브홀더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트레이홀더본체; 상기 트레이홀더본체를 상기 트레이홀더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절개하여, 상기 트레이홀더본체의 하부를 복수의 외팔보 형상을 갖도록 분할함으로써 분할된 부분의 탄성변형을 허여하는 탄성슬롯; 및 상기 트레이홀더본체의 하단부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서브홀더에 걸리면서 상기 트레이홀더본체가 상기 서브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서브홀더에 결합되는 상기 트레이홀더를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구속하거나 상기 트레이홀더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상기 트레이본체를 소정의 회전각도로 조절하는 트레이_회전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_회전제어부재는, 상기 서브홀더의 내주면에 요철형태를 이루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요철 중 오목한 홈부분을 통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트레이걸림턱; 및 상기 트레이홀더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수량을 이루면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트레이홀더가 서브홀더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걸림턱의 오목한 홈부분에 끼워져 걸리면서 상기 트레이홀더의 회전을 규제하는 트레이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차량 실내에 마련된 컵수납부에 결합되어 컵의 수납공간을 확장시키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연결부를 통해 메인홀더에 연결되는 서브홀더가 메인홀더의 외곽에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컵의 수납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연결부를 구성하는 보강리브가 연결판과 직교 상태를 이루면서 연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므로 서브홀더가 좀 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연결판과 보강리브의 메인홀더 쪽 단면적이 서브홀더 쪽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연결판이 안정적으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메인홀더본체의 하단부가 탄성슬롯에 의해 분할되면서 탄성변형이 허용되므로 메인홀더본체가 차량의 컵수납부에 결합되면서 탄성변형을 통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메인홀더본체의 상단부에 거치슬롯이 형성되므로 스마트폰과 같은 물품을 메인홀더본체에 거치할 수 있고, 메인홀더본체의 상단부가 거치슬롯을 중심으로 단차를 이룸으로써 물품을 좀 더 용이하게 거치슬롯에 거치하거나 거치슬롯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서브홀더본체에 결합되는 분할홀더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서브홀더본체의 외곽으로 회동하므로 추가 수납공간이 복수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연결부에 고정되는 수납포켓이 장방형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므로 카드나 스마트폰 등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수납포켓의 내주면에 돌출되는 이격돌기가 물품을 서브홀더와 이격시킴으로써 물품과 서브홀더의 컵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서브홀더에 트레이가 결합되므로 컵이 아닌 물품을 트레이에 올려놓은 상태로 거치할 수 있으며, 트레이홀더에 탄성슬롯과 분리방지돌기가 구비되므로 트레이홀더가 서브홀더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트레이본체의 일부분에 트레이포켓이 형성되므로 자동차 키와 같은 물품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트레이포켓이 소정의 곡률을 이루면서 연장형성되므로 물품을 트레이포켓에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서브홀더가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서브홀더 및 수납포켓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트레이_회전제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트레이_회전제어부재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트레이_회전제어부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서브홀더가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서브홀더 및 수납포켓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은 트레이_회전제어부재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10)는 차량 실내에 마련된 컵수납부에 결합되어 컵의 수납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홀더(100), 서브홀더(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홀더(100)는 차량 실내의 컵수납부에 결합되면서 컵수납부와 함께 컵의 수납공간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메인홀더(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을 이루거나, 속이 비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역방향의 원뿔대형으로 형성되는 메인홀더본체(110)로 구성됨으로써 개구된 상부를 통해 내부에 컵을 수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메인홀더본체(110)는 상단 일측이 후술되는 연결판(310)의 단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단 일측 외주로부터 후술되는 보강리브(320)가 일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차량의 컵수납부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컵수납부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홀더(100), 서브홀더(200) 및 연결부(300)는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나 또는 목재로 제작되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홀더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슬롯(120)에 의해 하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의 복수의 레버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슬롯(120)은 메인홀더본체(110)를 상기 메인홀더본체(110)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절개하여, 메인홀더본체(110)의 하부를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의 복수의 레버로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레버들의 탄성변형을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홀더본체(110)는 차량의 컵수납부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분할된 레버들이 메인홀더본체(110)의 중심을 향해 오므라지면서 컵수납부에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고, 컵수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분할된 레버들이 탄성력에 의해 컵수납부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슬롯(120)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의 레버는 폭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동일한 경사각도를 이루면서 메인홀더본체(110)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탄성슬롯(120)은 