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141Y1 - 컵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컵 수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1141Y1 KR940001141Y1 KR2019910011980U KR910011980U KR940001141Y1 KR 940001141 Y1 KR940001141 Y1 KR 940001141Y1 KR 2019910011980 U KR2019910011980 U KR 2019910011980U KR 910011980 U KR910011980 U KR 910011980U KR 940001141 Y1 KR940001141 Y1 KR 9400011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cup
- piece
- guide plate
- cup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 컵 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의 (a)(b)는 본 고안 중 컵 수납 케이스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컵 수납장치의 열림상태 측단면도.
제5도의 (a)(b)는 본 고안 장치에 닫힌상태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
제6도의 (a)(b)는 본 고안 장치에 컵을 안착시킨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체 10 : 외부 케이스
11 : 가이드홈 12 : 안내홈
13 : 래크 16 : 잠금부재
17 : 걸림턱 20 : 안내체
21 : 돌편 222 : 탄성부재
23 : 원통체 24 : 안내돌기
25 : 오일댐퍼 26 : 안내편
27,28,43,521 : 걸림편 30,41,42 : 걸림홈
31,453 : 걸림고리 40 : 컵 수납 케이스
44,47,49,521 : 힌지부 45 : 가이드판
46 : 링크 48 : 인장스프링
50,53 : 스프링 51 : 가이드편편
52 : 압압편 55 : 미끄럼 방지턱
451 : 구멍 452 : 걸림돌기
454 : 요홈 461 : 안내봉
462 : 걸림봉 511 : 걸림핀
513 : 받침턱
본 고안은 컵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운전석 정면 일측부등에 원터치식 본 고안 장치를 삽설하고, 필요에 따라 컵 수납 케이스만을 돌설시켜 컵을 크기에 무관하게 상기 수납 케이스에 컵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에서의 컵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각종 자동차에 설치되는 컵 수납장치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철사고리나 플라스틱판에 소정의 크기로 구멍이 천공된 컵 수납판을 좌석 등받이의 후면부등에 축지시키고, 필요에 따라 상기 철사 고리나 컵 수납판을 좌석의 등받이와 직각이 되도록 세운다음 각각의 구멍에 컵을 끼워 넣어 놓았다가 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컵의 직경에 따라 철사고리의 직경이나 컵 수납판의 구멍 크기를 달리해야 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컵 수납장치가 좌석 등받이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비 사용시 승차자에게 걸리적 거리게 됨은 물론 운전자나 그 옆좌석의 승차자의 정면부에는 상기와 같은 컵 수납 장치들이 설치될 수 없어 앞좌석의 승차자는 운전중 컵을 고정시켜 놓았다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최근에는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 평성 2-21055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컵을 안정적으로 수납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원터치식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이 고안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수납판을 하우징으로 부터 인출하여 컵을 받쳐지도록 하고,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내부 하우징에 수납되도록 끼워 넣어 걸림구에 걸려지도록 구성되어 나름대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 의하면 컵이 받쳐지도록 하는 받침판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그 상부에 컵을 끼워지도록 하는 전방커버가 항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하우징에 수납되도록 하고, 이 전방커버에 컵의 직경을 감안하여 뚫어진 지지공의 직경이 가변되지 않도록 성형되어 있었다.
따라서, 차량의 경우 카세트 및 각종 조작 게이지가 설치되고 남은 작은 공간에 설치하는 데 많은 제한이 있었던 것이다.
또, 수납하여 사용코자 하는 컵의 종류가 다양한 데도 불구하고 일정한 크기로 지지공이 뚫어지는 결과로 이 지지공보다 작은 컵의 경우에는 설치상태에서 유동이 심하게 발생되어 차량 주행 중 액체상태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자주 경험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지지공보다 큰 캔이나 컵등은 수납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폐단도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받쳐지는 컵을 안정적으로 탄력 지지토록 하여 주행중이라 하더라도 내용물이 쏟아지는 등의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컵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 장치는 뚜껑체(1)가 상면에 결합된 외부 케이스(10)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전방에서 후방부로 이어지는 가이드홈(1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1)과 양측면 사이에 형성된 바닥면의 중간부에는 쐐기형 안내홈(12)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홈(11)의 상면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래크(13)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가이드홈(11) 전면부의 바닥면에는 스크류가 결합되는 보스(14)를 형성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후면 중앙부에는 장방형 통공(15)을 형성하고, 그의 일측부에는 캠 또는 자석을 이용한 록크부재로 된 잠금부재(16)를 설치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전면 개구부 양측부에는 'L'자형의 걸림턱(17)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0)에서 습동하는 안내체(20)의 후면에 돌설된 한쌍의 돌편(21)에는 스파이럴(Spiral) 스프링으로 된 탄성수단(22)을 지지하는 원통체(23)를 상기 탄성수단(22)의 자유단부는 상기 보스(14)에 스크류로 고정시킨다.
