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863A -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863A
KR20110000863A KR1020090058165A KR20090058165A KR20110000863A KR 20110000863 A KR20110000863 A KR 20110000863A KR 1020090058165 A KR1020090058165 A KR 1020090058165A KR 20090058165 A KR20090058165 A KR 20090058165A KR 20110000863 A KR20110000863 A KR 20110000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utton
rod
lead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기
강명훈
강병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8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863A/ko
Publication of KR2011000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4Arrangemen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which engage one another are mounted respectively on the wing and the frame and are both movable, e.g. for release by moving either of them
    • E05B63/248Arrangemen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which engage one another are mounted respectively on the wing and the frame and are both movable, e.g. for release by moving either of them the striker being movable for latching, and pushed back by a member on the wing for unlatching, or vice versa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61Sp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부(20); 상기 리드부(20)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30); 상기 리드부(20)에 수평방향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누름부(30)와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고정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30) 및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리드부(20)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부의 개폐구조를 개선하여 리드부의 두께를 슬림화시키며 물품을 수용하는 내부 수용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글로브 박스

Description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A Glove Box For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드부의 개폐구조를 개선하여 리드부의 두께를 슬림화시키며 물품을 수용하는 내부 수용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크고 작은 물건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여러 보관 장소들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교적 큰 물건들을 보관하며 자동차의 외부에서 물건을 인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 트렁크(trunk)와, 비교적 작고 가벼운 물건들을 보관하며 자동차의 실내에서 운전자와 승객이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브 박스(glove box)가 있다.
또한, 물건의 부피가 크거나 또는 길이가 길어 자동차의 실내 또는 트렁크에 보관하지 못할 경우에는 별도의 장치를 자동차의 루프에 설치하여 운반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글로브 박스(101)는 자동차의 조수석 전면에 장착되는 하우징(110, housing)과,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수용 공간(S) 갖는 리드(120, lid)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부에는 리드부(120)가 힌지(115)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상기 글로브 박스(101)에는 하우징(110)의 내부로부터 리드부(120)를 선택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는 하우징(110)과 리드부(120)에 장착되는데, 주된 부품이 리드부(12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의 구조로 다양한 타입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하우징(110)과 리드부(120)의 가장자리 가운데 1지점에 상호 결합위치를 갖는 1지점 당김구조 및 눌림구조가 있다.
당김구조는 공지된 바와 같이 로크(Lock,미도시)가 가운데 1지점을 거는 구조로서, 로크를 잡아 당길 때 스트라이커(Striker, 미도시)가 해제되어 리드부가 개방되는 구조이며, 눌림구조는 로크를 누를 때 스트라이커가 해제되어 리드부가 개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의 다른 타입으로 로크가 하우징(110) 내측의 양단의 2지점을 거는 구조로서, 로크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서 스트라이커가 해제되는 2지점 당김구조 및 눌림구조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로크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미도시) 내측을 손가락으로 걸어 당겨 리드부(120)의 전면 상부로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 및 손잡이의 회동을 고려하여 리드부의 전면에는 상대적으로 함몰된 공간이 많이 필요해 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2지점 당김구조 및 눌림구조에 사용되는 잠금수단은 그 구조가 복잡하므로 전술한 바와 함께 리드부의 두께(H)가 두꺼워지는 문제의 원인이 된다.
나아가, 1지점 당김구조 및 눌림구조를 갖는 잠금장치는 수용공간(S)의 내측 중앙역에 돌출된 부분(111)을 갖게 되므로, 이처럼 리드부(12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S)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리드부의 두께를 슬림화시켜 수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다 손쉬운 동작으로 리드부를 개폐하도록 잠금구조를 개선하고 제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부(20); 상기 리드부(20)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30); 상기 리드부(20)에 수평방향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누름부(30)와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고정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30) 및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리드부(20)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를 제공한다.