메인홀더본체(110)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절개폭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슬롯(12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레버는 폭방향의 양단부가 동일한 경사각도를 이룸으로써 폭방향 양쪽에 동일한 응력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홀더본체(120)는 컵수납부에 수납시 복수의 레버들이 균일하게 탄성변형됨으로써 파손의 우려가 없이 원활하게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레버의 폭방향 양단부가 서로 다른 경사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될 경우에는 양단부의 응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레버의 탄성변형 시 좌우가 불균일한 형태로 탄성변형되므로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메인홀더본체(110)는 외주면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미도시된 논슬립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고무재질의 논슬립패드가 외주면에 구비되어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컵수납부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메인홀더본체(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거치슬롯(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슬롯(130)은 스마트폰과 같은 물품을 소정의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메인홀더본체(110)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며 하방으로 요입되는 두 개의 홈으로 형성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물품을 끼워서 소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홀더본체(110)는 상단부가 거치슬롯(130)을 중심으로 상하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홀더본체(110)는 도면 상 거치슬롯(130)을 기준으로 서브홀더(200) 쪽 상단부의 높이가 반대쪽 상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물품은 거치슬롯(130)에 거치될 경우 거치슬롯(130) 후방의 높이가 높게 형성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거치슬롯(130) 전방의 높이가 낮게 형성됨으로써 화면의 가려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거치슬롯(130)에 거치된 물품은 거치슬롯(130) 전방의 높이가 낮게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파지되면서 거치슬롯(1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서브홀더(200)는 후술되는 연결부(300)를 매개로 메인홀더(100)에 연결되어 메인홀더(100)의 바깥쪽에 배치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서브홀더(200)는 컵이 끼워져 걸린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연결부(3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링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는 서브홀더본체(210)로 구성되어 컵의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홀더본체(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 형태로 형성될 경우,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마찰돌기(22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돌기(220)는 서브홀더본체(21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로 돌출되어 요철형태를 이룸으로써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브홀더본체(210)에 수납되는 컵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마찰돌기(220)는 후술되는 트레이(500)가 서브홀더본체(210)에 결합될 경우에는 트레이(500)를 구성하는 트레이홀더(510)에 밀착됨으로써 트레이(5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찰돌기(220)는 트레이홀더(510)의 외주면에도 형성되어 서브홀더본체(210)와 트레이홀더(510)의 결합 시 서로 형합되면서 트레이(500)의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서브홀더(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홀더(230) 및 힌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홀더(230)는 서브홀더본체(210)의 추가 수납공간을 복수로 확장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분할홀더(230)는 서브홀더본체(2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힌지(240)에 의해 서브홀더본체(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할홀더(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홀더본체(2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된 상태로 힌지(240)를 매개로 결합되어 서브홀더본체(210)와 동심을 이루면서 하나의 추가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힌지(240)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홀더본체(210)의 외곽으로 회동함으로써 추가 수납공간을 복수로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분할홀더(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로 구성되어 서브홀더본체(210)의 상부에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복수로 구성되어 서브홀더본체(2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힌지(240)를 통해 결합되어 제각기 회동하면서 추가 수납공간을 복수로 확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분할홀더(230)는 복수로 구성되면서 각각 힌지(240)로 연결되어 회동을 통해 서브홀더본체(210)의 외곽으로 펼쳐지면서 추가 수납공간을 복수로 확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분할홀더(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링 형태의 서브홀더본체(210)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원형관 형태의 서브홀더본체(210)에도 적용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서브홀더(200)에는 분할홀더(230)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면서 소정의 회동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미도시된 분할홀더_회동제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홀더_회동제어부재는 서브홀더본체(210)의 일면에 복수의 홈형태로 형성되어 힌지(240)를 중심으로 방사형태를 이루면서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걸림홈과, 분할홀더(230)에 설치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분할홀더(230)와 함께 회전하면서 걸림홈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홀더(230)는 힌지(24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가 복수의 걸림홈에 단계적으로 걸림으로써 소정의 회동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분할홀더_회동제어부재는 음극 및 양극 한 쌍을 이루면서 서로 대면한 상태로 인력작용을 제공하는 한 쌍의 자석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음극 