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916B1 - 자동차 도어 트림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트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916B1
KR101844916B1 KR1020160133309A KR20160133309A KR101844916B1 KR 101844916 B1 KR101844916 B1 KR 101844916B1 KR 1020160133309 A KR1020160133309 A KR 1020160133309A KR 20160133309 A KR20160133309 A KR 20160133309A KR 101844916 B1 KR101844916 B1 KR 101844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im
partition wall
grip handle
groove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3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트림에 관한 것으로, 그립 핸들의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그립 핸들의 몸체는 도어 트림의 일측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자동차 도어 트림에 있어서, 상기 그립 핸들의 하측으로 상기 도어 트림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트림의 삽입홈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측으로 이동시 상단부가 상기 그립 핸들의 하단부에 접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측면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의 걸림홈에 체결되어 상기 격벽부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상기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트림{Car door trim}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트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 트림에 수납부를 구비하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트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자동차 탑승 후 휴대폰을 조수석에 올려 놓거나, 운전석 우측의 컵홀더에 넣어 놓는다. 하지만, 아무렇게나 휴대폰을 내려 놓으면, 주행 중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휴대폰이 떨어지거나, 컵홀더 내에서 진동에 의해 흔들리면서 소음을 발생시킨다.
한편, 도어트림 내측에 위치한 그립 핸들의 손잡이 내측에도 공간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립 핸들 하측이 개방되어 있어 휴대폰 등의 소물류를 수납하기 어려웠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트림에 수납부가 장착되기 전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트림에 수납부가 장착된 후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그립 핸들(10)의 손잡이 내측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자동차 도어트림(1)에 마련된 그립 핸들(10)의 내측 공간에 별도의 수납컵(20)을 삽입하여 휴대폰 등의 소물류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그립 핸들(10)의 손잡이 내측 공간에 수납컵(20)을 수직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별도로 수납컵(20)이 제공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수납컵(20)을 별도로 보관하다가 사용할 때 이를 찾아서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수납컵(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다시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납컵(2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립 핸들(10)을 사용하기 곤란하여 수납컵(20)으로 인한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2540호(2014.02.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수납공간 확보를 위한 별도의 수납컵이 필요 없으며,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자동차 도어 트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트림은, 그립 핸들의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그립 핸들의 몸체는 도어 트림의 일측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자동차 도어 트림에 있어서, 상기 그립 핸들의 하측으로 상기 도어 트림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트림의 삽입홈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측으로 이동시 상단부가 상기 그립 핸들의 하단부에 접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측면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의 걸림홈에 체결되어 상기 격벽부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상기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는, 상기 도어 트림의 삽입홈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체결부에 일측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상측면에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은, 격벽부의 일측면 상측에 상기 걸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제1 걸림홈과, 격벽부의 일측면 하측에 상기 걸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제2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는데, 걸림부가 상기 제1 걸림홈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격벽부는 최하단에 위치하고, 걸림부가 상기 제2 걸림홈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격벽부는 최상단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누름부의 일측단을 누르면 제1 방향으로 회동되며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가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때, 소정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의 측면에 맞닿아 정지되도록 상기 도어 트림의 체결부에서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부가 제1 방향으로 회동될 때, 소정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맞닿아 정지되도록 상기 도어 트림의 체결부에서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스토퍼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그립 핸들의 하단부에는, 상기 격벽부의 상단부가 접하는 위치에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립 핸들의 내측에 격벽부를 설치하고, 격벽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격벽부가 도어 트림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가 인출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격벽부의 분실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트림에 수납부가 장착되기 전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트림에 수납부가 장착된 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트림에서 격벽부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트림에서 격벽부가 삽입되어 락킹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트림에서 격벽부가 삽입되어 락킹이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트림에서 격벽부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트림(100)는, 그립 핸들(110)과, 그립 핸들(110)의 하측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격벽부(120)와, 격벽부(120)를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버튼부(130)를 포함한다.
자동차 도어 트림(100)은 자동차의 승하차시에 개방/폐쇄되는 도어를 구성하는 것으로, 내부 일측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 핸들(110)과 창문을 개폐하는 조작버튼 등이 구비된다.
그립 핸들(110)은, 그 양측 단부가 각각 자동차 도어 트림(100)에 고정되고, 몸체는 도어 트림(100)의 일측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어 트림(100)에는 그립 핸들(110)의 하측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격벽부(12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립 핸들(110)의 하측의 개방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격벽부(120)는,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그 상단부가 그립 핸들(110)의 하측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그립 핸들(110)의 하단부에는 격벽부(120)의 상단부가 접하는 위치에 안착홈(110a)이 형성되어 그립 핸들(110)과 격벽부(120)이 접한 상태에서 이격을 줄이고 격벽부(120)의 상단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격벽부(120)의 하단부는 도어 트림(10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그립 핸들(110)의 하측으로 도어 트림(10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삽입홈부(101)가 형성되고, 삽입홈부(101)에 격벽부(120)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측으로 슬라이딩될때 이동이 제한되고 도어 트림(100)과 분리되지 않도록 격벽부(120)의 하단부 좌우에는 걸림턱(121,122)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트림(100)에 구비된 격벽부(120)는, 내측이 중공 형성되어 탄성부재(140)가 삽입되고, 탄성부재(140)의 하측단이 도어 트림(100)의 지지부(103)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부(120)가 도어 트림(100)의 삽입홈부(101)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격벽부(120)가 상측으로 이동시 상단부가 그립 핸들(110)의 하단부에 접하여 개방부가 폐쇄되고 휴대폰(200)등의 소물류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격벽부(120)에는, 일측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걸림홈(123a) 및 제2 걸림홈(123b)이 형성되고, 삽입홈부(101)에 인접한 도어 트림(100)에는 버튼부(130)가 설치된다.
버튼부(130)는, 삽입홈부(101)에 인접하여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체결부(105)에 일측단이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축(135)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버튼부(130)는, 상측면에는 평평한 누름부(131)가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제1 및 제2 걸림홈(123a,123b)에 안착되도록 고리형상의 걸림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33)가 제1 걸림홈(123a)에 결합되는 경우, 격벽부(120)는 최하단에 위치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걸림부(133)가 제2 걸림홈(123b)에 결합되는 경우, 격벽부(120)는 최상단에 위치되어 도어 트림(100)의 내측에 삽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트림에서 격벽부가 삽입되어 락킹(locking)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트림에서 격벽부가 삽입되어 락킹이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미설명되는 부호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부호와 동일하므로 이를 참조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트림(100)에 구비된 격벽부(120)는 도어 트림(100) 내측에 위치되어 락킹상태를 유지하거나(도 5 참조), 락킹상태를 해제(도 6 참조)할 수 있게 된다.
제1 걸림홈(123a)에 버튼부(130)의 걸림부(133)가 걸린 락킹상태(도 5 참조)에서 누름부(131)의 좌측단을 누르면 버튼부(130)가 회전축(135)을 중심으로 제1 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버튼부(130)의 걸림부(133)가 제1 걸림홈(123a)에서 이탈되며 걸림상태가 해제된다(도 6 참조).
한편, 버튼부(130)가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때, 소정 위치에서 누름부(131)의 측면에 맞닿아 정지되도록 도어 트림(100)의 체결부(105)에서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스토퍼(105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130)가 제1 방향으로 회동될 때, 소정 위치에서 걸림부(133)의 측면에 맞닿아 정지되도록 도어 트림(100)의 체결부(105)에서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스토퍼(105b)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스토퍼(105a,105b)는 완충소재로 형성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완충부재를 제1 및 제2 스토퍼(105a,105b)의 외측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버튼부(130)가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복귀되도록 회전축(135)에 스프링(미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도어 트림
101: 삽입홈부
110: 그립 핸들
120: 격벽부
123a,123b: 제1 걸림홈, 제2 걸림홈
130: 버튼부
131: 누름부
133: 걸림부
135: 회전축

