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849B1 - 음료수 용기 홀더 - Google Patents

음료수 용기 홀더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849B1
KR0139849B1 KR1019950042698A KR19950042698A KR0139849B1 KR 0139849 B1 KR0139849 B1 KR 0139849B1 KR 1019950042698 A KR1019950042698 A KR 1019950042698A KR 19950042698 A KR19950042698 A KR 19950042698A KR 0139849 B1 KR0139849 B1 KR 013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pivot
pivot arm
holder
hold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840A (ko
Inventor
피셔 하인쯔
나인하우스 울리히
셴크 베른트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피셔
피서베르캐 아르투르 피셔 게엠베하 운트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피셔, 피서베르캐 아르투르 피셔 게엠베하 운트코 카게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피셔
Publication of KR96002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6Vehicle attached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 or bott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음료수 용기를 위한 홀더(10)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외측으로 끌려나올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18)를 가지고, 이 슬라이드 부재(18)에 장착된 피봇암(54)은 외측으로 끌려나올 때 횡방향 외부로 피봇되고, 또 피봇암(54)은 슬라이드 부재(18)의 잘래낸 부분과 함께 음료수 용기용 삽입구(58)를 형성하고, 또한 지지부(56)는 슬라이드 부재(18)가 외측으로 끌려나올 때 아래로 피봇된다. 삽입되어 있는 크기가 다른 음료수 용기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부(56)가 피봇암(54)의 피봇갓의 절반만큼 피봇암(18)에 의해 외측으로 피봇되며 강제로 제어될 것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음료수 용기 홀더
제1도는 자동차의 계기판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홀더의 사시도.
제2도는 피봇암 및 지지부가 외부로 피봇이동 되어 있고, 제1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홀더의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로부터 피봇암 및 지지부가 내측으로 피봇이동된 슬라이드 부재의 도면.
제4도는 제2도에 의한 슬라이드 부재의 저면도.
제5도는 제3도에 의한 슬라이드 부재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홀더 18 : 슬라이더 부재
40 : 유체 댐핑 소자 54 : 피봇암
56 : 지지부 66, 67 : 트러니언
76 : 피봇축 81, 82 : 피봇핀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가능하며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모양을 가지고 컵, 비커(beaker), 음료수, 캔 등과 같은 음료수 용기를 위한 홀더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형식의 홀더는 미국 특허 US-PS 49 53 771호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홀더는 자동차의 계기판에 끼워맞추어지도록 제공되어 있다.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홀더는 계기판내에 들어갈 수 있고, 그 전면은 폐쇄되어 계기판과 동일면을 이루고, 다만 손잡이 수단이 승객실 안으로 돌출한다. 공지된 홀더는 서랍처럼 계기판에서 개방위치로 끌려 나올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를 가지고, 이 슬라이드 부재의 후방부가 항상 계기판에 걸린채로 남아 있는다. 슬라이드 부재에 장착된 2개의 피봇암은 슬라이드 부재가 개방되면 공통의 스프링에 의해 서로 멀리 외측으로 횡방향으로 피봇된다. 피봇암의 전방 영역은 원호로서 이동한다. 피봇암이 외측으로 피봇되면, 피봇암은 슬라이드 부재의 원호형의 요부와 함께 한 번에 하나의 음료수 용기용 삽입구를 형성한다.
슬라이드 부재가 계기판 안으로 밀리면, 피봇암은 슬라이드 부재를 수용하는 계기판 내의 구멍의 측면모서리에 닿게 되고, 내부쪽으로 가압되어서 슬라이드 부재를 지나 횡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게 된다. 피봇암은 슬라이드 부재와 함께 계기판내에 들어가있다. 피봇암의 횡방향 피봇 능력에 의해 홀더가 필요로 하는 설치폭이 감소된다.
공지된 홀더에서 다른 종류의 컵, 비커, 또한 음료수캔을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홀더는 슬라이드 부재상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를 가지고, 슬라이드 부재가 외측으로 끌려나오면, 스프링력의 도움으로 지지부는 자신의 무게 때문에 아래로 피봇된다. 슬라이드 부재가 계기판내로 밀릴때에는 상기 지지부가 계기판내의 슬라이드 부재용 구멍의 하부모서리에 닿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공지된 홀더가 필요로 하는 설치높이가 감소된다.