상기 리드부(20)의 전면(21)에는 상기 누름부(30)의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버튼홈(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30)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버튼홈(21a)에 끼워지는 버튼(31); 상기 버튼(31)의 양 측에서 각각 연장되며 경사면(33a)이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로드(33); 상기 버튼(31)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이드(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슬라이딩로드(33)의 경사면(33a)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수평이동하는 수평로드(41); 상기 수평로드(41)와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마련된 끼움홈(1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로드(44); 상기 수평로드(41)와 끼움로드(44)를 연결하는 수직로드(42); 상기 수직로드(42)를 수평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 공간(S)을 가지며 내측 양쪽에 끼움홈(11)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S)을 개폐하는 리드부(20); 상기 리드부(20)에 수직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누름부(30); 일단이 상기 누름부(30)와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끼움홈(1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누름부(30)의 수직 이동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리드를 개폐하는 한 쌍의 고정부(4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손 조작에 필요한 리드부 공간을 줄이고 복잡한 잠금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리드부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으며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리드부의 두께가 슬림화되고, 수납공간 중앙 영역이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납공간이 넓어진다.
셋째, 손가락으로 가볍게 버튼을 누르거나 떼는 동작으로 박스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쉬우며, 제품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확보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글로브 박스의 전면 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로서 잠금 상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열림 상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글로브 박스(1)는 차량 내부의 인스트루먼트 패널(2, Instrument)에 설치되어 비교적 작은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글로브 박스(1)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10)과,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에 하부 영역이 힌지 등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리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양 측면부에는 끼움홈(11)이 마련되어, 후술할 끼움로드(44)의 끼움단부(44a)가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끼움로드(40)의 끼움단 부(44a)는 상기 끼움홈(11)들의 대응하도록 리드부(20)의 양 측면(23, 25)에 각각 위치하며 끼움홈(11)에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도록 움직인다.
상기 끼움단부(44a)가 하우징(10)의 끼움홈(11)에 끼워지면 상기 리드부(20)는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고, 끼움단부(44a)가 끼움홈(11)으로부터 빠지면 상기 리드부(20)는 하우징(10)으로부터 회동하여 수용공간(S)을 드러내도록 개방된다.
본 발명은 상기 리드부(20)를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되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잠금구조를 단순화시키도록 리드부(20)에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글로브 박스에 비해 리드부(120)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수용 공간(S)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부(20)에는 도면에서 볼 때 상하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누름부(30)가 탄성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고정부(40)가 수평방향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누름부(30)는 상기 리드부(20)의 전면(21)에 함몰 형성된 버튼홈(21a)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버튼(31)과, 상기 버튼(31)의 양 측에서 각각 연장되며 경사면(33a)이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로드(33)와, 상기 버튼(31)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이드(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튼(31)이 끼워지는 버튼홈(21a)은 상기 리드부(20)의 전면(21) 아래로 함몰 상태에서 상부 측면이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버튼(31)은 상기 개구된 상부 측면 내측으로 상기 버튼(31)이 상부 영역이 삽입되고 나머지 하부 영역이 버튼홈(21a)의 중앙 부위만큼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버튼(31)은 사용자가 하부영역을 누름에 따라 버튼홈(21a)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31)에는 자동차의 키(key)가 삽입되어 리드부(20)를 하우징(10)의 내부에 완전하게 잠금도록 하는 키홈(31a)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버튼(31)에 형성된 키홈(31a)을 자동차의 키(key)가 삽입되어 회전시킴에 따라 버튼(31)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홈(21a)에 손가락을 넣고 노출된 버튼(31)의 하부영역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거나 키를 키홈(31a)에 꼽고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누름부(30)의 버튼(31)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버튼(31)에서 연장되는 슬라이딩로드(33)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버튼(31)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로드(33)는 수평과 수직으로 절곡된 'L' 자 형태로 마련되며, 수직방향의 단부에는 경사면(33a)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3a)에는 후술할 고정부(40)의 수평로드(41)가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접촉된다.
