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766B1 - 챠량의 컵 홀더 - Google Patents

챠량의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766B1
KR101637766B1 KR1020140174757A KR20140174757A KR101637766B1 KR 101637766 B1 KR101637766 B1 KR 101637766B1 KR 1020140174757 A KR1020140174757 A KR 1020140174757A KR 20140174757 A KR20140174757 A KR 20140174757A KR 101637766 B1 KR101637766 B1 KR 10163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 holder
bottom portion
suppo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164A (ko
Inventor
신제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7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챠량의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차실의 내부에 마련되며,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부을 갖는 수납트레이와; 상기 수납트레이의 수납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컵이 안착되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로부터 기립되어 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컵거치대와; 상기 컵거치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바닥부에 안착되는 컵의 지름에 상관없이 상기 지지부가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를 상기 바닥부의 중심 측으로 회동 작동시키는 컵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컵거치대의 바닥부에 기립 설치되는 지지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힌지공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바닥부에 중심 측 방향으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공을 따라 지지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차량의 컵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컵 홀더 하단에 유동방지 부재를 사용하여 상/하 및 좌/우 발생되는 유동을 개선하고 회전량을 크게하여 견고하게 컵을 고정할 수 있고, 컵거치대와 수납트레이의 걸림을 헤제시키기 위한 버튼의 위치를 회전 방향과 관계없이 변경할 수 있으므로 설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챠량의 컵 홀더{CUP HOLDER OF VEHICLE}
본 발명은 챠량의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컵 홀더 하단에 유동방지 부재를 사용하여 상/하 및 좌/우 발생되는 유동을 개선하고 회전량을 크게 하는 챠량의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음료수 캔이나 컵 등(이하, 컵이라 통칭함)을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컵 홀더가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한 뒤 필요한 경우 컵을 상기 컵 홀더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컵 홀더는 차량 주행 시 컵이 넘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크래쉬 패드(CRASH PAD)나 콘솔 박스(CONSOLE BOX) 등에 형성되거나 또는 차량의 소정 부위에 부착 설치되고 있다.
종래 컵 홀더로서 가장 단순한 구조로는 크래쉬 패드 또는 콘솔 박스의 상부면에 단순히 컵을 수납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한 구조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컵 홀더는 다양한 크기의 컵을 수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컵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한다.
즉, 홈이 콘솔 박스에 일률적인 크기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 가능한 컵의 크기가 정해져 있으며, 특히 컵과 홈의 크기가 맞지 않는 경우 주행 중 컵이 홈에서 이탈되거나 넘어지게 되어 음료수가 컵 밖으로 흘러 차량 내부를 더럽히게 되고, 이는 결국 운전 중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컵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국공개특허 제2005-0001127호가 개시되었으며, 이 종래는 수납부를 분할하도록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180도 정도를 포위하는 벽과, 회전 접시로 구성된 컵거치대(divider)와; 컵거치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과; 버튼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여 컵거치대를 걸림 해제시키는 직경 보상 플랩(diameter-compensating flap)으로 이루어진 컵 홀더로 직경 보상 플랩이 버튼과 연동된 구조이기 때문에 버튼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직경 보상 플랩 역시 위치를 변경해야 하므로 설계 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00921호가 제안된 바 있으며, 종래는 차실의 내부에 마련되며,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된 수납트레이와; 상기 수납트레이에 대해(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컵이 안착되기 위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기립 형성되어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 컵거치대와, 상기 컵거치대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수납트레이에 고정된 채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납트레이에 형성된 상측 스토퍼에 걸려 상기 컵거치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측 스토퍼에 의해 유동이 저지됨으로써 컵거치대의 유동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돌출부가 존재함에 따라 수납공간에 제약이 있으며, 디자인 품질이 낮아지고, 컴 홀더 회전각도의 제약으로 인해 과다 회전 시 컵 홀더가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회전식 가이드가 회전 후 고정되어 다양한 크기의 컵 수납이 어려우며, 특히 작은 컵 또는 음료캔의 수납 시 고정 불가로 유동 및 쓰러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용량 수납트레이의 일측면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분리되어, 별도의 컵 수납부를 마련하는 컵 홀더로써, 컵 홀더 하단에 유동방지 부재를 사용하여 상/하 및 좌/우 발생되는 유동을 개선하고 회전량을 크게 하는 차량의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의 내부에 마련되며,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부을 갖는 수납트레이와; 상기 수납트레이의 수납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컵이 안착되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로부터 기립되어 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컵거치대와; 상기 컵거치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바닥부에 안착되는 컵의 지름에 상관없이 상기 지지부가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를 상기 바닥부의 중심 측으로 회동 작동시키는 컵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 홀더를 제공한다.