공지된 홀더의 단점은 지지부의 폭이 홀더의 설치폭에 의해 제한되고, 또 지지부가 홀더내에 놓인 음료수 용기아래에서 약간만 돌출한다는 것이다. 그결과, 홀더내에 놓인 음료수 용기의 지지는 실제적인 음료수 용기 특히 용기의 직경에 의존하고, 모든 경우에 충분히 고정시키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주행중에 자동차가 진동하는 경우 또는 홀더에 음료수 용기를 부주의하게 놓는 경우, 음료수 용기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초기에 언급한 방식의 홀더를 더욱 개량하여 형상 및 치수가 다른 용기 특히 직경 또는 횡방향 치수가 다른 삽입된 음료수 용기를 안전하게 보유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피봇암과 함께 횡방향 외측으로 암보다 작은 각으로 피봇하는 지지부에 의해 삽입된 음료수 용기의 중심맞추기 및 베이스부의 지지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홀더에서, 지지부는 삽입된 음료수 용기를 항상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삽입구에서 이동가능한 여유를 갖는 소직경의 음료수 용기도 삽입구에서의 그 위치에 관계없이 지지부에서 안전하게 세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프링 소자는 버튼 등과 같은 것의 작용에 의해 잠금이 풀린 후에 슬라이드 부재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부재는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며 안으로 밀린다. 인장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은 스프링소자로서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유익한 형태에서, 스프링소자는 스크롤 스프링(scroll spring)이다. 이것은 스트립의 형태로 된 스프링 소자이며, 이 스프링의 한 단부는 탄성 때문에 둥글게 감겨있고, 이에 의해 인장력을 발휘한다. 스크롤 스프링은 그 스프링력이 실제로 스프링의 행정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부재의 개방 운동은 공지되어 있는 유체댐핑소자(fluid damping element)에 의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형태에서, 피봇암은 스프링 소자에 의해 횡방향 외측으로 피봇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홀더의 지지부는 양호하게도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강제로 횡방향으로 안내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가 외부로 끌려나올 때 피봇암과 함께 횡방향 외측으로 피봇하고, 슬라이드 부재가 내부로 밀릴 때 다시 복귀이동한다.
지지부의 피봇각은 피봇암의 피봇각보다 작다. 양호한 것은, 지지부의 피봇각이 피봇암의 피봇각의 절반이므로 지지부가 외부로 피봇이동될 때 삽입구 아래에서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는 것이다.
양호한 형태에서, 본 발명의 홀더는 서로 가까이에 2개의 음료수 용기를 놓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홀더는 슬라이드 부재가 외부로 끌려나올 때 슬라이드 부재의 양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며 외측으로 피봇되는 2개의 피봇암 및 2개의 지지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호한 형태에서 홀더는 외부로 끌려나올 수 있는 피봇암 및 지지부와 함께 슬라이드 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가진다. 이에 의하여, 예로서 자동차의 계기판, 도어라이닝 또는 암 레스트(arm rest)의 구멍에 설치될 수 있는 완전한 구조 장치가 달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양호한 실시예를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홀더(10)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계기판(14)에 설치되는 평평한 하우징(12)을 가진다. 이 하우징(12)은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된 부품이다.
하우징(12)은 제1도에 하나만 도시된 나사(16)에 의해 계기판(14)의 안쪽에 끼워져 있다.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성형품으로서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슬라이드 부재(18)는 하우징(12)에서 서랍처럼 외부로 끌려나올 수 있도록 안내를 받는다. 이를 위해서, 슬라이드 부재(18)는 하우징(12)의 측벽(24)에 있는 슬라이드 홈(22)에 장착되는 2개의 횡방향 돌출한 슬라이드 레일(20)을 가진다.