및 양극 한 쌍 중 양극자석이 서브홀더본체(210)에 설치되고 음극자석이 분할홀더(230)에 설치되어 서로 대면함으로써 인력작용을 통해 분할홀더(230)를 소정의 회동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자석 및 음극자석은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서브홀더본체(210) 및 분할홀더(230)에 각각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분할홀더(230)가 서브홀더(210)에 적층된 상태 및 분할홀더(230)가 서브홀더본체(210)의 외곽으로 회동한 상태 각각에서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분할홀더(230)를 서브홀더본체(210)에 포개진 상태로 고정하거나 서브홀더본체(210)의 외곽으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300)는 메인홀더(100)와 서브홀더(200)를 연결하면서 서브홀더(200)를 소정의 각도로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310) 및 보강리브(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판(3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소정의 곡률로 연장되는 판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메인홀더(100) 및 서브홀더(200)에 고정됨으로써 메인홀더(100)와 서브홀더(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판(3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메인홀더(100) 쪽 단부의 단면적이 서브홀더(200) 쪽 단부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판(310)은 메인홀더(100) 쪽 단부의 강성이 서브홀더(200) 쪽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형성됨으로써 서브홀더(200)를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판(310)은 일부분이 분할 형성되면서 분할된 부분이 미도시된 힌지볼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볼트의 풀림을 통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서브홀더(20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리브(320)는 연결판(310)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서브홀더(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보강리브(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310)과 직교 상태를 이루는 복수의 판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판(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됨으로써 연결판(3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리브(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메인홀더(100) 쪽 단부의 단면적이 서브홀더(200) 쪽 단부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판(310)은 보강리브(320)의 메인홀더(100) 쪽 단부의 강성이 서브홀더(200) 쪽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형성됨으로써 서브홀더(200)를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320)는 연결판(3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특히 보강리브(320)의 단부가 메인홀더본체(110)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연결판(31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서브홀더(200)를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서브홀더(200)에 트레이(500)가 결합되어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처짐 없이 서브홀더(20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포켓(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납포켓(400)은 연결부(300)에 고정되면서 카드나 스마트폰과 같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장방형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수납포켓(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개구된 장방형의 포켓형태로 형성되거나 상부만이 개구된 포켓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300)를 구성하는 연결판(310)에 고정됨으로써 메인홀더(100)와 서브홀더(200)의 사이에 장방향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포켓(400)은 연결부(300)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제작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연결부(3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납포켓(400)은 미도시된 힌지볼트를 통해 연결부(3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힌지볼트의 풀림을 통해 회전이 허용되면서 소정의 각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수납포켓(4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이격돌기(4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격돌기(410)는 수납포켓(400)에 수납되는 물품을 서브홀더(200)와 이격시킴으로써 수납포켓(400)의 물품과 서브홀더(200)에 수납되는 컵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이격돌기(410)는 수납공간을 이루는 수납포켓(400)의 내주면 중 서브홀더(200) 쪽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된 물품을 서브홀더(200)와 이격시킴으로써, 수납포켓(400)에 수용된 물품과 서브홀더(200)에 수납된 컵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납포켓(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홈(42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홈(420)은 수납포켓(400)에 수용된 물품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그립홈(420)은 수납공간을 이루는 수납포켓(400)의 벽체 상단부 일부분에 절개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수납공간의 일부분을 노출시킴으로써 수납포켓(400)에 수용된 물품의 용이한 파지를 허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1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500)는 서브홀더(200)에 결합되어 컵의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면서 다양한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상의 거치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트레이(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홀더(510) 및 트레이본체(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홀더(5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홀더(200)에 결합되면 외주면이 서브홀더(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서브홀더(200)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트레이홀더본체(511)로 구성되어 내부에 컵이 수납될 수 있으며, 서브홀더(200)의 추가 수납공간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서브홀더(200)와 함께 하나의 추가 