Claims (10)

  1. 그립 핸들의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그립 핸들의 몸체는 도어 트림의 일측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자동차 도어 트림에 있어서,
    상기 그립 핸들의 하측으로 상기 도어 트림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트림의 삽입홈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측으로 이동시 상단부가 상기 그립 핸들의 하단부에 접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측면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의 걸림홈에 체결되어 상기 격벽부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상기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는,
    상기 도어 트림의 삽입홈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체결부에 일측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상측면에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격벽부의 일측면 상측에 상기 걸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제1 걸림홈과,
    상기 격벽부의 일측면 하측에 상기 걸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제2 걸림홈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트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자동차 도어 트림.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 걸림홈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격벽부는 최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2 걸림홈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격벽부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자동차 도어 트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누름부의 일측을 누르면 제1 방향으로 회동되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자동차 도어 트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복귀되도록 회전축에 스프링이 장착되는, 자동차 도어 트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 핸들의 하단부에는,
    상기 격벽부의 상단부가 접하는 위치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자동차 도어 트림.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때, 소정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의 측면에 맞닿아 정지되도록 상기 도어 트림의 체결부에서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스토퍼가 형성되는, 자동차 도어 트림.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될 때, 소정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맞닿아 정지되도록 상기 도어 트림의 체결부에서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스토퍼가 형성되는, 자동차 도어 트림.
KR1020160133309A 2016-10-14 2016-10-14 자동차 도어 트림 KR101844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309A KR101844916B1 (ko) 2016-10-14 2016-10-14 자동차 도어 트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309A KR101844916B1 (ko) 2016-10-14 2016-10-14 자동차 도어 트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916B1 true KR101844916B1 (ko) 2018-04-03

Family

ID=6197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309A KR101844916B1 (ko) 2016-10-14 2016-10-14 자동차 도어 트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2601A (zh) * 2019-11-19 2020-01-21 山东交通职业学院 一种汽车车辆行驶记录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2601A (zh) * 2019-11-19 2020-01-21 山东交通职业学院 一种汽车车辆行驶记录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EP3275735B1 (en) A motor vehicle drawer assembly
US9296341B2 (en) Tip out style vehicle interior door
US20040069792A1 (en)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10793083B1 (en) Item holding assembly for a vehicle
US9809141B2 (en) Storage compartment comprising a foldable holder element
KR101844916B1 (ko) 자동차 도어 트림
EP3072745B1 (en) Vehicle storage assembly
CN111094063A (zh) 容器收纳结构
JP4855612B2 (ja) 物品収容装置
KR101795932B1 (ko)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US20160336786A1 (en) Wireless recharger for portable device of vehicle
US8720840B2 (en) Container-supporting apparatus
KR20150002639U (ko) 컵홀더
KR20130068989A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JP5976624B2 (ja) ホルダ部材
JP4573744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KR100387657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1998137B1 (ko) 충돌시 개방 방지를 위한 차량의 센터콘솔 구조체
KR102395177B1 (ko) 차량용 컵홀더
US7513554B2 (en) Cup holder
KR100643602B1 (ko) 차량의 크래쉬 패드 상부 트레이용 잠금장치
KR100944881B1 (ko) 자동차용 트레이 잠금장치
KR100756952B1 (ko) 차량용 컵 홀더
KR100748752B1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의 슬라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