슬라이드 부재(18)가 끌려나올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부재(18)는 상부측으로 돌출하는 2개의 러그(26)를 가지고, 상기 러그(26)는 상부벽(30)에서 양단부가 폐쇄된 종방향 슬롯(28)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부재(18)의 변위를 제한한다. (제1도에서는 좌측러그(26)만이 좌측 종방향 슬롯(28)에 결합된 것을 볼 수 있다.)
판금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스크롤 스프링(34)의 롤부(32)는 하우징(12)의 상부벽(30)에서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된 리세스(36)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크롤 스프링(34)의 감기지 않은 스트립 단부(38)는 리세스(36)에서 도시되지 않은 슬롯을 통과하여 하우징(12)의 상부벽(30)을 따라서 유체댐핑소자(40)까지 연장하고, 상기 댐핑소자(40)는 종방향 슬롯(28)을 통해 하우징(12)의 상부벽(30)에 결합되고 또 슬라이드 부재(18)와 결합된다. 스크롤 스프링(34)은 슬라이드 부재(18)를 하우징(12)밖으로 제1도에 도시된 연장위치까지 끌어당긴다.
유체 댐핑소자(40)는 하우징(12)의 상부벽(30)에 있는 터널형 종방향 가이드(42)에서 안내를 받는다. 유체 댐핑소자(40)의 유체 댐프축에 있는 기어(44)는 종방향 가이드(42)의 치형 래크(46)와 맞물리고 이런 방법으로 슬라이드 부재(18)의 운동을 감쇠한다.
슬라이드 부재(18)의 전면에 장착된 덮개부재(50)는 슬라이드 부재(18)가 하우징(12)내로 들어갈 때 계기판(14)과 동일면을 이루며 닫힌다. 덮개보재(50)에 배치된 버튼(52)에 의해 슬라이드 부잭(18)가 잠금이 해제되고, 스크롤 스프링(34)에 의해 하우징(12) 및 계기판(14)밖으로 나오며 제1도에 도시된 개방위치로 된다.
슬라이드 부재(18)에 장착된 2개의 피봇암(54)은 슬라이드 부재(18)가 개방되면 횡방향 외측으로 피봇된다.
피봇암(54)의 전방영역은 원호 모양이다. 슬라이드 부재(18)에 있는 원형의 잘라낸 부분(cut-away-portion)(57)과 함께 피봇암(54)은 각 경우마다 음료수 용기를 위한 삽입구(58)를 형성한다.
삽입구(58) 사이에는 슬라이드 부재(18)가 그릇모양의 재떨이(60)를 가진다.
게다가, 슬라이드 부재(18)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지지부(56)는 슬라이드 부재(18)가 끌려나올 때 하향 및 횡방향 외부로 피봇된다. 상기 지지부(56)의 외부 피봇이동에 의해 각 지지부(56)의 착석면(setting-down surface)(62)은 각각의 삽입구(58) 아래에 있는 중앙으로 이동한다. 착석면(62)에는 원형돌출부(64)가 있고, 이 돌출부(64)에 본 발명에 의한 홀더(10)내에 삽입된 음료수 용기가 세워진다.
본 발명에 의한 홀더(10)의 피봇이동 메카니즘은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고하여 이하에 설명되어 있고, 제2도 및 제4도에 있는 피봇암(54)은 외측으로 피봇되어 있고, 지지부(56)는 하향 및 외향으로 피봇되어 있다. 제3도 및 제5도에서, 피봇암(54)은 내향으로 피봇되어 있고, 지지부(56)는 상향 및 내향으로 피봇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슬라이드 부재(18)의 하부벽은 생략되어 있다.
