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932B1 -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932B1
KR101795932B1 KR1020160064019A KR20160064019A KR101795932B1 KR 101795932 B1 KR101795932 B1 KR 101795932B1 KR 1020160064019 A KR1020160064019 A KR 1020160064019A KR 20160064019 A KR20160064019 A KR 20160064019A KR 101795932 B1 KR101795932 B1 KR 101795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ransverse
base frame
main body
low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582A (ko
Inventor
미츠루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60150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과제) 휴대전화기나 그 일종인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PC 등의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며, 사이즈가 다른 전자기기를 경사 형상으로 안정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베이스 프레임(30)과, 베이스 프레임(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하측 홀더(50) 및 횡측 홀더(60)를 가지는 대략 ㄴ자 형상의 홀더 본체(40)로 이루어지며, 장착체(70)의 오목한 곳 내에 얹히는 전자기기(20, 21)의 수납식 홀딩장치(10)이다. 홀더 본체(40)를 오목한 곳으로부터 회전하여 인출하고, 홀더 본체(40)의 대략 ㄴ자 형상의 내각을 따라서 전자기기(20, 21)를 경사 형상으로 홀딩 가능하게 했다. 베이스 프레임(30)에는 수납부(31)를 가지며, 당해 수납부(31) 내에 하측 홀더(50)와 횡측 홀더(60)를 겹침 형상으로 접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STORAGE TYPE HOLDING DEVIC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이 발명은 휴대전화기나 그 일종인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PC 등의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며, 사이즈가 다른 전자기기를 경사 형상으로 안정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인스트루먼트 패널, 콘솔 패널 등의 오목한 곳 내에 리테이너를 통하여 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차량용 휴대전화 홀딩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의 단락번호 「0008」∼ 「0010」 및 도 5∼7 참조). 상기한 종래의 홀더는 개구를 구비한 박스 형상이며, 휴대전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댐퍼나 래치를 사용한 차의 콘솔에 수납되는 회전식 수납 홀더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의 도 6, 도 7 및 도 10 참조). 상기 종래의 회전식 수납 홀더는 운전자의 무릎에 닿지않도록 비스듬히 상향으로 열린 홀더에 휴대전화를 일단 수납 후, 직립 상태가 되도록 콘솔의 이면측에 숨겨서 수납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355927호 공보 특허문헌 2: 대만 공고 특허 제M406338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차량용 휴대전화 홀딩장치(특허문헌 1)는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대형일 뿐만 아니라, 홀더를 옆으로 회전하여 콘솔 패널 등의 오목한 곳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휴대전화를 꺼내기 어렵고, 휴대전화를 꺼낼 때마다 홀더를 회전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종래의 회전식 수납 홀더(특허문헌 2)도 마찬가지로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대형일 뿐만 아니라, 종래의 소형의 휴대전화기의 수납은 가능하지만, 사이즈의 허용성이 낮고, 중형 혹은 대형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수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의 점에 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홀딩 가능한 전자기기의 사이즈의 허용성이 높고, 게다가 구조가 간편하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 홀더 본체를 회전하여 수납 가능한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더불어서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하측 홀더와 횡측 홀더를 동일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것으로, 하측 홀더와 횡측 홀더를 겹침 형상으로 접는 것에 의해, 수납시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공간 절약에 레이아웃 가능한 수납식 홀딩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더불어서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전자기기의 무게 중심 위치를 홀더 본체의 회전축 상에 가깝게 하는 것에 의해, 무리한 하중 부담이 걸리기 어렵게 하고, 사이즈가 다른 전자기기를 안정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더불어서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장착체의 오목한 곳 내로 빠지는 베이스 프레임의 수납부 내에 하측 홀더와 횡측 홀더를 겹침 형상으로 접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더불어서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하측 홀더의 이면을 덮개부로서 수납부의 개방 상면을 닫는 것에 의해, 홀더 본체를 베이스 프레임에 체재 좋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괄호 안의 부호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한 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 부호도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한 도면 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1번째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0)과, 베이스 프레임(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하측 홀더(50) 및 횡측 홀더(60)를 가지는 대략 ㄴ자 형상의 홀더 본체(40)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체(70)의 오목한 곳(도시하지 않음) 내에 얹히는 전자기기(20, 21)의 수납식 홀딩장치(10)이다.
2번째로, 예를 들면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0)를 오목한 곳(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회전하여 인출하고, 홀더 본체(40)의 대략 ㄴ자 형상의 내각(內角)을 따라서 전자기기(20, 21)를 경사 형상으로 홀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불어서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1번째로, 하측 홀더(50)와 횡측 홀더(60)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호 홀딩된다.