상기 버튼(31)과 상기 슬라이딩로드(33)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31)이 수직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로드(33) 역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버튼(31)의 수직 이동을 위해 상기 버튼(31)은 탄성가이드(35)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다. 상기 탄성가이드(35)는 상기 리드부(20)의 내측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버튼(31)의 상부 영역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5a)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35a)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버튼(31)을 하부 방향으 로 밀도록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버튼(31)을 수직 상방으로 밀면 스프링(35a)이 더욱 압축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며, 버튼(31)을 밀던 손가락을 떼면 버튼(31)이 스프링(35a)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탄성가이드(35)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지 않고 탄성고무, 판스프링 등 버튼(31)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부재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40)는 일측이 상기 누름부(30)와 접촉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로드(41)와, 상기 수평로드(41)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로드(42)와, 상기 수직로드(4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3)와,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끼움홈(11)에 끼워지는 끼움로드(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로드(41)에는 상기 누름부(30)의 슬라이딩로드(33)의 경사면(33a)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경사면(41a)이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로드(33)의 일단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41b)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30)의 슬라이딩로드(33)가 수직으로 이동할 때 수평로드(41)의 경사면(41s)는 슬라이딩로드(33)의 경사면(33a)과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직로드(42)는 수평로드(41)에서 수직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탄성부재(43)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스프링공(42a)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로드(44)는 상기 수평로드(41)와 나란하게 상기 수직로드(42)로부터 연장되며,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마련된 끼움홈(1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단부(44a)가 마련된다.
상기 끼움단부(44a)는 로드부(20)의 양 측면(23, 25)을 관통하여 하우징(10)을 향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데, 끼움로드(44)가 수평으로 이동함에 따라 끼움단부(44a)는 상기 하우징(10)의 끼움홈(1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 끼움단부(44a)는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선단이 부드러운 곡선형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끼움홈(11)에 끼워지거나 빠지는 동작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끼움단부(44a)의 형상은 원기둥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중앙영역이 절곡되거나 영문 'L'자 형상을 갖도록 얼마든지 변형가능할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43)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수직로드(42)의 스프링공에 고정되고 타단이 타단이 상기 로드부(4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3)는 수직로드(42)가 누름부(30)를 향하여 수평방향 내측으로 이동할 때 인장되고, 끼움홈(11)을 향하여 이동할 때 수축되면서 탄성복원된다.
따라서, 탄성부재(43)는 수직로드(42)는 수평방향으로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끼움로드(44)의 끼움단부(44a)가 하우징(10)의 끼움홈(11)에 끼워지는 길이로 리드부(20)의 양 측면(23, 25)에 노출시키거나 끼움홈(11)에서 빠지도록 끼움로드(44)의 이동범위를 탄성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자동차 글로브 박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름부(30)의 버튼(31)을 손가락으로 밀어 올리게 되면, 누름부(30)가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로드(33) 역시 탄성가이드(3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로드(33)의 경사면(33a)에 접촉되면서 수평방향으로 탄성지지되었던 고정부(40)의 수평로드(41)가 경사면(33a)을 따라 화살표 방향처럼 누름부(30)를 향해 내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누름부(30)의 버튼(31)을 밀면, 하우징(10)의 끼움홈(11)에 끼워져 있던 고정부(40)의 끼움단부(44a)가 끼움홈(11)으로부터 빠지게 됨에 따라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던 로드부(20)는 회동하면서 수용공간(S)을 개방하도록 열리게 된다.
반대로 버튼(31)을 밀던 손가락을 떼면 버튼(31)이 탄성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부(30)를 향해 수평 이동했던 수평로드(41)가 탄성부재(43)의 탄성력을 받아 원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면서 끼움로드(44)의 끼움단부(44a)가 리드부(20)의 측면(23, 25)으로 노출된다.
