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177B1 - 차량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177B1
KR102395177B1 KR1020200137634A KR20200137634A KR102395177B1 KR 102395177 B1 KR102395177 B1 KR 102395177B1 KR 1020200137634 A KR1020200137634 A KR 1020200137634A KR 20200137634 A KR20200137634 A KR 20200137634A KR 102395177 B1 KR102395177 B1 KR 102395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liding plate
cup
vehicl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321A (ko
Inventor
김유철
김해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3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2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4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용 컵홀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암레스트에 마련되는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 컵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내측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하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컵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상부홀더를 구비하는 홀더부; 상기 하부홀더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드홈에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홀더의 내측에 높이조절 구조물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컵홀더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편의장치 중 하나로, 탑승자가 차량 실내 공간에서 마시던 음료 컵이나 패트병을 일시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차량용 컵홀더는 통상적으로 콘솔에 마련되어 컵을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원통형 홀 형상으로 설계된다.
하지만, 대형차량이나 특수차량의 경우 러기지트림(Luggage trim)이나 도어트림(Door trim)에도 컵홀더를 적용하여 공간활용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가 도어트림에 마련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도어트림(30)은 내측의 일단부에 암레스트(2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암레스트(20)에는 홀 형태로 컵홀더(1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컵홀더(10)는 대부분 미리 설계된 규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홀더(10)에 사이즈가 큰 컵(C1)을 삽입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컵(C1)과 도어트림(30) 사이의 공간(S)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수월하게 컵(C1)을 잡아 인출할 수 있는 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컵과 같은 사이즈가 작은 컵(C2)을 삽입 시 컵(C2)을 잡을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컵(C2)을 잡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컵홀더(10)의 깊이를 줄일 경우 길이가 긴 음료 용기 또는 사이즈가 큰 컵(C1)이 컵홀더(10)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아 차량 운행 시 컵홀더(10)로부터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일본 등록특허 JP 4484584 B2 (DAIHATSU MOTOR CO LTD) 2010.04.0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는 컵의 사이즈에 따라 컵이 거치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컵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암레스트에 마련되는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 컵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내측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하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컵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상부홀더를 구비하는 홀더부; 상기 하부홀더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드홈에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홀더와 상부홀더는 상기 컵이 수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통되고, 상기 상부홀더의 하단부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지지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하부홀더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슬라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힌지핀을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과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을 탄성지지하는 복귀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이 설치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설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버튼의 상부면과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부면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은, 소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상기 체결부가 힌지핀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힌지핀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의 끝단이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고정접촉부; 및 상기 고정접촉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가 회동 시 회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회동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접촉부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접촉부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홈은 하측 방향으로 크기가 증가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는 컵의 사이즈에 따라 컵이 거치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컵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는 도어트림의 디자인을 변경하지 않고 컵홀더의 구조만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이용가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는 탑승자가 제약된 공간 내에서 컵을 사용하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에 큰 사이즈의 컵이 삽입 및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에 작은 사이즈의 컵이 삽입 및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에 구비된 높이조절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에 구비된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슬라이드홈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에 구비된 높이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에 구비된 슬라이딩플레이트가 높이조절부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이즈가 작은 컵이 삽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에 구비된 높이조절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에 구비된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슬라이드홈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1)는 도어트림(30)의 내측 일단부에 돌출 형성된 암레스트(20)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20)는 탑승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암레스트(20)에 형성된 컵홀더(1)는 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컵홀더(1)는 컵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홀더부(100)와, 홀더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200)와,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100)는 컵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하부홀더(110)와, 하부홀더(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컵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상부홀더(1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하부홀더(110)와 상부홀더(120)는 컵이 수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하부홀더(110)는 내측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슬라이드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홈(112)은 후술할 높이조절부(300)의 체결부(330)가 체결되도록 높이조절부(300)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슬라이드홈(112)은 하부홀더(110)의 길이 방향인 깊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개수를 선택적으로 증감시켜 슬라이딩플레이트(200)를 통한 높이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홈(112)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하는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홈(112) 및 높이조절부(300)를 통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홀더(120)는 중심이 중공된 형태로 마련되어 하부홀더(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홀더(120)의 하단부 내측에는 지지턱(12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지지턱(122)은 하부홀더(110)에 마련된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지지턱(122)은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상부홀더(120)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지지턱(122)이 상부홀더(120)의 최하단부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턱(122)의 형성 위치를 조절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상부홀더(120) 측에 위치되게 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플레이트(200)는 하부홀더(110)에 마련되어 하부홀더(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슬라이딩플레이트(200)는 컵을 지지하도록 소정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높이조절부(300)가 설치되도록 설치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설치부(210)는 높이조절부(300)에 마련된 버튼(320)이 설치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버튼(320)의 상부면과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상부면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설치부(310)에는 후술할 버튼(320)의 연장부(322)가 관통하도록 관통공(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플레이트(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가 상부홀더(120)의 지지턱(122)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300)는 슬라이드홈(112)에 체결되어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부(300)는 슬라이딩플레이트(200)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200)에 결합되는 버튼(320)과, 버튼(320)에 힌지 결합되는 체결부(330) 및 버튼(320)을 탄성지지하는 복귀 스프링(340)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310)는 하부홀더(1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탄성부재(310)는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하측으로 이동 시 압축될 수 있으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플레이트(2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코일 스프링(310)이 압축되거나 탄성복원 동작 시 원위치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홀더(1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200)에 코일 스프링(310)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버튼(320)은 슬라이드홈(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도록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설치부(210)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튼(320)은 누름부(321)와, 누름부(32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22)를 구비할 수 있다.