2번째로, 횡측 홀더(6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를,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3번째로, 도시하지 않지만, 횡측 홀더(60)의 회동에 의해서 하측 홀더(50)가 밀어 올려지고, 횡측 홀더(60)와의 연동에 의해서 하측 홀더(50)에 설치한 스토퍼(120)가 베이스 프레임(30)의 맞닿음 편(片)(83)에 맞닿음으로써,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0)가 일정 각도를 유지한 경사 상태에서, 홀더 본체(40)의 ㄴ자 형상의 내각을 이루는 하측 홀더(50)의 하측 홀더 바닥부(100)와 횡측 홀더(60)의 횡측 홀더 바닥부(130)를 전자기기(20, 21)의 얹어놓음면으로 하여 홀딩한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불어서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예를 들면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20, 21)를 경사 형상으로 홀더 본체(40)에 홀딩하고, 전자기기(20, 21)의 무게 중심 위치를 홀더 본체(40)의 회전축 상에 가깝게 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불어서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1번째로,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0)에는 장착체(70)의 오목한 곳(도시하지 않음) 내로 빠지는 상면이 개방된 수납부(31)를 가진다.
2번째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31) 내에 하측 홀더 (50)와 횡측 홀더(60)를 겹침 형상으로 접어서 수납한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불어서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1번째로, 수납부(31) 내에 하측 홀더(50)와 횡측 홀더(60)를 겹쳐서 수납했을 때에,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측 홀더(60)의 이면을 덮개부로서 수납부(31)의 개방 상면을 닫는다.
2번째로, 이때, 덮개부의 상면이,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체(70)의 표면과 대략 면일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되는 효과를 이룬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홀딩 가능한 전자기기의 사이즈의 허용성이 높고, 게다가 구조가 간편하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 홀더 본체를 회전하여 수납 가능한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불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하측 홀더와 횡측 홀더를 동일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함으로써, 하측 홀더와 횡측 홀더를 겹침 형상으로 접는 것에 의해서 수납시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공간 절약에 레이아웃 가능한 수납식 홀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불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무게 중심 위치를 홀더 본체의 회전축 상에 가깝게 하는 것에 의해, 무리한 하중 부담이 걸리기 어렵게 하고, 사이즈가 다른 전자기기를 안정되게 홀딩할 수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불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장착체의 오목한 곳 내로 빠지는 베이스 프레임의 수납부 내에 하측 홀더와 횡측 홀더를 겹침 형상으로 접어서 수납할 수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불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하측 홀더의 이면을 덮개부로서 수납부의 개방 상면을 닫는 것에 의해, 홀더 본체를 베이스 프레임에 체재 좋게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수납식 홀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홀더 본체를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수납식 홀딩장치를 장착체에 장착하고, 홀더 본체를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고, 홀더 본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대응하고, 전자기기를 홀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응하고,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대응하고, 비교적 대형의 전자기기를 홀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베이스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베이스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하측 홀더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하측 홀더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하측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하측 홀더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횡측 홀더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횡측 홀더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횡측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횡측 홀더의 평면도이다.
[수납식 홀딩장치(10)]
도 1 중, “10”은 수납식 홀딩장치이다. 수납식 홀딩장치(10)는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나 그 일종인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PC 등의 전자기기(20, 21)를 홀딩하는 것이며, 사이즈가 다른 것을 홀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기기(20)는 휴대전화기나 스마트폰 등 중, 비교적 소형의 것이기도 하다. 전자기기(21)는 스마트폰 중, 비교적 중형 혹은 대형의 것이나, 태블릿PC 등이다.
수납식 홀딩장치(1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센터 콘솔이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장착체(70)의 오목한 곳(도시하지 않음)에 얹힌다. 수납식 홀딩장치(10)는 운전자의 시야를 피하여 조수석의 이용자에게 사용하기 쉬운 위치에 레이아웃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수납식 홀딩장치(10)의 장착 위치로서 센터 콘솔이나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예시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뒷좌석의 도어나 벽면, 혹은 팔걸이 등에 장착해도 좋으며, 또, 자동차에도 한정되지 않고, 전철이나 열차, 항공기, 선박 등도 좋다.