상기 컵거치대의 바닥부에 기립 설치되는 지지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힌지공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바닥부에 중심 측 방향으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공을 따라 지지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컵 홀더 하단에 유동방지 부재를 사용하여 상/하 및 좌/우 발생되는 유동을 개선하고 회전량을 크게하여 견고하게 컵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거치대와 수납트레이의 걸림을 헤제시키기 위한 버튼의 위치를 회전 방향과 관계없이 변경할 수 있으므로 설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컵 홀더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챠량의 컵 홀더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챠량의 컵 홀더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챠량의 컵 홀더에서 컵거치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챠량의 컵 홀더에서 컵거치대의 분해상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컵 홀더에서 컵거치대의 각 요부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컵 홀더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의 내부에 마련되며,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부(110)을 갖는 수납트레이(100)가 구비된다.
수납트레이(100)에는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부(110)가 형성된 몸체로 콘솔 박스나 크래쉬 패드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납트레이(100)의 수납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컵이 안착되는 바닥부(210)와, 이 바닥부(210)로부터 기립되어 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20)로 이루어진 컵거치대(200)가 설치된다.
상기 바닥부(210)는 원형판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회전축이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축지지부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고, 축지지부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바닥부(210)의 저면에는 컵거치대(2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종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제외한다.
상기 컵거치대(2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바닥부(210)에 안착되는 컵의 지름에 상관없이 상기 지지부(220)가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220)를 상기 바닥부(210)의 중심 측으로 회동 작동시키는 컵지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컵거치대(200)의 바닥부(210)에 기립 설치되는 지지부(220)의 일단부에는 상기 바닥부(210)에 형성된 힌지공(2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돌기(2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20)의 타단부에는 상기 바닥부(210)에 중심 측 방향으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공(213)을 따라 지지부(220)의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2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돌기(221)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220)가 바닥부(210)의 가이드공(213)을 따라 회동 작동하면서 바닥부(210)에 안착되는 컵이 유동되지 않게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컵의 일면에 지지부(220)가 밀착하면서 수납부(110)의 내측면에 컵을 밀착시켜 유동 간격을 삭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돌기(221)의 둘레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210)의 가이드공(213)을 따라 회동하는 지지부(220)가 항상 안쪽으로 탄성 복귀할 수 있게 권선된 토션스프링(31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223)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210)의 가이드공(213)을 따라 회동하는 지지부(220)가 상기 바닥부(210)에 안착되는 컵의 크기에 따라 다단으로 회동거리를 결정할 수 있게 조절돌기(22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납트레이(100)의 수납부(110)의 하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컵지지수단의 회동돌기(221)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호커버(3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조절돌기(225)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220)의 회동 간격을 설정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공(213)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조절홈(321)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바닥부(210)와, 이 바닥부(210)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부(220) 역시 바닥부(210)의 힌지공(211)을 중심으로 회동 하는 2중 회전식 구조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컵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며 컵의 크기에 맞게 조정이 가능하여 작은 컵 수납 시에도 지지부(220)의 회동으로 간편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조절홈(321)에 인접되는 상기 수납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조절돌기(225)가 조절홈(3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리미트돌기(3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223)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조절돌기(225)의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223)에 내장된 스프링(227)에 의해 아래쪽으로 인출되게 탄성 구비되어 상기 조절돌기(225)가 조절홈(321)에 안착된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이상 단계별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220)의 회동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컵의 유동을 방지하며, 컵 수납 시 조절홈(321)과 조절돌기(225)가 다단 스토퍼 역할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컵 홀더 하단에 유동방지 부재를 사용하여 상/하 및 좌/우 발생되는 유동을 개선하고 회전량을 크게하여 견고하게 컵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거치대와 수납트레이의 걸림을 헤제시키기 위한 버튼의 위치를 회전 방향과 관계없이 변경할 수 있으므로 설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수납트레이
110: 수납부
200: 컵거치대
210: 바닥부
211: 힌지공
213: 가이드공
220: 지지부
221: 회동돌기
223: 가이드돌기
225: 조절돌기
310: 토션스프링
320: 보호커버
321: 조절홈
323: 리미트돌기

