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508A - 홀더 - Google Patents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3508A KR20180083508A KR1020170005846A KR20170005846A KR20180083508A KR 20180083508 A KR20180083508 A KR 20180083508A KR 1020170005846 A KR1020170005846 A KR 1020170005846A KR 20170005846 A KR20170005846 A KR 20170005846A KR 20180083508 A KR20180083508 A KR 201800835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mounting
- mounting portion
- cup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본체;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 및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실내에는 필수적인 장치 외에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및 시설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편의시설 중 차량 내부에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물병이나 컵을 비치할 수 있는 컵 홀더가 마련된다.
이렇게,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는 컵 홀더는 운행중 차체의 흔들림에 의해 컵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컵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해야 한다.
하지만, 차량 내부에 휴대 컵을 거치시킬 수 있는 제한되기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므로 간편하게 휴대와 보관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본체;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 및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1 거치부; 및 상기 제1 거치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거치부에 대해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는 결합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본체;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마련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므로 간편하게 휴대와 보관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다양한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홀더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부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거치부가 제1 거치부에 대해 회전하여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수단이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수단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수납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차량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부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거치부가 제1 거치부에 대해 회전하여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수단이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거치수단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수납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차량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홀더(100)는 본체(200), 본체(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300),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본체(200)와 거치부(30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410) 및 본체(2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내부에 컵을 보관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컵은 보관홈(210)으로 삽입되어 보관하게 된다. 상기 컵이 보관홈(210)에 삽입된 경우, 컵을 용이하게 빼내기 위해 컵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00)는 입구와 바닥부분의 지름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컵이 보관홈(210) 내에서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고,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물품이 보관홈(210)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200)는 컵만을 수납하는 것이 아니며, 그 이외에 음료캔 또는 물병 등을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체(200)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인 스마트 폰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0)의 내부 바닥면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컵이 본체(200)에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컵을 보호하고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부재는 본체(200) 내에서 컵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탄성부재는 컵을 본체(20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컵을 본체(20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컵이 본체(200) 내에 수납되는 경우, 탄성부재는 컵에 의해 수축되고, 수축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컵은 본체(200)의 측면으로 가압되게 된다. 따라서, 컵은 본체(20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컵을 가압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입구와 바닥부분의 지름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의 지름은 입구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는, 후술한 수납부(500)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본체(200)는 바닥과 입구가 개방된 부분과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220)는 본체(2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220)는 후술한 수납부(50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51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200)와 수납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에서 거치부(300)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에서 거치부(300)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거치부(300)는 결합부(410)에 의해 본체(100)와 결합되는 제1 거치부(310), 제1 개방홀(312) 및 제1 거치부(3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거치부(310)에 대해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는 제2 거치부(320), 제2 개방홀(322)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300)에는 컵이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거치부(300)의 직경은 컵이 빠지지 않도록 컵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는, 거치부(300)에 컵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료캔이나 음료수 병 등이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치부(300)는 본체(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일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부(41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410)는 본체(200)와 거치부(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410)는 거치부(300)를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300)는 본체(200)의 일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은 거치부(300)가 본체(200)에서 반시계방향(R1R)으로 회전된 경우이다. 거치부(300)가 회전됨으로써, 본체(200)에 대해 일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회전제한부(150)는 거치부(300)가 본체(200)로부터 회전되는 경우 그 회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본체(2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제한부(150)는 거치부(300)의 추가적인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제한부(150)는 본체(2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300)는 결합부(410)에 의해 본체(100)와 결합되는 제1 거치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부(310)는 컵의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제1 개방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컵은 제1 거치부(310)에 형성된 제1 개방홀(312)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방홀(312)의 크기는 다양한 컵의 크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개방홀(312)의 직경은 컵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거치부(320)가 제1 거치부(310)에 대해 회전하여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거치부(320)는 제1 거치부(3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제2 거치부(320)가 제1 거치부(3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제2 거치부 결합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거치부 결합부(420)는 제2 거치부(320)를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거치부(320)는 제1 거치부(310)에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치부(320)는 제1 거치부(310)의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본체(200)에서 거치부(300)가 회전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거치부(320)는 제 1 거치부(3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도 회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거치부(320)는 컵의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개방홀(322)을 포함할 수 있다. 