수납식 홀딩장치(10)는 미사용시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체(70)의 오목한 곳(도시하지 않음)에 접어서 수납할 수 있어 공간 절약에 레이 아웃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수납식 홀딩장치(10)는 사용시에 있어서,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체(70)의 오목한 곳으로부터 회전하여 홀더 본체(40)를 인출하고, 이때 하측 홀더(50)와 횡측 홀더(60)가 대략 ㄴ자 형상으로 전개하는 것에 의해, 사이즈가 다른 전자기기(20, 21)를 대략 ㄴ자 형상의 내각을 따라서 경사 형상으로 홀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수납식 홀딩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음의 파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베이스 프레임(30)
(2) 홀더 본체(40)
또한, 수납식 홀딩장치(10)의 파트는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프레임(30)과 홀더 본체(40)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지만, 후술하는 푸시ㆍ푸시식의 래치 기구나, 이것과 병용시켜서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회전 댐퍼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푸시ㆍ푸시식의 래치 기구나,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회전 댐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장착체(70)]
장착체(7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센터 콘솔이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일부로 구성해도 좋고, 혹은 이들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별체 구조라도 좋다. 장착체(70)는 수납식 홀딩장치(10)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장착 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71)은 표리면으로 관통하여 베이스 프레임(30)이 빠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71)은 센터 콘솔이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내부 공간을 오목한 곳(도시하지 않음)으로 하고, 당해 오목한 곳으로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30)]
베이스 프레임(30)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체(70)의 오목한 곳(도시하지 않음) 내로 빠지는 상면이 개방된 수납부(31)를 가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프레임(30)은 수납부(31)의 상면이 개구된 대략 채널형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바닥부(80)와, 당해 베이스 바닥부(80)의 양측으로부터 대향하여 직립한 1쌍의 베이스 측부(9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바닥부 (80) 및 베이스 측부(9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베이스 프레임(30)은 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예를 들면 ABS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30)은 도 8∼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수납부(31)를 포함하고,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각 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수납부(31)
(2) 오목부(32)
(3) 고정부(33)
(4) 장착부(34)
[홀더 본체(40)]
홀더 본체(40)는 베이스 프레임(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측 홀더(50) 및 횡측 홀더(60)를 가지는 대략 ㄴ자 형상의 것이다. 또한, 하측 홀더 (50) 및 횡측 홀더(6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홀더 본체(40)는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0)를 오목한 곳(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회전하여 인출하고, 홀더 본체(40)의 대략 ㄴ자 형상의 내각을 따라서 전자기기(20, 21)를 경사 형상으로 홀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하측 홀더(50)와 횡측 홀더(6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호 홀딩된다. 홀더 본체(40)는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20, 21)를 경사 형상으로 홀딩하고, 전자기기(20, 21)의 무게 중심 위치를 홀더 본체(40)의 회전축 상에 가깝게 하고 있다.
[수납부(31)]
수납부(31)는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겹침 형상으로 접은 하측 홀더(50) 및 횡측 홀더(60)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수납부(31)의 개구된 상면은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31)는 오목한 곳(도시하지 않음)으로 향하여 돌출되며, 바닥이 막혀 있다.
[오목부(32)]
오목부(32)는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31)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연접하고, 손가락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수납부(31)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는 후술하는 축받이(91)가 없는 측이다. 즉, 오목부(32)에 도시하지 않지만, 손가락을 삽입하고, 횡측 홀더(60)에 손가락을 걸어서 상방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수납 상태의 횡측 홀더(6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오목부(32)는 그 바닥이 수납부(31)의 베이스 바닥부(80)보다 일단 얕게 설정되고, 또, 가로 폭도 수납부(31)보다 폭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 오목부(32)는 수납부(31)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이 막히고, 폭 방향으로 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사각형의 코너부를 만곡시키고 있다.
[고정부(33)]
고정부(33)는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편 형상으로 돌출되며, 홀더 본체(40)를 장착체(70)의 장착 구멍(71)의 이면측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홀더 본체(4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는 후술하는 축받이(91)가 없는 측이다.
[장착부(34)]
장착부(34)는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0)의 길이 방향의 도중에서 폭 방향에 날개 조각 형상으로 연장되어 좌우 1쌍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4)는 도시하지 않지만, 나사 등을 사용하여 홀더 본체(40)를 장착체(70)의 장착 구멍(71)의 이면측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 바닥부(80)]
베이스 바닥부(80)는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0)의 바닥측에 위치하고, 수납부(31) 및 오목부(32)의 바닥을 구성한다. 베이스 바닥부 (80)는 도 10에 있어서 좌우로 긴 평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바닥부(80)에는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각 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절결부(81)
(2) 프레임부(82)
(3) 맞닿음 편(83)
[절결부(81)]
절결부(81)는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바닥부(8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홀더 본체(40)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 바닥부(8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는 후술하는 축받이(91)가 있는 측이다.
[프레임부(82)]
프레임부(82)는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바닥부(80)의 길이 방향의 길이의 도중에 위치하고, 절결부(81)와 인접하여 중공(中空) 내부를 하측 홀더(50)의 후술하는 스토퍼(120)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 (82)는 베이스 바닥부(80)의 바닥면에서 오목한 곳(도시하지 않음)으로 향하여 돌출되고, 평면이 대략 C형 채널형으로 형성되며, 절결부(81)측으로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맞닿음 편(83)]
맞닿음 편(83)은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부(81)에 면하는 베이스 바닥부(80)의 단부에 위치하고, 하측 홀더(50)에 형성된 후술하는 스토퍼 (120)의 돌조부(121)와 맞닿는 것이다. 돌조부(121)는 맞닿음 편(83)에 맞닿는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0)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대략 ㄴ자형으로 전개한 상태로 고정된다.
[베이스 측부(90)]
베이스 측부(90)는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바닥부(80)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 대략 채널형으로 1쌍 직립하고, 절결부(81)에 면하도록 장척(長尺)으로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 측부(90)에는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각 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축받이(91)
(2) 수납시 작은 구멍(92)
(3) 전개시 작은 구멍(93)
(4) 장출부(張出部, 94)
[축받이(91)]
축받이(91)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부(81)에 면하는 베이스 측부(9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도 9에 있어서 표리 방향으로 관통하여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91)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측 홀더(60)의 후술하는 회전축(14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수납시 작은 구멍(92)]
수납시 작은 구멍(92)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받이(91)의 주위에 위치하고, 동일 도면에 있어서 표리 방향으로 관통하여 축받이(91)보다 직경이 작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납시 작은 구멍(92)에는 횡측 홀더(60)의 후술하는 탄성 돌기(142)가 빠지며, 탄성 돌기(142)가 빠지는 위치를 횡측 홀더(60)의 수납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도 4 참조).