피봇암(54)은 슬라이드 부재(18)의 후방영역내로 연장하고, 여기서 암은 구멍(68)에 끼워지는 트러니언(trunnion)(66,67)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멍(68)은 슬라이드 부재(18)의 상부벽(30) 및 하부벽에 설치되어 있다. 나선형 인장스프링(70)은 피봇암(54)의 후방 단부(72)들을 다함께 끌어당기고, 이에 의해 피봇암(54)의 전방부가 슬라이드 부재(18)의 외측으로 피봇되는 효과를 가진다. 슬라이드 부재(18)가 안으로 밀리면, 피봇암(54)의 외측면에 있는 경사면(74)이 하우징(12)의 측벽(24)(제1도)에 닿게 되고, 이에 의해 내향으로 피봇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경사면들을 슬라이드 부재(18)를 지나 횡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제5도)
지지부(56)는 슬라이드 부재(18)에서 수직축 및 수평축에 대하여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즉, 지지부(56)들은 슬라이드 부재(18)의 후방영역에서 슬라이드 부재(18) 및 피봇암(54)에 대해 대략 횡단하여 연장하며 수평으로 배치된 피봇축(76)을 가진다. 슬라이드 부재(18)의 내측면을 가리키는 피봇축(76)의 단부는 베어링슈(bearing shoe)(78)에 장착되고, 이 베어링슈(78)가 지지부(56)를 제3도에 도시한 상부위치에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하부위치로 피봇이동이 가능하게 만든다.
지지부(56)는 자신의 중량에 의해 아래로 피봇한다. 지지부(56)는 하우징(12)의 하부모서리(80)(제1도)에 지탱되고, 이 하부 모서리(80)는 지지부(56)의 하향 피봇이동을 제한하고 또 슬라이드 부재(18)가 하우징(12)내로 들어갈 때 지지부(56)를 상향으로 떠민다.
지지부(56)를 횡방향으로 피봇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베어링슈(78)는 하향돌출핀(81) 및 상향돌출핀(82)을 가지고, 상기 핀(81, 82)은 동일한 축선상에서 슬라이드 부재(18)의 상부벽(30)에 있는 구명(84)과 하부벽에 있는 구멍(도시안됨)에 결합된다. 베어링슈(78)에서 멀리 떨어진 피봇축(78)의 단부는 2개의 페그(peg : 86, 88)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 상기 피봇축(76) 단부는 피봇암(54)의 피봇이동중에 피봇암(54)과 함께 이동하여서 지지부(56)를 자신의 횡방향 피봇운동으로 구동한다. 피봇암(54)의 트러니언(66, 67)과, 피봇축(76)을 구동하는 피봇암(54)의 구동페그(86, 88)에 관하여 지지부(56)의 피봇핀(81, 82)을 배치함으로써 지지부(56)의 피봇각은 피봇암(54)의 피봇각의 절반이 된다.
피봇암(54)은 트러니언(66)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짧은 리세스(90)를 가지고, 이 리세스(90)를 통해 지지부(56)의 상부 피봇핀(82)이 지나간다. 상기 리세스(90)는 슬라이드 부재(18)내에 장착된 지지부(56)의 피봇핀(82)에 관하여 피봇암(54의 피봇운동을 가능하게 만든다. 리세스(90)는 베어링슈(78)를 위한 공간을 둔 커다란 잘라낸 부분(92)에 합체되어 있다. 피봇암(54)의 저면에 있는 횡단홈(94)은 지지부(56)의 피봇축(76)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Claims (10)

  1. 서랍처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장착된 피봇암은 슬라이드 부재가 끌려나올 때 외축으로 피봇하여 슬라이드 부재를 지나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하여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와 함께 음료수 용기용 삽입구를 형성하고, 또한 슬라이드 부재가 외측으로 끌려나올 때 아래로 피봇되는 음료수 용기용 지지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된 자동체에서의 음료수 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지지부(56)는 외부로 끌려나올 때 피봇암(54)의 피봇각보다 작은 각으로 횡방향 외부로 피봇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18)는 스프링소자(34)에 의해 개방위치로 밀려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소자는 스크롤 스프링(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는 슬라이드 부재(18)의 개방운동을 감쇠하는 유체 댐핑소자(4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암(54)은 스프링소자(70)에 의해 외측으로 피봇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6)는 슬라이드 부재(18)에 의해 횡방향으로 피봇되어 강제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6)는 피봇축(76)에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봇축(76)은 피봇암(54)에 배치된 구동페그(86, 88)와 피봇암(54)의 트러니언(66, 67)에서 일정거리에 배치된 피봇핀(81, 82)을 경유하여 피봇암(54)에 관하여 피봇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6)는 피봇암(54)의 피봇각의 절반만큼 피봇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9. 제1항에 있어서, 직경상에서 대향방향으로 피봇이동이 가능한 2개의 피봇암(54)과, 하나의 피봇암(54)에 각각 관련된 2개의 지지부(5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18)는 자동차에 설치하도록 제공되어 있는 하우징(12)에서 외측으로 끌려나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KR1019950042698A 1994-12-16 1995-11-22 음료수 용기 홀더 KR0139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44955A DE4444955A1 (de) 1994-12-16 1994-12-16 Halter für Getränkebehälter