상기 안내체(20)의 저면에 돌설된 쐐기형 안내돌기(24)는 이와 대응되는 안내홈(12)에 끼워져 습동하고, 저면 후측부에 설치되어 안내체(20)의 급속한 이동을 방지하는 오일댐퍼(25)는 상기 래크(13)에 맞물리며, 상기 오일댐퍼(25)의 일측부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안내편(26)은 상기 탄성부재(22)를 지지한다.
상기 안내체(20)의 후방 양측면과 저면 중앙부에는 걸림편(27,28)을 형성하며, 저면 중앙부의 개구부(29)와 걸림편(28)사이에는 걸림홈(30)을 뚫고, 후면 외측부에는 잠금수단(16)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고리(31)를 돌설한다.
상기 안내체(20)의 저면 양측부의 양측면의 절단면은 개방시 상기 'L'자형의 걸림턱(17)에 걸려 안내체(20)가 외부 케이스(10)로 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면이 개구되어 컵을 안착시키는 컵 수납 케이스(40)에는 상기 걸림편(27, 28)과 걸림홈(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41,42)과 걸림편(43)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체(20)에 컵 수납 케이스(40)가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걸림편(43)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걸림홈(30)으로 부터 상기 걸림편(43)을 벗겨낼 때 손쉽게 누를 수 있도록 누름부(43')를 돌설시킨다.
상기 컵 수납 케이스(40)의 바닥면 후방부에 돌설된 힌지부(44)에 축설된 가이드판(45)에는 컵이 끼워지는 원형의 구멍(451)을 천공한다.
상기 가이드판(45)의 저면에서 돌설된 걸림돌기(452)에 안내봉(461)이 끼워진 링크(46)의 하단을 컵 수납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힌지부(47)에 축지하고, 링크 (46)에 형성된 걸림봉(462)과 가이드판(45)의 저면에 돌설된 걸림고리(453)사이에는 인장스프링(48)을 설치하여 컵 수납 케이스(40)가 외부 케이스(10)로 부터 인출되었을 때 인장스프링(48)이 링크(46)를 잡아당겨 가이드판(45)이 힌지부(44)를 지심으로 예각범위의 각도로 경사져 있도록 한다.
상기 컵 수납 케이스(40)의 바닥면에 돌설된 힌지부(49)에 하단부가 축지되는 스프링(50) 탄지된 가이드판(51)의 상단부는 상기 구멍(451)에서 연장된 요홈(454)에서 돌출되어 있도록 하고, 그의 상단면이 구멍(451)의 주면과 일치되도록 양측면에 걸리면(511)을 돌설시켜 상기 가이드판(45)의 저면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편(51)의 상단부에 형성된 힌지부(512)에는 자유단면이 호형인 압압편(52)을 축지시켜 스프링(55)으로 탄지하고, 압압편(52)의 저면에 돌설된 걸림편 (521)은 가이드편(51)의 받침턱(513)에 걸리도록 하여 압압편(52)이 상측부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컵 수납 케이스(40)의 바닥면에는 컵의 미끄럼을 방지함과 동시에 넘쳐진 내용물을 모으기 위한 미끄럼 방지턱(55)을 형성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은 본 고안 장치를 자동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편, 18은 스크류가 결합되는 보스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 효과를 제2도 내지 제6도의 (a)(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뚜껑체(1), 외부 케이스(10), 안내체(20) 및 컵 수납 케이스(40)등이 상호 결합된 상태의 본 고안장치를 자동차의 운전석 정면 일측부에 형성되는 장방형 안내구멍을 통해 끼워 넣고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컵 수납 케이스(40)가 외부 케이스(10)내로 안착된 상태로 자동차의 운전석 전면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컵 수납 케이스(40)의 전면부를 한번 눌렀다 놓게 되면, 컵 수납 케이스(40)를 고정시켜 주고 있는 안내체(20)의 후면 걸림고리(31)가 로크 부재로 구성된 잠금수단(16)으로 부터 해정되므로, 스파이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안내체(20)가 전면부로 슬라이딩하게 되어 컵 수납 케이스(40)가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때, 안내체(20)의 이동속도는 외부 케이스(10)의 가이드홈(12)에 형성된 래크(13)와 맞물린 안내체(20) 저면에 오일댐퍼(25)와 뚜껑체(1)의 천정면에 제5도 (a)와 같이 자유단부가 맞닿은 가이드판(45)의 미끄럼 마찰력에 의해 부드럽고 정숙하게 빠져 나오게 된다.