[전개시 작은 구멍(93)]
전개시 작은 구멍(93)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시 작은 구멍(92)의 90도 위상을 다르게 하여 설치되고, 수납시 작은 구멍(92)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전개시 작은 구멍(93)에 탄성 돌기(142)가 빠지는 위치를 횡측 홀더(60)의 전개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도 2 참조).
[장출부(94)]
장출부(94)는 도 8∼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측부(90)의 상단부에서 단면 ㄴ자형으로 구부러져서 외향으로 장출되어 있다. 장출부(94)는 장착체(70)의 장착 구멍(71)의 내형보다 크게 장출하여 장착체(70)의 상면에 맞닿는다.
[하측 홀더(50)]
하측 홀더(50)는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측 홀더(60)와 아울러, 대략 ㄴ자형으로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전자기기(20, 21)의 하측을 홀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하측 홀더(50)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채널형으로 형성되고, 하측 홀더 바닥부(100)와, 당해 하측 홀더 바닥부(100)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대향하여 직립한 1쌍의 하측 홀더 측부(110), 하측 홀더 바닥부(100)에서 하방으로 만곡하여 연장된 스토퍼(12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홀더 바닥부(100), 하측 홀더 측부(110) 및 스토퍼(12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측 홀더(50)는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예를 들면 POM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횡측 홀더(60)]
횡측 홀더(6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를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횡측 홀더(60)는 도시하지 않지만, 그 회동에 의해 하측 홀더(50)를 밀어 올리고, 횡측 홀더(60)와의 연동으로 하측 홀더(50)에 설치한 스토퍼(120)가 베이스 프레임(30)의 맞닿음 편(83)에 맞닿는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0)가 일정 각도를 유지한 경사 상태에서 홀더 본체(40)가 열린 면을 전자기기(20, 21)의 얹어놓음면으로 하여 홀딩한다. 횡측 홀더(60)는 수납부(31) 내에 하측 홀더(50)를 겹쳐서 수납하고, 그때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이면, 즉 외표면을 덮개부로서 수납부(31)의 개방 상면을 닫는다. 이때, 덮개부의 상면, 즉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외표면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체(70)의 표면과 대략 면일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횡측 홀더(60)는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홀더(50)와 아울러, 대략 ㄴ자형으로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전자기기(20, 21)의 측부측을 홀딩하는 것이다. 횡측 홀더(60)는 하측 홀더(50)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개구된 대략 채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하측 홀더(50)보다 전체 길이를 길게 설정하고 있다. 횡측 홀더(60)는 횡측 홀더 바닥부(130)와, 당해 횡측 홀더 바닥부 (130)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대향하여 수하(垂下)한 1쌍의 횡측 홀더 측부 (140)와,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길이 방향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수하한 밀어올림부(1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횡측 홀더 바닥부(130), 횡측 홀더 측부(140) 및 밀어올림부(1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횡측 홀더(60)는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예를 들면 ABS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하측 홀더 바닥부(100)]
하측 홀더 바닥부(10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측에 위치하고,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20, 21)의 하측을 홀딩하는 얹어놓음면이 된다. 하측 홀더 바닥부(100)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하측 홀더(5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즉 후술하는 돌출축(111)이 있는 측을 상방으로 오르막 경사지도록 만곡시키고 있다.
[하측 홀더 측부(110)]
하측 홀더 측부(11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홀더 바닥부(100)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대략 채널형으로 1쌍 직립하고, 하측 홀더 바닥부(100)와 협동하여 전자기기(20, 21)의 하측을 홀딩하는 대략 채널형의 홈을 형성하고 있다. 대략 채널형의 홈은 상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후술하는 돌출축(111)이 없고, 자유단측으로 향하여 개방하고 있다.
하측 홀더 측부(110)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를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돌출축(111)을 외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돌출축(111)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의 편 절반부만을 더 돌출시켜 단면을 중앙으로 향하여 내리막 경사시키고 있다. 돌출축(111)은 횡측 홀더 (60)의 후술하는 원통형의 회전축(14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횡측 홀더 (60)와 동일 축 상에 베이스 프레임(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토퍼(120)]
스토퍼(12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측 홀더(60)와 아울러, 대략 ㄴ자형으로 전개한 상태로 하측 홀더(50)를 로크하는 것이다. 스토퍼(120)는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홀더 바닥부(100)의 하측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여 연장되고, 하측 홀더 바닥부(100)의 길이 방향의 도중에 위치하며, 돌출축(111)이 있는 측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스토퍼(120)에는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1) 돌조부(121)
돌조부(121)는 베이스 바닥부(80)의 맞닿음 편(83)에 맞닿는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측 홀더(60)와 아울러, 대략 ㄴ자형으로 전개한 상태로 하측 홀더(50)를 로크하는 것이다. 돌조부(121)는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120)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경사면을 전방으로 향한 직각 삼각형 형으로 돌출한다.