수납공간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홀더본체(5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슬롯(512)에 의해 하부가 복수의 외팔보 형상을 갖도록 분할되면서 분할된 부분의 탄성 변형이 허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슬롯(512)은 트레이홀더본체(511)를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절개함으로써 트레이홀더본체(511)의 하부를 복수의 외팔보 형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홀더본체(511)는 탄성슬롯(512)에 의해 외팔보 형상으로 분할된 부분의 탄성변형이 허용될 수 있으며, 서브홀더(2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분할된 부분이 오므라지면서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고, 분할된 부분이 탄성력에 의해 서브홀더(200)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서브홀더(200)는 내주면에 마찰돌기(220)가 형성됨으로써 트레이홀더본체(511)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홀더본체(511)는 외주면에 마찰돌기(220)에 대응하는 형태의 미도시된 논슬립돌기가 돌출형성되어 마찰돌기(220)와 형합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고무재질의 논슬립패드가 외주면에 구비되어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서브홀더(200)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홀더본체(5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분리방지돌기(5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방지돌기(513)는 트레이홀더본체(511)가 서브홀더(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트레이홀더본체(511)의 하단부에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어 걸림턱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분리방지돌기(5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홀더본체(511)가 서브홀더(200)에 결합될 경우 서브홀더(200)의 하단부에 걸림으로써 트레이홀더본체(511)를 서브홀더(20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본체(520)는 쟁반형태로 형성되어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거치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트레이본체(520)는 쟁반형태로 형성되어 트레이홀더본체(511)의 외주면 일부분에 고정되면서 평면상의 거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트레이홀더본체(511)가 서브홀더(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브홀더(200)에 의해 저면이 지지됨으로써 트레이홀더본체(511)를 서브홀더(2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본체(520)는 바닥면에 고무패드가 부착됨으로써 거치되는 물품을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한편, 트레이본체(52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포켓(530)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포켓(530)은 자동차열쇠나 카드와 같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트레이본체(520)의 일측에 트레이본체(520)가 이루는 평면상의 거치공간과 상하방향의 단차를 이루는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포켓(5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본체(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포켓(530)에 수납되는 물품은 트레이포켓(530)에 수납될 경우 트레이포켓(530)의 측벽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일부분만이 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수납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트레이포켓(530)에서 물품을 꺼낼 수 있다.
한편, 트레이본체(520)는 트레이홀더(510)를 통해 서브홀더(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할 경우에는 메인홀더(100) 쪽으로 회전하면서 메인홀더(100)에 수납된 컵에 부딪힐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본체(52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_회전제어부재(5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트레이_회전제어부재(550)는 서브홀더(200)에 결합되는 트레이홀더(510)를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구속함으로써 트레이본체(52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며, 필요에 따라 트레이홀더(510)의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트레이본체(520)를 소정의 회전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트레이_회전제어부재(550)가 구비될 경우에는 전술한 마찰돌기(220)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_회전제어부재(5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걸림턱(551) 및 트레이걸림돌기(5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걸림턱(551)은 트레이홀더(51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걸림부위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서브홀더(200)를 구성하는 서브홀더본체(210)의 내주면에 요철형태를 이루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트레이걸림턱(55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홀더본체(210)의 내주면을 따라 요철형태로 연장됨으로써 요철 중 오목한 홈부분에 후술되는 트레이걸림돌기(552)의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오목한 홈부분이 복수를 이루면서 방사형으로 배치됨으로써 서브홀더본체(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마다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걸림턱(551)은 서브홀더본체(2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트레이홀더(510)를 구성하는 트레이홀더본체(51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걸림돌기(552)는 트레이걸림턱(551)에 걸리면서 회전이 규제되는 구성요소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홀더(510)를 구성하는 트레이홀더본체(51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걸림돌기(552)는 적어도 하나의 수량을 이루면서 트레이홀더본체(511)의 외주면에 돌출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트레이걸림턱(511)과 대칭 상태를 이루는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트레이걸림턱(511)과 형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트레이걸림돌기(552)는 트레이걸림턱(511)이 트레이홀더본체(511)의 외주면에 형성될 경우에는 서브홀더본체(2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걸림돌기(552)는 트레이홀더본체(511)가 서브홀더본체(510)에 결합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걸림턱(511)의 오목한 홈부분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트레이홀더본체(511)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홀더본체(511)는 