즉, 가이드판(45)의 저면에 돌설된걸림고리(453)과 링크(46)의 걸림봉(462)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48)의 복원력이 가이드판(45)을 힌지부(44)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열어주는 방향으로 작용되므로, 뚜껑체(1)의 천정면에 맞닿은 가이드판 (45)의 자유단부에서 마찰력이 발생되고, 래크(13)에 맞물린 오일댐퍼(25)에서도 마찰력이 발생되므로 안내체(20)가 서서히 빠져 나오게 된다.
또한, 안내체(20)가 일측으로 비뚤어지지 않고, 외부 케이스(10)로 부터 직선적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는 것은 외부 케이스(10)의 전면 개구부에 형성된 걸림턱(17)사이의 넓이가 컵 수납 케이스(40)의 넓이와 거의 같기 때문이고, 외부 케이스(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쐐기형 안내홈(12)을 안내체(20)의 안내돌기(24)가 습동하게 되기 때문에 닿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 케이스(10)의 잠금수단(16)에 고정되어 있던 안내체(20)가 서서히 빠져 나오게 되면, 이에 후측부가 고정된 컵 수납 케이스(40)도 상기 안내체 (20)에 의해 외부 케이스(10)내로 부터 서서히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컵 수납 케이스(40)가 외부 케이스(10)로 부터 어느 정도 빠져 나오게 되면 컵 수납 케이스 (40)의 바닥면에 형성된 힌지부(44)에 축지되어 있는 가이드판(45)의 자유단면이 뚜껑체(1)의 천정면으로 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때부터 컵 수납 케이스(40)의 바닥면에 형성된 힌지부(47)에 하단부가 축지되고, 상단부의 안내봉(461)만이 가이드판(45)의 저면에 돌설된 'ㄱ'자형 걸림돌기(452)에 끼워져 습동하는 링크(46)가 인장스프링(48)의 복원력에 의해 제3도와 같이 상측으로 세워지게 되므로, 그에 연동하는 가이드판(45)이 힌지부(44)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로 서서히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45)의 요홈(454)저면에 걸림핀(511)이 걸려있는 가이드핀(51)은 상기 가이드판(45)이 소정각도로 회전될 때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부(49)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핀(51)의 상단에 축지되어 스프링 (53) 탄지된 압압편(52)은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51)과 일직선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안내체(20)의 양측 절단면이 외부 케이스(10)의 걸림턱(17)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의 이동이 방지되므로 안내체(20), 컵 수납 케이스(40) 및 가이드판 (45)등이 제4도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컵 수납 케이스(40)의 바닥면에 컵을 안착시켜 놓기 위해 가이드편(51)의 상단부에 축지되어 있는 압압편(52)의 상부를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가이드판(45)의 구멍(451)을 통해 컵을 안착시킨 다음 압압편(52)을 놓게 되면, 스프링(53)이 압압편(52)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려는 탄성력을 발생하게 되므로, 압압편(52)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호형부가 컵의 일측면을 압압하게 되어 제6도의 (a)와 같이 구멍(45)의 지름보다 직경이 작은 컵이라 할지라도 가이드판(45)의 구멍(451)내에서 압압편(52)의 압압력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자동차가 주행중에 있다 하더라도 컵이 유동하게 되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하고자 하는 컵의 지름이 가이드판(45)의 구멍(451)의 지름과 같은 것이라 할지라도 상기 가이드판(51)의 상단부에 축지된 압압편(52)만을 완전히 회전시켜 주게 되면, 가이드편(51)의 상단부가 구멍(451)의 주면과 일치되므로, 제6도의 (b)에서와 같이 컵이 가이드판(45)의 구멍(451)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압편(52)의 자유단부 높이가 소정의 각도를 경사지어 있는 상기 가이드판(45)의 상단면의 높이와 거의 일치되므로 컵의 누름 높이가 같게 되어 균형이 유지된다.