DEP4444955.0 1994-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840A KR960021840A (ko) 1996-07-18
KR0139849B1 true KR0139849B1 (ko) 1998-07-01

Family

ID=653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698A KR0139849B1 (ko) 1994-12-16 1995-11-22 음료수 용기 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92658A (ko)
EP (1) EP0716952B1 (ko)
JP (1) JP2664022B2 (ko)
KR (1) KR0139849B1 (ko)
DE (2) DE4444955A1 (ko)
ES (1) ES212495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7089A (en) * 1994-01-11 1999-04-27 Lescoa Inc Container holder
JPH10236210A (ja) * 1997-02-27 1998-09-08 Nifco Inc カップホルダ
US5839710A (en) * 1997-05-05 1998-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Concealable variable size vehicle container holder with flexible band
DE19825795B4 (de) * 1997-06-10 2009-05-20 Volkswagen Ag Vorrichtung in der Form einer Kassette zur Aufnahme und/oder Halterung von Behältnissen
JPH1111204A (ja) * 1997-06-19 1999-01-19 Toyoda Gosei Co Ltd カップホルダー
US6059244A (en) * 1998-03-03 2000-05-09 Collins & Aikman Plastics, Inc. Convertible container holding assembly
US5876007A (en) * 1998-05-08 1999-03-02 The Leslie Metal Arts Co., Inc. Container holder
DE19821313C2 (de) * 1998-05-13 2000-10-19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r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in einem Kraftwagen
US7134714B1 (en) * 1998-06-22 2006-11-14 Responsible Me, Inc. Highchair helper improvements
US6010047A (en) * 1998-10-10 2000-01-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pact dual arm container holder
JP3533564B2 (ja) * 1999-02-22 2004-05-3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カップホルダー
DE19944817A1 (de) * 1999-09-18 2001-03-22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S6161896A (en) * 1999-10-13 2000-12-19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utomotive vehicle rear seat storage system
DE10016463A1 (de) * 2000-04-01 2001-10-11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S6565137B1 (en) * 2000-09-13 2003-05-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able top lift assembly for center stack
US6349913B1 (en) 2000-10-06 2002-02-26 Collins & Aikman Products Co. Cup holder having a vertically oriented drawer
US6431516B1 (en) * 2000-12-14 2002-08-13 B E Aerospace, Inc. Hot cup apparatus with locking device
DE10109119A1 (de) * 2001-02-24 2002-09-05 Fischer Artur Werke Gmbh Getränkehalter
US6808097B2 (en) * 2001-03-23 2004-10-2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Pivot down container holder and tray combination
JP4566452B2 (ja) * 2001-05-18 2010-10-20 株式会社ニフコ 車載用カップホルダー
ITRM20020139U1 (it) * 2002-08-02 2004-02-03 Aviointeriors S P A Portabicchieri estraibile per poltrona, in particolare per poltrona da aereo per classe economica.