(2) 돌기부(122)
돌기부(122)는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조부(121)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돌조부(121)와의 사이에, 맞닿음 편(83)을 사이에 두고 로크하는 것이다. 돌기부(122)는 스토퍼(120)의 외측면에서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돌출되고, 돌조부(121)로부터 맞닿음 편(83)의 판 두께에 동일한 거리 떨어져서 위치하며, 돌조부(121)와의 사이에 맞닿음 편(83)이 빠지는 홈을 형성하고 있다. 맞닿음 편(83)은 하측 홀더(50)의 회동시에 스토퍼(120)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스토퍼(120)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하측 홀더(50)가 수납부(31)에 수납된 상태로부터 횡측 홀더 (60)에 밀어 올려져 상방으로 회동할 때에, 맞닿음 편(83)이 돌기부(122)에 맞닿는다. 하측 홀더(50)를 더욱 밀어 올려서 상방으로 회동할 때에, 맞닿음 편(83)에 의해 돌기부(122)가 압압되는 것에 의해, 스토퍼(120)가 더욱 만곡하도록 휘고, 맞닿음 편(83)이 돌기부(122)를 타고 넘는다. 맞닿음 편(83)이 돌기부(122)를 타고 넘으면, 스토퍼(120)가 수지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하는 것에 의해, 돌조부(121)와의 사이로 빠지고, 맞닿음 편(83)이 돌조부(121)에 맞닿으며, 하측 홀더(50)가 상방으로 회동한 상태로 로크된다.
[횡측 홀더 바닥부(130)]
횡측 홀더 바닥부(13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0)를 베이스 프레임(30)의 수납부(31) 내에 수납한 상태에 있어서는 상측에 위치하고, 그 외 표면이 수납부(31)의 개방 상면을 닫는 덮개부로서 기능한다. 하측 홀더 바닥부 (100)의 외표면이 장착체(70)의 표면과 대략 면일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내면은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홀더(50)와 아울러, 대략 ㄴ자형으로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전자기기(20, 21)의 측부측을 홀딩하는 얹어놓음면이 된다.
[횡측 홀더 측부(140)]
횡측 홀더 측부(14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떨어져 대향하여 1쌍 수하하고,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보면 대략 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폭을 홀더 본체(40)의 수납부(31)의 홈 폭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횡측 홀더 측부(140)에서 외측으로 장출한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플랜지부(131)가 베이스 프레임(30)의 장출부(94)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1쌍의 횡측 홀더 측부(140)와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사이에는 전자기기(20, 21)의 측면측을 홀딩하는 대략 채널형의 홈을 형성하고 있다. 대략 채널형의 홈은 도 15에 있어서 하면측이 개방됨과 아울러, 후술하는 회전축(141)이 없고, 자유단측으로 향하여 개방하고 있다.
횡측 홀더 측부(14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를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회전축(141)을 외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회전축(14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단면의 편 절반부만을 외주 방향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시키고 있다. 회전축(141) 내에는 하측 홀더(50)의 돌출축(111)이 삽입되고, 돌출축(111)이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30)의 축받이(91)에 삽입되며, 하측 홀더(50)의 돌출축(111)과 동일 축 상에 베이스 프레임(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횡측 홀더 측부(14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141)에 인접시켜서 탄성 돌기(142)를 돌출시키고 있다. 탄성 돌기(142)는 반구(半球)형으로 돌출되고, 양측에는 횡측 홀더 측부(14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1쌍의 슬릿(143)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슬릿(143)은 탄성 돌기(142)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 돌기(142)는 베이스 프레임(30)의 수납시 작은 구멍(92)과 전개시 작은 구멍(93)의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빠지는 것에 의해, 횡측 홀더(60)의 수납 위치 및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덜컥거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조작자에게 클릭감을 주고, 조작에 절도감을 갖게 하는 기능이 있다.
[밀어올림부(150)]
밀어올림부(150)는 횡측 홀더(60)를 수납 위치에서 손가락으로 상방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당해 회동력을 하측 홀더(5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밀어올림부(150)는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길이 방향의 일방의 단부, 즉 회전축(141)이 있는 측으로부터 판 형상으로 수하하고, 1쌍의 횡측 홀더 측부(140)에 연접하고 있다.