이후, 상기 컵 수납 케이스(40)에 안착된 컵을 가이드판(45)의 구멍(451)으로 부터 빼내게 되면, 압압편(52)은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제3도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환원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컵 수납 케이스(40)를 외부 케이스(10)내로 집어넣기 위해 컵 수납 케이스(40)의 전면부를 밀게 되면, 컵 수납 케이스(40)를 고정하고 있는 안내체(20)가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며, 컵 수납 케이스(40)와 함께 외부 케이스(10)내부로 습동되며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컵 수납 케이스(40)의 바닥면에 축지되어 인장스프링(48)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각도로 세워져 있던 가이드판(45)의 경사면이 뚜껑체(1)의 천정면에 닿으면서 밀려 들어가게 되므로 가이드판(45)은 힌지부(44)를 중심으로 컵 수납 케이스(40)의 바닥면을 향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하단부가 컵 수납 케이스(40)의 힌지부(47)에 축지된 래크(46)상단부의 안내봉(461)은 'ㄱ'자형 걸림돌기(452)와 가이드판(45)의 천정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습동하며 내측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래크(46)가 가이드판(45)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이드판(45), 래크(46), 가이드편(51) 및 압압편(52)등이 컵 수납 케이스(40)의 공간부내로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 케이스(10)와 뚜껑체(1)사이의 공간부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이드판(45)이 컵 수납 케이스(40)의 바닥면쪽으로 회전되면 구멍(451)과 연장된 요홈(454)에 위치된 가이드편(51)이 가이드판(45)의 저면에 걸려져 있는 걸림편(511)에 의해 상기 가이드판(45)이 회전될때 가이드판(45)도 힌지부(49)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걸림편(521)이 받침턱(513)에 걸려져 상기 가이드편(51)의 상단부에 축지된 압압편(52)도 가이드편(51)과 일적선인 상태로 가이드편 (51)과 함께 회전된다.
이후, 상기 안내체(20)가 외부 케이스(10)내로 계속 진입되어 그의 후면에 돌설된 걸림고리(31)가 잠금수단(16)에 끼워져 걸리게 되면, 밀고 있던 손을 떼더라도, 탄성수단(22)의 탄발력을 받고 있는 안내체(20)에 고정되어 있는 컵 수납 케이스(40)는 제2도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스(10)내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자동차 내부가 외관상 미려하게 되는 데, 이때 돌편(21)과 탄성수단(22)의 일부는 장방형 통공(1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컵 수납 케이스(40)에 컵을 자주 올려 놓고 사용하여 이물질등이 바닥면에 많이 떨어져 지저분한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안내체(20)가 외부 케이스(10)로 부터 빠져 나온 상태에서 안내체(20)의 걸림홈(30)에 끼워져 걸려있는 컵 수납 케이스(40) 바닥면의 걸림편(43) 자유단부에 형성된 누름부(43')를 상축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편(43)의 걸림홈(41)으로 부터 손쉽게 빠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컵 수납 케이스(40)만을 잡아당기게 되면, 걸림홈(41,42)에 걸려져, 컵 수납 케이스(40)가 안내체(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편 (27,28)이 상기 걸림홈(41,42)으로 부터 이탈되므로 안내체(20)에서 상기 컵 수납 케이스(40)가 분리되어 지저분한 컵 수납 케이스(40)만을 세적하여 다시 장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운전석 정면 일측부등에 카스테레오와 같은 형태로 장착시켜 필요에 따라 원터치식 컵 수납 케이스만을 돌설시켜 컵을 크기에 무관하게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컵 수납 케이스가 걸리적 거리지 않게 되어 차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또, 컵 내지는 캔류와 같은 용기를 받쳐지게 한 상태에서도 그 중간 일측에서 압압편(52)이 탄력 지지하는 결과로 주행중 급제동과 같은 상황에서도 내용물이 쏟아지는 등의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 자동차내부의 운전자 전방에 위치되는 대쉬판넬의 공간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바닥면 중앙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어지는 가이드홈(11)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11)과 양측면 사이의 바닥면 중간부에는 안내홈(12)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11)의 일측부에는 래크(13)가 돌설되고, 후면 중앙부에 잠금부재(16)가 구비되는 외부 케이스(10)와, 이 외부 케이스(10)의 상측 개구부를 막아주는 뚜껑체(1)와, 상기 외부 케이스(10)내에 위치되며 상기 안내홈(12)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안내돌기(24)를 저면에 형성하고, 공간부(32')로 돌출된 한쌍의 돌편(21)에는 자유단부가 상기 가이드홈 (11)의 전단부에 고정된 탄성부재(22)를 지지하는 원통체(23)를 축지하며, 상기 래크 (13)에 맞물려 급속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댐퍼(25)가 