KR100535596B1 (ko) * 2003-10-02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식 컵지지대를 가지는 컵홀더
US7121517B2 (en) * 2004-08-20 2006-10-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Cup holder assembly with sliding partial ring
DE202005006077U1 (de) * 2005-04-15 2005-06-30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Becherhalter
FR2924316B1 (fr) * 2007-11-29 2009-12-25 Faurecia Interieur Ind Porte-gobelet compact a facade escamotable
DE102008048809B3 (de) * 2008-09-24 2010-04-15 F.S. Fehrer Automotive Gmbh Trinkgefäßhalter
US9248770B2 (en) * 2013-04-08 2016-02-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aptable bin with rotating cup holder
US9072372B2 (en) * 2013-07-08 2015-07-07 Eugene B. Ashley Hanging tray device
DE102014115050A1 (de) * 2014-10-16 2016-04-2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efäßhalt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10328833B2 (en) 2017-04-13 2019-06-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sole drawer with delayed articulating cup holders
DE102018207510A1 (de) 2018-05-15 2019-11-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blage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S11219324B2 (en) * 2020-04-07 2022-01-11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Cupholder assembly and tabl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7149E (fr) * 1964-07-15 1966-06-17 Procédé et dispositif applicables aux conduits de fumée et installations de ventilation pour purifier les gaz et assainir l'air pollué
US4783037A (en) * 1987-08-10 1988-11-08 Prince Corporation Container holder for a vehicle
US4953771A (en) * 1989-02-28 1990-09-04 Lescoa, Inc. Drawer mounted cup holder
US5014956A (en) * 1989-03-02 1991-05-14 Nk Innovations, Inc. Adjustable drink holder
US5096152A (en) * 1990-01-22 1992-03-17 Lear Seating Corporation Armrest compartment with cupholder
US5228611A (en) * 1990-05-11 1993-07-20 Toyoda Gosei Co., Ltd. Container holder
US5072989A (en) * 1990-09-17 1991-12-17 Prince Corporation Pivoted arm cupholder
JP2792348B2 (ja) * 1992-06-25 1998-09-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DE4224700A1 (de) * 1992-07-25 1994-01-27 Euwe Eugen Wexler Gmbh Haltevorrichtung für Getränkebehälter
US5284314A (en) * 1992-10-13 1994-02-08 Davidson Textron Inc. Modular dual mug and cup holder
SE9302281L (sv) * 1993-07-02 1995-01-03 Saab Automobile Hållare för vätskebehållare
US5330146A (en) * 1993-12-07 1994-07-19 Prince Corporation Container holder
DE4429515C1 (de) * 1994-08-19 1995-11-16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m Halten von zwei Getränkebehältnissen in der Mittelkonsole eines Kraftfahrzeugs
DE9420483U1 (de) * 1994-12-22 1995-02-16 Paulmann & Cron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Getränkedo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16766A (ja) 1996-08-27
KR960021840A (ko) 1996-07-18
EP0716952A2 (de) 1996-06-19
EP0716952B1 (de) 1998-10-21
DE4444955A1 (de) 1996-06-20
EP0716952A3 (de) 1996-09-04
JP2664022B2 (ja) 1997-10-15
US5692658A (en) 1997-12-02
ES2124953T3 (es) 1999-02-16
DE59503985D1 (de) 199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849B1 (ko) 음료수 용기 홀더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KR100322919B1 (ko) 차량용회전인출식용기홀더조립체
US5628486A (en) Conceal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EP0747260B1 (en) Cupholder for confined space
JP4895550B2 (ja) 自動車用飲料容器ホルダー
US5297709A (en) Container holder
US5718405A (en) Cup holder
KR10060013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US20020050501A1 (en) Cup holding device for vehicle
KR20010020958A (ko) 음료 용기 고정 장치
US5941491A (en) Holding device for drinks containers
KR940001141Y1 (ko) 컵 수납장치
KR200227359Y1 (ko) 포켓형컵홀더
KR100440860B1 (ko) 자동차의 콘솔
KR0153197B1 (ko) 자동차용 음료수 홀더 어셈블리
JP3049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0121359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H10324188A (ja) 容器ホルダ
KR10033090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427214B1 (ko) 차량의 센터콘솔
KR0133546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콘솔박스
JP2576748Y2 (ja) 缶ホルダ
JPH079905A (ja) カップホルダ
KR0135673Y1 (ko) 콘솔박스 내장형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