누름부(321)는 소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누름부(321)의 상부면은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320)의 상부면이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는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컵을 거치하거나 컵을 통해 슬라이딩플레이트(200)를 가압 시 임의적으로 버튼(320)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연장부(322)는 슬라이딩플레이트(200) 즉, 설치부(210)의 관통공(212)을 통해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연장부(322)의 끝단은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하측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하측에 노출된 연장부(322)의 끝단에는 체결부(330)가 힌지핀(332)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33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힌지핀(332)에 의해 연장부(32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슬라이드홈(112)에 체결되도록 마련된다. 이 체결부(330)는 힌지핀(332)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330)가 결합되는 연장부(332)의 끝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323)가 마련될 수 있다.
절개부(323)는 체결부(330)와 면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고정접촉부(324)와, 고정접촉부(324)로부터 경사지게 마련되는 회동접촉부(325)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접촉부(324)는 체결부(330)가 힌지핀(332)에 의해 연장부(3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면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동접촉부(325)는 고정접촉부(324)로부터 상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330)가 힌지핀(332)을 기준으로 회동접촉부(325) 방향으로만 회동될 수 있으며, 회동접촉부(325)는 체결부(330)의 회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330)는 힌지핀(332)을 기준으로 고정접촉부(324)와 회동접촉부(325) 사이에서만 회동될 수 있으며, 고정접촉부(324)와 접촉된 상태에서는 체결부(330)가 고정접촉부(324)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동접촉부(325)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이 제한되게 된다. 이러한 체결부(330)의 힌지결합 구조는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으로서,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복귀 스프링(340)은 버튼(320)과 슬라이딩플레이트(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복귀 스프링(340)은 누름부(321)와 설치부(210) 사이에 개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복귀 스프링(340)은 버튼(320)의 가압 시 압축되었다가 버튼(320)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버튼(320)을 원위치로 복귀 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복귀 스프링(340)은 협소한 공간에서 버튼(32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접시 스프링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차량용 컵홀더(1)를 통해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에 대하여 도 1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하부홀더(110)와 상부홀더(120) 사이에 마련된 상태에서 사이즈가 큰 컵(도 6의 'C1' 참조)을 컵홀더(1)에 거치시킬 경우, 상부홀더(120)에만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안정하게 거치되게 된다. 이에,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1)을 통해 슬라이딩플레이트(200)를 가압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도 6은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에 구비된 높이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가압됨에 따라 탄성부재(3130)를 압축하며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높이조절부(300)의 체결부(330)는 힌지핀(332)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되며 슬라이드홈(112)을 빠져나오게 된다.