서브홀더본체(5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트레이걸림돌기(552) 및 트레이걸림턱(551)의 걸림을 통해 회전이 구속됨으로써 트레이본체(520)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질 경우 트레이걸림돌기(552)가 트레이걸림턱(551)에서 분리되면서 회전이 허용됨으로써 트레이본체(52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홀더본체(511)는 트레이걸림돌기(552)와 트레이걸림턱(551)의 분리를 위하여 원활하게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방지돌기(513)가 서브홀더본체(210)의 하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10)는 미도시된 보관자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관자석은 차량용 컵홀더(10)를 차량의 컵수납부에서 분리하여 보관할 경우 트레이(500)를 메인홀더(100)나 서브홀더(200) 또는 연결부(300)에 부착된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트레이(50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보관자석은 음극 및 양극 한 쌍을 이루면서 서로 대면한 상태로 인력작용을 제공하는 한 쌍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음극 및 양극 한 쌍 중 양극자석이 메인홀더(100), 서브홀더(200) 및 연결부(300)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될 수 있고, 음극자석이 트레이(5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500)는 서브홀더(2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도 보관자석을 통해 메인홀더(100), 서브홀더(200) 또는 연결부(300)에 부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메인홀더는(100) 차량 실내에 마련된 컵수납부에 끼워져 고정되어 컵수납부와 함께 하나의 컵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메인홀더(100)는 컵수납부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탄성슬롯(120)에 의해 탄성변형함으로써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컵수납부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서브홀더(200)는 메인홀더(100)의 외곽에 배치된 상태로 컵의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분할홀더(230)를 회동시킬 경우에는 추가 수납공간을 복수로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500)는 필요에 따라 서브홀더(20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홀더(510)는 서브홀더(2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탄성슬롯(512)에 의해 탄성변형함으로써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결합 후에는 분리방지돌기(513)를 통해 서브홀더(200)에 걸리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컵수납부에 결합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10)는 메인홀더(100) 및 서브홀더(200)를 통해 컵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트레이본체(520)를 통해 물품의 거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납포켓(400) 및 트레이포켓(530)을 통해 컵 이외 물품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10)에 의하면, 연결부(300)를 통해 메인홀더(100)에 연결되는 서브홀더(200)가 메인홀더(100)의 외곽에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컵의 수납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300)를 구성하는 보강리브(320)가 연결판(310)과 직교 상태를 이루면서 연결판(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므로 서브홀더(200)가 좀 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차량용 컵홀더
100 : 메인홀더
110 : 메인홀더본체
120 : 탄성슬롯
130 : 거치슬롯
200 : 서브홀더
210 : 서브홀더본체
220 : 마찰돌기
230 : 분할홀더
240 : 힌지
300 : 연결부
310 : 연결판
320 : 보강리브
400 : 수납포켓
410 : 이격돌기
420 : 그립홈
500 : 트레이
510 : 트레이홀더
520 : 트레이본체
530 : 트레이포켓
550 : 트레이_회전제어부재
551 : 트레이걸림턱
552 : 트레이걸림돌기

Claims (15)

  1. 차량 실내에 마련된 컵수납부에 결합되어 컵의 수납공간을 확장시키는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컵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컵수납부와 함께 하나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메인홀더;
    상기 메인홀더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컵수납부의 바깥쪽에 배치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서브홀더; 및
    상기 메인홀더와 상기 서브홀더를 연결하면서 상기 서브홀더를 소정의 각도로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메인홀더 및 상기 서브홀더에 고정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과 직교 상태를 이루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연결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홀더는,
    상단 일측이 상기 연결판의 단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단 일측 외주로부터 상기 보강리브가 일체로 연장되며, 컵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수납되고 외주면이 상기 컵수납부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형 또는 속이 빈 역방향의 원뿔대형으로 형성되는 메인홀더본체; 및
    상기 메인홀더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며 하방으로 요입되는 두 개의 홈으로 형성되어, 물품이 소정 각도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슬롯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홀더는,
    상기 메인홀더본체의 상단부가 상기 거치슬롯을 중심으로 상하로 단차를 이루는, 차량용 컵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 또는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상기 메인홀더 쪽 단부의 단면적이 상기 서브홀더 쪽 단부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차량용 컵홀더.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홀더는,
    컵이 끼워져 걸린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서브홀더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홀더는,
    상기 서브홀더본체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돌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홀더는,
    상기 서브홀더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홀더본체와 함께 동심을 이루면서 하나의 상기 추가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홀더본체의 외곽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추가 추납공간을 복수로 확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홀더; 및