밀어올림부(150)는 횡측 홀더(60)를 수납 위치에서 전개 상태로 회동했을 때에, 하측 홀더 바닥부(100)의 하면에 맞닿고, 당해 하면을 밀어 올리는 것에 의해, 하측 홀더(50)를 돌출축(111)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완충재(160) 및 그 첩부(貼付) 위치(a∼c)]
하측 홀더 바닥부(100)에는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완충재 (160)를 첩부하고 있다. 완충재(160)는 예를 들면 스펀지 등을 사용하고 있다. 완충재(160)는 하측 홀더 바닥부(100)와 횡측 홀더(60)의 밀어올림부(150)가 맞닿을 때의 소리를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플랜지부(131)의 내면에는 도 16∼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완충재(160)를 첩부하고 있다. 완충재 (160)는 플랜지부(131)가 베이스 프레임(30)의 장출부(94)에 맞닿을 때의 소리를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완충재(160)는 도 9 및 도 18에 나타내는 첩부 위치(a∼c)에 첩부해도 좋다. 첩부 위치(a)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0)의 맞닿음 편(83)의 위치이며, 스토퍼(120)의 돌조부(121)와 맞닿을 때의 소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첩부 위치(b)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0)의 프레임부(82)의 내측면이며, 스토퍼(120)의 선단부와 맞닿을 때의 소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첩부 위치(c)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플랜지부(131)의 내면이며, 횡측 홀더 바닥부(130)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이고, 베이스 프레임(30)의 장출부(94)에 맞닿을 때의 소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 부재(170)]
보호 부재(170)는 예를 들면 펠트이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홀더 바닥부(100)의 내면이나,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측 홀더 바닥부 (130)의 내면에 첩부하고 있다. 보호 부재(170)는 그 유연성에 의해 전자기기(20, 21)의 흠집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또, 쿠션성에 의해 전자기기(20, 21)를 얹어놓거나, 혹은 홀딩 상태에 덜컹거렸을 때의 소리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보호 부재(170)의 마찰 저항에 의해, 홀딩 상태의 덜컹거림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 방법)
다음에, 상기 구성을 구비한 수납식 홀딩장치(10)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0)가 베이스 프레임(30)의 수납부(31)에 수납된 상태에서, 오목부(32)에 도시하지 않지만, 손가락을 삽입하고, 횡측 홀더(60)에 손가락을 걸어 상방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수납 상태의 횡측 홀더(60)를 상방으로 회동시킨다. 횡측 홀더(60)를 상방으로 회동하면, 횡측 홀더(60)는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때, 밀어올림부(150)가 하측 홀더 바닥부(100)의 하면에 맞닿고, 당해 하면을 밀어 올리는 것에 의해, 하측 홀더(50)가 회전축(141)과 동일 축 상의 돌출축(111)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한다.
하측 홀더(50)가 상방으로 회동하면, 스토퍼(120)가 상승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30)의 맞닿음 편(83)이 스토퍼(120)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스토퍼(120)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맞닿음 편(83)의 상대적인 이동에 수반하여 스토퍼 (120)의 돌기부(122)에 맞닿는다. 그 후, 하측 홀더(50)가 더 상방으로 회동하면, 돌기부(122)가 맞닿음 편(83)에 의해 압압되는 것에 의해, 스토퍼(120)가 더 만곡하도록 휘고, 맞닿음 편(83)이 돌기부(122)를 타고 넘는다. 맞닿음 편(83)이 돌기부(122)를 타고 넘으면, 스토퍼(120)가 수지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하는 것에 의해, 돌조부(121)와의 사이로 빠지고, 맞닿음 편(83)이 돌조부(121)에 맞닿으며, 하측 홀더(50)가 상방으로 회동한 상태로 로크된다. 또, 이때, 횡측 홀더(60)의 탄성 돌기(142)가 베이스 프레임(30)의 전개시 작은 구멍(93) 내에 탄성적으로 빠지는 것에 의해, 횡측 홀더(60)의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로크상태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홀더(50)와 횡측 홀더(60)가 90도 열린 ㄴ자형 내지는 V자형으로 정지(靜止)한다. 이때, 하측 홀더(50)의 대략 채널형의 홈과 횡측 홀더(60)의 대략 채널형의 홈이 연속하며, 전체적으로 홀더 본체(40)의 내각을 따라서 상방의 면이 개방된 대략 ㄴ자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전자기기(20, 21)는 대략 ㄴ자 형상의 홈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 얹어놓는다. 도 5 및 도 6은 휴대전화기나 스마트폰 등 중, 비교적 소형의 전자기기(20)를 홀딩한 상태이다. 또, 도 7은 스마트폰 중, 비교적 중형 혹은 대형의 것이나, 태블릿PC 등의 전자기기(21)를 홀딩한 상태이다. 전자기기(20, 21)는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ㄴ자 형상의 홈에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홀딩된다. 이때, 전자기기(20, 21)의 무게 중심 위치가 홀더 본체(40)의 회전축 상에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무리한 하중 부담이 걸리기 어렵게 하고, 사이즈가 다른 전자기기를 안정되게 홀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납식 홀딩장치(10)의 사용 후는 도시하지 않지만, 횡측 홀더(60)를 가지고 베이스 프레임(30)의 수납부(31)로 향하여 하방으로 회동하면 좋다. 횡측 홀더(60)를 하방으로 회동하면,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그 횡측 홀더 측부(140)가 하측 홀더 측부(110)와 맞닿으며, 횡측 홀더(60)와 하측 홀더(50)가 상하로 겹쳐진다. 횡측 홀더(60)를 하방으로 회동하면, 하측 홀더(50)가 횡측 홀더(60)에 눌려서 양자가 동일 축 상에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하측 홀더(50)가 하방으로 회동하면, 스토퍼(120)가 하강한다. 이로 인해, 베이스 프레임(30)의 맞닿음 편(83)이 스토퍼(120)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스토퍼 (120)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맞닿음 편(83)의 상대적인 이동에 수반하고, 돌기부(122)가 맞닿음 편(83)에 의해 압압되는 것에 의해, 스토퍼(120)가 더 만곡되도록 휘고, 맞닿음 편(83)이 돌기부(122)를 타고 넘는다. 맞닿음 편(83)이 돌기부(122)를 타고 넘으면,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로크상태의 해제 후, 횡측 홀더(60)를 더욱 하방으로 회동하면, 그 플랜지부 (131)가 베이스 프레임(30)의 장출부(94)에 맞닿는 것에 의해, 그 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된다. 또, 이때, 횡측 홀더(60)의 탄성 돌기(142)가 베이스 프레임(30)의 수납시 작은 구멍(92) 내에 탄성적으로 빠지는 것에 의해, 횡측 홀더(60)의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수납 상태에 있어서는 횡측 홀더(60)와 하측 홀더(50)가 상하로 겹쳐진, 접힌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30)의 수납부(31)에 수납된다. 또, 이때, 하측 홀더 바닥부(100)의 외표면이 장착체(70)의 표면과 대략 면일치된다.