컵은 제2 거치부(320)에 형성된 제2 개방홀(322)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개방홀(322)의 크기는 다양한 컵의 크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 개방홀(322)의 직경은 컵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거치부(320)는 본체(200)와 결합부(41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는 결합부홈(32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홈(324)는 제2 거치부(320)가 제1 거치부(310)에서 회전되기 전에, 제2 거치부(320)가 제1 거치부(310) 상측에 위치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거치부(320)가 제1 거치부(310)로부터 회전되어 그 회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회전제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제한부는 제1 거치부(31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300)는 본체(200)에 대해 제1 힌지축(A1)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힌지축(A1)이 회전되는 방향은 반시계방향(R1R)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거치부(300)가 반시계방향(R1R)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으나,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거치부(300)는 시계방향(R2R)으로도 회전될 수 있다. 즉, 본체(200)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거치수단(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200)와 거치수단(330)을 결합시키는 거치수단 결합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에서 거치수단(330)이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에서 거치수단(330)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거치수단(330)은 본체(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거치수단 결합부(430)는 본체(200)와 거치수단(3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거치수단 결합부(430)는 거치수단(330)을 거치수단 힌지축(A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수단(330)은 본체(200)의 타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은 거치수단(330)이 본체(200)에서 시계방향(R2R)으로 회전된 경우이다. 거치수단(330)이 회전됨으로써, 본체(200)에 대해 타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회전제한부(150)는 거치수단(330)이 본체(200)로부터 회전되어 그 회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본체(2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제한부(150)는 거치부(300)의 추가적인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제한부(150)는 본체(2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거치수단(330)은 컵의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거치수단 개방홀(332)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수단(330)에는 컵이 거치수단 개방홀(332)로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거치수단 개방홀(332)의 직경은 컵이 빠지지 않도록 컵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는, 거치수단(330)에 컵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료캔이나 음료수 병 등이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거치수단(330)은 본체(200)와 결합부(41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는 결합부홈(3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와 수납부(500)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100)는 본체(200)와 수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와 수납부(500)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납부(500)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물품은 수납부(500) 내부로 삽입되어 보관하게 된다. 상기 물품은 수납부(500) 내에서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고,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물품이 수납부(500)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부(500)는 컵만을 수납하는 것이 아니며, 그 이외에 음료캔 또는 물병등을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체(200)는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인, 스마트 폰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수납부(500)의 내부 바닥면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컵이 수납부(500)에 수납될 때 추격으로부터 물품을 보호하고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부재는 수납부(500) 내에서 컵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탄성부재는 컵이 수납부(50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컵이 수납부(50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컵이 수납부(500) 내에 수납되는 경우, 탄성부재는 컵에 의해 수축되고, 수축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컵은 수납부(500)의 측면으로 가압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컵은 수납부(50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컵을 가압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500)는 본체(2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삽입홈(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삽입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수납부(500)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삽입돌기(220)는 삽입홈(510)에 삽입되어 결합하게 된다. 삽입돌기(220)는 삽입홈(510)에 삽입되어 본체(200)와 수납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삽입홈(51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삽입돌기(220)도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삽입홉(510)은 삽입돌기(22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돌기(200)는 삽입홈(510)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본체(200)와 수납부(50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는 본체(200)와 수납부(500)의 결합이 용이하므로 다양한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홀더(100)는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므로 간편하게 휴대와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홀더(100)는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므로, 본체(200)와 수납부(500)를 분리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수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가 차량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홀더(10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내부 구조물(50)은 센터페시아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내부 구조물(50)로는 예를 들어,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홀더(100)가 차량 내부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홀더(100)는 다양한 곳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a)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홀더(100)와 유사한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홀더(100a)의 수납부(500a)는 본체(200a)의 바닥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부(500a)는 본체(200a)의 바닥면에서 단차를 형성하며,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500a)의 바닥면의 지름 내지 단면적은 본체(200a)의 바닥면의 지름 내지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을(단면적은 좁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200a) 및 수납부(500a)의 단면이 원형일 경우, 수납부(500a)의 바닥면의 지름이 본체(200a)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는, 홀더(100a)가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배치될 때, 홀더(100a)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즉, 본체(200a)와 수납부(500a)의 경계 부분(죽,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이 센터페시아의 턱에 걸림으로써, 홀더(100a)의 위치를 센터페시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100a)는 이탈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수납부(500a)는 홀더(100a)의 파지 편의성을 위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홀더
150 : 회전제한부
200 : 본체
210 : 보관홈
220 : 삽입돌기
300 : 거치부
310 : 제1 거치부
312 : 제1 개방홀
320 : 제2 거치부
322 : 제2 개방홀
324 : 결합부홈
330 : 거치수단
332 : 거치수단 개방홀
334 : 거치수단 결합부홈
410 : 결합부
420 : 제2 거치부 결합부
430 : 거치수단 결합부
500 : 수납부
510 : 삽입홈
150 : 회전제한부
200 : 본체
210 : 보관홈
220 : 삽입돌기
300 : 거치부
310 : 제1 거치부
312 : 제1 개방홀
320 : 제2 거치부
322 : 제2 개방홀
324 : 결합부홈
330 : 거치수단
332 : 거치수단 개방홀
334 : 거치수단 결합부홈
410 : 결합부
420 : 제2 거치부 결합부
430 : 거치수단 결합부
500 : 수납부
510 : 삽입홈
Claims (7)
- 본체;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 및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홀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1 거치부; 및
상기 제1 거치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거치부에 대해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하는, 홀더.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는 결합부홈을 포함하는, 홀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홀을 포함하는, 홀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홀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홀더.