    상기 분할홀더를 상기 서브홀더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분할홀더의 회동을 허용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홀더는,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된 장방형의 포켓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어 장방형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포켓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포켓은,
    상기 장방형의 수납공간을 이루는 내주면 중 상기 서브홀더 쪽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물품을 상기 서브홀더와 이격시키는 이격돌기; 및
    상기 수납공간을 이루는 벽체의 일부분에 절개된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물품의 파지를 허용하는 그립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홀더는,
    상기 서브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홀더와 함께 상기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상의 거치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내부에 컵이 수납되고, 상기 서브홀더에 결합되면 외주면이 상기 서브홀더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서브홀더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홀더와 함께 하나의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홀더; 및
    상기 트레이홀더의 외주면의 일부분에 고정되고, 쟁반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평면상의 거치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홀더가 상기 서브홀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홀더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는 트레이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본체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본체가 이루는 상기 평면상의 거치공간과 상하방향의 단차를 이루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포켓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홀더는,
    상기 서브홀더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트레이홀더본체;
    상기 트레이홀더본체를 상기 트레이홀더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절개하여, 상기 트레이홀더본체의 하부를 복수의 외팔보 형상을 갖도록 분할함으로써 분할된 부분의 탄성변형을 허여하는 탄성슬롯; 및
    상기 트레이홀더본체의 하단부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서브홀더에 걸리면서 상기 트레이홀더본체가 상기 서브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서브홀더에 결합되는 상기 트레이홀더를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구속하거나 상기 트레이홀더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상기 트레이본체를 소정의 회전각도로 조절하는 트레이_회전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_회전제어부재는,
    상기 서브홀더의 내주면에 요철형태를 이루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요철 중 오목한 홈부분을 통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트레이걸림턱; 및
    상기 트레이홀더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수량을 이루면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트레이홀더가 서브홀더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걸림턱의 오목한 홈부분에 끼워져 걸리면서 상기 트레이홀더의 회전을 방지하는 트레이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KR1020210176972A 2021-12-10 2021-12-10 차량용 컵홀더 KR102627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72A KR102627367B1 (ko) 2021-12-10 2021-12-10 차량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72A KR102627367B1 (ko) 2021-12-10 2021-12-10 차량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106A KR20230088106A (ko) 2023-06-19
KR102627367B1 true KR102627367B1 (ko) 2024-01-19

Family

ID=8698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972A KR102627367B1 (ko) 2021-12-10 2021-12-10 차량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3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565B1 (ko) * 2021-07-20 2021-12-02 김상수 지지력이 향상된 자동차용 멀티 컵홀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122B1 (ko) * 2017-01-13 2019-02-08 김동일 홀더
KR102177789B1 (ko) * 2020-01-31 2020-11-11 박민우 무선충전기능의 트레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컵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565B1 (ko) * 2021-07-20 2021-12-02 김상수 지지력이 향상된 자동차용 멀티 컵홀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모차컵홀더 포브 스마트폰홀더 기능 굿, [네이버 블로그], 2020.08.03., 인터넷 <https://blog.naver.com/ury8520/2220503662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106A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093B2 (en) Cup holder assembly having deformable retainer
US5897041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beverage container
KR10060013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4992956B2 (ja) カップホルダ
US20090173862A1 (en) Removable console cupholder adaptor
US6641102B2 (en) Beverage container support apparatus
JP2000500421A (ja) 飲料用缶のための担持板
US20180208094A1 (en) Moveable tray assembly
US11648865B2 (en) Vehicle cupholder adapter for oversized beverage container
KR102627367B1 (ko) 차량용 컵홀더
US20240032715A1 (en) Cup holder adaptor assembly
US20180251059A1 (en) Vehicle cup holder assembly
US20240067100A1 (en) Beverage holder with textile compensation elements
US20050224674A1 (en)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GB2557967A (en) Cup Holder
JP6445452B2 (ja) 容器ホルダ
US10273134B1 (en) Mechanism for orienting packaging elements such as container caps
JP4736638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KR101918122B1 (ko) 홀더
JP2017071014A (ja) 工具保持具及び工具保持方法
JP3170996U (ja) カップホルダー
JP5120686B2 (ja) 車両用収容物保持装置
KR101733885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2004082887A (ja) カップホルダ
JP6866675B2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