구비되는 안내체 (20)와, 상기 안내체(20)와 함께 컵 수납 구멍(451)이 천공된 가이드판(45)이 이동되며 컵을 수납시키는 컵 수납 케이스(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컵 수납 케이스 (40)의 가이드판(45)에는 축봉(452)과 지지봉(453)을 축지하며, 상기 가이드판(45)의 배면에 돌설된 걸림돌기(452)에 상단의 안내봉(461)이 끼워진 링크(46)의 하단은 컵 수납 케이스(40)의 바닥면에 형성된 힌지부(47)에 축지하고, 링크(46)에 형성된 걸림봉(464)과 가이드판(45)의 배면에 돌설된 걸림고리(453)사이에는 인장스프링 (48)을 설치하며, 바닥면 돌설된 힌지부(49)에 하단부가 축지되어 스프링(50) 탄지된 가이드편(51)의 상단부는 상기 구멍(451)에서 연장된 요홈(454)을 통해 돌출시켜 그의 상단면이 구멍(451)의 주면과 일치되도록 양측면에 걸림편(511)을 돌설시켜 상기 가이드판(45)의 배면에 걸리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편(51)의 상단부에 형성된 힌지부 (512)에는 압압편(52)을 축지시켜 스프링(53)으로 탄지하여, 압압편(52)이 컵을 탄력 지지토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컵 수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바닥면 중간부에는 안내홈(12)을 형성하며, 전면 개구부 양측에 상기 안내체(20)의 양측 절단면이 걸리는 걸림턱(1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서의 컵 수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체(20)는 상기 안내홈(12)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안내돌기(24)와 안내판(26)을 서로 다른 위치에 저면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서의 컵 수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편(52)의 자유단부는 호형인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컵 수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컵 수납 케이스(40)의 바닥면에는 컵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턱(55)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 수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1980U KR940001141Y1 (ko) | 1991-07-29 | 1991-07-29 | 컵 수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1980U KR940001141Y1 (ko) | 1991-07-29 | 1991-07-29 | 컵 수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2514U KR930002514U (ko) | 1993-02-25 |
KR940001141Y1 true KR940001141Y1 (ko) | 1994-03-07 |
Family
ID=1931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10011980U KR940001141Y1 (ko) | 1991-07-29 | 1991-07-29 | 컵 수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1141Y1 (ko) |
-
1991
- 1991-07-29 KR KR2019910011980U patent/KR9400011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2514U (ko) | 1993-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39849B1 (ko) | 음료수 용기 홀더 | |
US7789265B2 (en) | Tab structure for controlling cups in vehicles | |
GB2376672A (en) | Cup holder | |
KR940001141Y1 (ko) | 컵 수납장치 | |
JP3579523B2 (ja) |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 |
KR940001140Y1 (ko) | 컵 수납장치 | |
JPH0976811A (ja) |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 |
JP3049378B2 (ja) | 車両用収納装置 | |
JP3247013B2 (ja) |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 |
JPH079905A (ja) | カップホルダ | |
KR0135673Y1 (ko) | 콘솔박스 내장형 컵 홀더 | |
JP2576748Y2 (ja) | 缶ホルダ | |
KR0140658Y1 (ko) | 크기가 다양한 컵을 수용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 |
KR0133546Y1 (ko) | 컵 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콘솔박스 | |
JPH0448987Y2 (ko) | ||
JP3650831B2 (ja) | カップホルダ | |
KR910004034Y1 (ko) | 자동차용 컵 걸이구 | |
KR100197231B1 (ko) | 콘솔박스의 컵 홀더 | |
JP2000354537A (ja) | 吊下げフック装置 | |
KR0132242Y1 (ko) | 컵받이가 내장된 자동차용 글러브박스 | |
KR0133111Y1 (ko) | 코인 홀더를 구비한 컵 홀더 | |
KR920005256Y1 (ko) | 구경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컵 걸이구 | |
JP3005046U (ja) | 自動車内用小物入れ | |
KR200235267Y1 (ko) | 동전 수납함 | |
KR920000996Y1 (ko) | 차량용 컵홀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116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