(푸시ㆍ푸시식의 래치 기구)
푸시ㆍ푸시식의 래치 기구는 도시하지 않지만, 베이스 프레임(30)과 홀더 본체(40)의 사이에 설치되고, 홀더 본체(40)를 수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향하여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당해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에 저항하여 홀더 본체(40)를 수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수단으로 구성된다.
로크수단은 횡측 홀더(60)를 수납 위치를 지나치도록 베이스 프레임(30)의 수납부(31)로 향하여 조금 밀어넣는 것에 의해,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로크상태가 해제되면, 홀더 본체(40)는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에 의해, 수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향하여 회동한다.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은 횡측 홀더(60)가 베이스 프레임(30)의 수납부(31)로부터 조금 부상하는 정도라도 충분하고, 그 후는 부상한 횡측 홀더(60)를 가지고 상방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전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푸시ㆍ푸시식의 래치 기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30)의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오목부(32)를 생략할 수 있고, 수납 상태에 있어서 수납식 홀딩장치(10)의 외면 형상을 평평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을 강하게 하는 것에 의해, 홀더 본체(40)가 수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이행하도록 해도 좋다.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회전 댐퍼)
베이스 프레임(30)과 홀더 본체(40)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푸시ㆍ푸시식의 래치 기구에 더불어서,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회전 댐퍼를 병용하여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회전 댐퍼는 베이스 프레임(30)과 홀더 본체(40)의 사이에 설치되고, 홀더 본체(40)의 회전에 대해, 제동력을 작동시키는 댐퍼 수단과, 홀더 본체(40)의 회전의 일방향, 즉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 홀더 본체(40)를 수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향하여 회동하는 회전력을 댐퍼 수단에 전달하며, 역방향, 즉 홀더 본체(40)를 전개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 향하여 수동으로 회동할 때에는 홀더 본체(40)의 회전력의 전달을 끊는 클러치 수단으로 구성된다.
즉, 홀더 본체(40)가 상기 탄지수단에 의해 전개 방향으로 탄지되고, 수납 상태에서 전개 상태, 즉 상방으로 향하여 회동할 때에는 회전력이 클러치 수단에 의해 댐퍼 수단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댐퍼 수단에 의한 제동력이 작동하고, 홀더 본체(40)가 천천히 또한 정숙하게 상방으로 회동하여 전개한다. 이것에 대해, 전개 상태의 횡측 홀더(60)를 베이스 프레임(30)의 수납부(31)로 향하여 하방으로 수동으로 회동할 때에는 클러치 수단에 의해 홀더 본체(40)의 회전력의 전달이 끊어진다. 이로 인해, 비교적 작은 혹은 가벼운 힘에 의해, 수동으로 홀더 본체(40)를 하방으로 회동하여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홀더 본체(40)는 먼저 설명한 푸시ㆍ푸시식의 래치 기구의 로크 수단에 의해 로크되고, 횡측 홀더(60)를 수납 위치를 지나치도록 베이스 프레임(30)의 수납부(31)로 향하여 조금 밀어넣는 것에 의해,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푸시ㆍ푸시식의 래치 기구를 병용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30)의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오목부(32)를 생략할 수 있고, 수납 상태에 있어서 수납식 홀딩장치(10)의 외면 형상을 평평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10: 수납식 홀딩장치 20, 21: 전자기기
30: 베이스 프레임 31: 수납부
32: 오목부 33: 고정부
34: 장착부 40: 홀더 본체
50: 하측 홀더 60: 횡측 홀더
70: 장착체 71: 장착 구멍
80: 베이스 바닥부 81: 절결부
82: 프레임 83: 맞닿음 편
90: 베이스 측부 91: 축받이
92: 수납시 작은 구멍 93: 전개시 작은 구멍
94: 장출부 100: 하측 홀더 바닥부
110: 하측 홀더 측부 111: 돌출축
120: 스토퍼 121: 돌조부
122: 돌기부 130: 횡측 홀더 바닥부
131: 플랜지부 140: 횡측 홀더 측부
141: 회전축 142: 탄성 돌기
143: 슬릿 150: 밀어올림부
160: 완충재 170: 보호 부재
a∼c: 첩부 위치

Claims (5)

  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하측 홀더 및 횡측 홀더를 가지는 ㄴ자 형상의 홀더 본체로 이루어지며,
    장착체의 오목한 곳 내에 얹히는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로서,
    상기 홀더 본체를 상기 오목한 곳으로부터 회전하여 인출하고, 상기 홀더 본체의 ㄴ자 형상의 내각(內角)을 따라서 상기 전자기기를 경사 형상으로 홀딩 가능하게 하고,
    상기 하측 홀더와 상기 횡측 홀더는 동일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호 홀딩되고,