이어서,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계속하여 하측으로 이동 시 체결부(330)가 빠져나온 슬라이드홈(112)의 하측에 마련된 슬라이드홈(112)에 위치하는 경우 슬라이드홈(112)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슬라이드홈(112)의 하단부에 안착되어 체결된다. 이때, 탄성부재(310)에 의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받게되더라도 체결부(330)가 고정접촉부(324)에 의해 회동이 제한됨에 따라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슬라이드홈(112)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사이즈가 큰 컵(C1)이 안정적으로 컵홀더(1) 내에 삽입되어 거치되도록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의 슬라이드홈(112)까지 슬라이딩플레이트(200)를 위치시켜 컵(C1)을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컵(C1)을 통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200)를 가압 시 버튼(320)의 상부면은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함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플레이트(200)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200)를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탑승자가 버튼(320)을 누른 후 최상단까지 슬라이딩플레이트(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슬라이딩플레이트(20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버튼(320)을 가압하면 누름부(321)가 복귀 스프링(340)을 압축시키며 하측으로 일정 구간 이동하며 연장부(322)가 함께 이동한다. 이때, 연장부(322)에 힌지 결합된 체결부(330)의 일단이 함께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힌지핀(332)을 기준으로 체결부(330)의 타단이 슬라이드홈(112)의 경사진 방향(상측방향)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이에, 체결부(330)는 슬라이드홈(112)을 벗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탄성부재(31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시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용이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이즈가 작은 컵이 삽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상부홀더(120)에 지지된 상태로 마련된 경우 사이즈가 작은 컵(C2)을 컵홀더(1)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부홀더(120)를 통해서만 컵(C2)을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이즈가 작은 컵(C2)의 상부가 일정부분 노출되어 탑승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컵(C1, C2)의 사이즈에 따라 컵홀더(1) 내에 마련된 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컵(C1, C2)을 삽입 및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차량용 컵홀더 100 : 홀더부
110 : 하부홀더 112 : 슬라이드홈
120 : 상부홀더 122 : 지지턱
200 : 슬라이딩플레이트 300 : 높이조절부
310 : 탄성부재 320 : 버튼
330 : 체결부 340 : 복귀 스프링

Claims (9)

  1. 암레스트에 마련되는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
    컵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내측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하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컵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상부홀더를 구비하는 홀더부;
    상기 하부홀더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드홈에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하부홀더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슬라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힌지핀을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컵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와 상부홀더는 상기 컵이 수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통되고,
    상기 상부홀더의 하단부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지지턱이 마련되는 차량용 컵홀더.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을 탄성지지하는 복귀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차량용 컵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이 설치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설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버튼의 상부면과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부면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컵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버튼은,
    소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상기 체결부가 힌지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차량용 컵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힌지핀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의 끝단이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고정접촉부; 및
    상기 고정접촉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가 회동 시 회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회동접촉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컵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접촉부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접촉부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량용 컵홀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은 하측 방향으로 크기가 증가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컵홀더.
KR1020200137634A 2020-10-22 2020-10-22 차량용 컵홀더 KR10239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634A KR102395177B1 (ko) 2020-10-22 2020-10-22 차량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634A KR102395177B1 (ko) 2020-10-22 2020-10-22 차량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321A KR20220053321A (ko) 2022-04-29
KR102395177B1 true KR102395177B1 (ko) 2022-05-10

Family

ID=8142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634A KR102395177B1 (ko) 2020-10-22 2020-10-22 차량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1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4735A (ja) * 2004-05-17 2005-11-24 Toyota Boshoku Corp カップホルダ
CN104210406A (zh) * 2014-09-30 2014-12-1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容腔深度可调的杯托总成、相应的汽车副仪表架及汽车
US20180029514A1 (en) * 2016-08-01 2018-0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up holder base heigh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4735A (ja) * 2004-05-17 2005-11-24 Toyota Boshoku Corp カップホルダ
CN104210406A (zh) * 2014-09-30 2014-12-1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容腔深度可调的杯托总成、相应的汽车副仪表架及汽车
US20180029514A1 (en) * 2016-08-01 2018-0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up holder base h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321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EP1627770B1 (en) Cup holder for vehicle
KR100668882B1 (ko) 차량용 컵 홀더
US7380762B2 (en) Container holder of a vehicle
US20100090079A1 (en) Cupholder for an automobile
US5598999A (en) Device for holding two drink containers in central console of motor vehicle
KR0139849B1 (ko) 음료수 용기 홀더
KR10060013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20200025584A (ko) 컵홀더를 갖는 콘솔
KR20040014149A (ko) 컵 홀더 장치
KR102395177B1 (ko) 차량용 컵홀더
KR100407235B1 (ko) 음료 용기용 홀더
KR20010050687A (ko) 음료 용기용 고정 장치
JP2002104052A (ja) 小物収納装置
KR20210123820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홀더
KR20100049801A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JP4407375B2 (ja) カップホルダ
KR101844916B1 (ko) 자동차 도어 트림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20020026712A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 장치
JP4679008B2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KR20060070908A (ko) 컵 홀더가 구비된 암 레스트
KR102114067B1 (ko) 차량용 컵홀더
US8720840B2 (en) Container-supporting apparatus
KR0129058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