- 본체;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마련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846A KR101918122B1 (ko) | 2017-01-13 | 2017-01-13 |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846A KR101918122B1 (ko) | 2017-01-13 | 2017-01-13 | 홀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3508A true KR20180083508A (ko) | 2018-07-23 |
KR101918122B1 KR101918122B1 (ko) | 2019-02-08 |
Family
ID=6310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5846A KR101918122B1 (ko) | 2017-01-13 | 2017-01-13 |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812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11855A1 (fr) * | 2020-06-29 | 2021-12-31 |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 Ensemble de rangement pour véhicule |
KR20230088106A (ko) * | 2021-12-10 | 2023-06-19 | 주식회사 블랙홀릭 | 차량용 컵홀더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9168B1 (ko) | 2010-10-19 | 2012-07-30 | 한일이화주식회사 | 차량용 컵홀더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4095B1 (ko) * | 2014-04-08 | 2015-07-06 | 서정옥 | 차량용 멀티 컵 케이스 |
-
2017
- 2017-01-13 KR KR1020170005846A patent/KR1019181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9168B1 (ko) | 2010-10-19 | 2012-07-30 | 한일이화주식회사 | 차량용 컵홀더 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11855A1 (fr) * | 2020-06-29 | 2021-12-31 |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 Ensemble de rangement pour véhicule |
KR20230088106A (ko) * | 2021-12-10 | 2023-06-19 | 주식회사 블랙홀릭 | 차량용 컵홀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8122B1 (ko) | 2019-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1258B1 (ko) | 자동차 콘솔 박스의 컵 홀더 | |
KR101918122B1 (ko) | 홀더 | |
US9809141B2 (en) | Storage compartment comprising a foldable holder element | |
US7431369B2 (en) | Vehicle glove box having a rotary-type partition | |
KR20170112430A (ko) |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 |
KR102334565B1 (ko) | 지지력이 향상된 자동차용 멀티 컵홀더 | |
KR100600131B1 (ko) | 자동차용 컵홀더 | |
KR20120016887A (ko) | 스토리지 박스 | |
JP2013112174A (ja) |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 |
JP4338262B2 (ja) |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 |
KR102335393B1 (ko) | 차량용 가변식 히든 컵홀더 | |
JP2009143507A (ja) | 車両用収納装置 | |
JP3625740B2 (ja) | 車両用収納体 | |
JP3788267B2 (ja) | 小物入れ付き飲料容器ホルダ構造 | |
JP3339179B2 (ja) | カップホルダー兼用小物入れ | |
KR20100069739A (ko) | 수납장치 | |
JP2000272401A (ja) | ホルダー | |
JP2003291734A (ja) | 車両用容器保持装置 | |
JP2013159209A (ja) | 底上げ装置 | |
JP2004161124A (ja) | 乗物用カップホルダー | |
JP5252632B2 (ja) | 車両用収納装置 | |
JP3925577B2 (ja) | カップホルダー | |
KR20040048024A (ko) | 차량의 컵홀더 구조물 | |
KR100405891B1 (ko) | 자동차용 컵홀더 | |
JP3609494B2 (ja) | ホルダー付き自動車用灰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