    상기 횡측 홀더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횡측 홀더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하측 홀더가 밀어 올려지고, 상기 횡측 홀더와의 연동에 의해서 하측 홀더에 설치한 스토퍼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맞닿음 편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홀더 본체가 일정 각도를 유지한 경사 상태에서, 상기 홀더 본체의 ㄴ자 형상의 내각을 이루는 상기 하측 홀더의 하측 홀더 바닥부와 상기 횡측 홀더의 횡측 홀더 바닥부를 상기 전자기기의 얹어놓음면으로 하여 홀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를 경사 형상으로 상기 홀더 본체에 홀딩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무게 중심 위치를 상기 홀더 본체의 회전축 상에 가깝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장착체의 상기 오목한 곳 내로 빠지는 상면이 개방한 수납부를 가지며,
    상기 수납부 내에 상기 하측 홀더와 상기 횡측 홀더를 겹침 형상으로 접어서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내에 상기 하측 홀더와 상기 횡측 홀더를 겹쳐서 수납했을 때에, 상기 횡측 홀더의 이면을 덮개부로서 상기 수납부의 개방 상면을 닫고,
    이때, 상기 덮개부의 상면이 상기 장착체의 표면과 면일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KR1020160064019A 2015-06-22 2016-05-25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KR101795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25185A JP6368281B2 (ja) 2015-06-22 2015-06-22 電子機器の収納式保持装置
JPJP-P-2015-125185 2015-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82A KR20160150582A (ko) 2016-12-30
KR101795932B1 true KR101795932B1 (ko) 2017-11-08

Family

ID=5773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019A KR101795932B1 (ko) 2015-06-22 2016-05-25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68281B2 (ko)
KR (1) KR101795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6611B2 (ja) 2017-03-31 2020-02-14 株式会社ニフコ 保持装置
JP2020087058A (ja) * 2018-11-28 2020-06-04 株式会社オカムラ タブレット入力補助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6140A (ja) 2000-02-24 2001-08-31 Sharp Corp 電子機器用携帯電話機接続装置
KR200235351Y1 (ko) 1997-12-31 2001-09-25 황한규 전자기기의 리모트 콘트롤러 수납장치
CN203005297U (zh) 2012-11-15 2013-06-19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车用手机存放盒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5927A (ja) 1991-01-25 1992-12-09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1220520A (ja) * 1997-09-24 1999-08-10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話機ホルダー
TWM406338U (en) 2011-01-04 2011-06-21 Nifco Taiwan Corp Rotational supporting rack
JP2013189120A (ja) * 2012-03-14 2013-09-26 Toyota Boshoku Corp 車載用収容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351Y1 (ko) 1997-12-31 2001-09-25 황한규 전자기기의 리모트 콘트롤러 수납장치
JP2001236140A (ja) 2000-02-24 2001-08-31 Sharp Corp 電子機器用携帯電話機接続装置
CN203005297U (zh) 2012-11-15 2013-06-19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车用手机存放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68281B2 (ja) 2018-08-01
JP2017011507A (ja) 2017-01-12
KR20160150582A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79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pport assembly
CN210454674U (zh) 电子装置保持架
WO2010150616A1 (ja) 車載用ケーブルホルダー
JP3973989B2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5336156B2 (ja) 移動体のロック機構
JP5832797B2 (ja) カップホルダ
US6681969B1 (en) Container assembly
CN211107200U (zh) 用于车辆的储物装置及车辆
KR101795932B1 (ko)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CN105916733B (zh) 操纵台总成
KR101405569B1 (ko)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JP2002104052A (ja) 小物収納装置
JP2005212899A (ja) 収納ボックス
JP4977381B2 (ja) 車両用係止装置
JP2002337614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0135950A (ja) 車両用物入れ装置
KR101844916B1 (ko) 자동차 도어 트림
JP2005096614A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WO2011129082A1 (ja) 開閉式バスケット
JP2019139512A (ja) 電子機器の盗難防止接続具用アダプター
JP6089652B2 (ja) カップホルダー
US8720840B2 (en) Container-supporting apparatus
JP5053757B2 (ja) テーブル装置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4103408A (ja) スロットコネクタ
KR20110000863A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