Claims (6)

  1. 차실의 내부에 마련되며, 컵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부(110)을 갖는 수납트레이(100);
    상기 수납트레이(100)의 수납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컵이 안착되는 바닥부(210)와, 이 바닥부(210)로부터 기립되어 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20)로 이루어진 컵거치대(200);
    상기 컵거치대(2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바닥부(210)에 안착되는 컵의 지름에 상관없이 상기 지지부(220)가 컵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220)를 상기 바닥부(210)의 중심 측으로 회동 작동시키는 컵지지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20)의 타단부에는 상기 바닥부(210)에 중심 측 방향으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공(213)을 따라 지지부(220)의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2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거치대(200)의 바닥부(210)에 기립 설치되는 지지부(220)의 일단부에는 상기 바닥부(210)에 형성된 힌지공(2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돌기(22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돌기(221)의 둘레에는 상기 바닥부(210)의 가이드공(213)을 따라 회동하는 지지부(220)가 항상 안쪽으로 탄성 복귀할 수 있게 권선된 토션스프링(31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223)에는 상기 바닥부(210)의 가이드공(213)을 따라 회동하는 지지부(220)가 상기 바닥부(210)에 안착되는 컵의 크기에 따라 다단으로 회동거리를 결정할 수 있게 조절돌기(22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 홀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100)의 수납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조절돌기(225)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220)의 회동 간격을 설정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공(213)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조절홈(3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321)에 인접되는 상기 수납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조절돌기(225)가 조절홈(3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리미트돌기(32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 홀더.
KR1020140174757A 2014-12-08 2014-12-08 챠량의 컵 홀더 KR10163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757A KR101637766B1 (ko) 2014-12-08 2014-12-08 챠량의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757A KR101637766B1 (ko) 2014-12-08 2014-12-08 챠량의 컵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164A KR20160069164A (ko) 2016-06-16
KR101637766B1 true KR101637766B1 (ko) 2016-07-07

Family

ID=5635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757A KR101637766B1 (ko) 2014-12-08 2014-12-08 챠량의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7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1127A1 (en) * 2003-07-03 2005-01-06 Falk Schaal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1127A1 (en) * 2003-07-03 2005-01-06 Falk Schaal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164A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KR101144383B1 (ko) 차량의 컵 홀더
JP6001579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721657B2 (ja) カップホルダ
US20190315287A1 (en) Cup holder structure with integrated electronic device holder
JP2005297956A (ja) ドリンクホルダ
US11117506B2 (en) Rotary holder device
GB2553071A (en) Container holder
JP5453160B2 (ja) カップホルダー
JP5234337B2 (ja) カップホルダー
KR102103599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1637766B1 (ko) 챠량의 컵 홀더
CN110871729B (zh) 汽车用杯架
JP5120686B2 (ja) 車両用収容物保持装置
KR20090040175A (ko) 컵 홀더
KR102400566B1 (ko)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WO2011155167A1 (ja) カップホルダ
JP4338262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KR200412704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6202296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及び、車両用カップホルダの収容構造
KR20240039805A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2020050322A (ja) 収納ホルダ
JP5991057B2 (ja) カップホルダ
KR20140074439A (ko) 차량용 가변형 컵홀더 장치
JPH0872600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