이때, 수용공간(S)이 개방된 리드부(20)의 전면(21)을 사용자가 밀면 리드부(20)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점점 이동하고, 리드부(20)의 측면(23, 25)으로 노출된 끼움단부(44a)와 하우징(10)의 끼움홈(11)이 접촉하게 된다.
이어서, 리드부(20)의 측면(23, 25)에 노출된 끼움단부(44a)가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하우징(10)의 끼움홈(11)에 삽입되도록 끼움로드(44)가 누름부(30)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리드부(20)는 하우징(10) 내에서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글로브 박스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름부(30)를 밀어 올리면서 수납공간(S)을 개방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종래 글로브 박스의 개폐구조 가 손 조작에 필요한 회동공간과 복잡한 구성들을 리드부에 단순하게 구현함에 따라 리드부의 두께가 줄어들고 수납공간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글로브 박스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2지점 잠금구조를 가지므로 수납공간 중앙 영역이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납공간이 넓어지며 손가락으로 가볍게 버튼을 누르거나 떼는 동작으로 박스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쉬우며, 제품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확보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전술한 구성들과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처럼 리드부(20)에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지 않고 하우징(10) 내부에 물건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이 구비되어 리드부(20)가 하우징(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에는 수용공간(S)의 내부 양측에 끼움홈(1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리드부(20)는 하우징(10)의 하방에 힌지 등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공간(S)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수용공간(S)의 개폐는 누름부(30)와 고정부(40)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고정부(40)의 끼움단부(44a)는 하우징(10)의 끼움홈(11)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다시 말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리드부(20)에 수용공간(S)이 형성된 형태이나 본 실시예는 리드부(20)가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공간(S)을 개폐하는 덮개 역할을 하는 것이 다르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의 누름부(30)와 고정부(40)는 본 실시예의 리드부(20)에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에 대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글로브 박스의 전면 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로서 잠금 상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열림 상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끼움홈
20 : 리드부 21 : 전면
21a : 가이드홈 23, 25 : 측면
30 : 누름부 31 : 버튼
33 : 슬라이딩로드 33a : 경사면
35 : 탄성가이드 35a : 스프링
40 : 고정부 41 : 수평로드
42 : 수직로드 43 : 탄성부재
44 : 끼움로드

Claims (5)

  1.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부(20);
    상기 리드부(20)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30);
    상기 리드부(20)에 수평방향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누름부(30)와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고정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30) 및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리드부(20)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20)의 전면(21)에는 상기 누름부(30)의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버튼홈(2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30)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버튼홈(21a)에 끼워지는 버튼(31);
    상기 버튼(31)의 양 측에서 각각 연장되며 경사면(33a)이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로드(33);
    상기 버튼(31)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이드(35)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슬라이딩로드(33)의 경사면(33a)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수평이동하는 수평로드(41);
    상기 수평로드(41)와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마련된 끼움홈(1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로드(44);
    상기 수평로드(41)와 끼움로드(44)를 연결하는 수직로드(42);
    상기 수직로드(42)를 수평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5. 수용 공간(S)을 가지며 내측 양쪽에 끼움홈(11)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S)을 개폐하는 리드부(20);
    상기 리드부(20)에 수직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누름부(30);
    일단이 상기 누름부(30)와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끼움홈(1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누름부(30)의 수직 이동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리드를 개폐하는 한 쌍의 고정부(4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KR1020090058165A 2009-06-29 2009-06-29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KR20110000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65A KR20110000863A (ko) 2009-06-29 2009-06-29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65A KR20110000863A (ko) 2009-06-29 2009-06-29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63A true KR20110000863A (ko) 2011-01-06

Family

ID=4360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165A KR20110000863A (ko) 2009-06-29 2009-06-29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8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213A (ko) * 2014-11-04 2016-05-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프링 장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213A (ko) * 2014-11-04 2016-05-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프링 장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4452B2 (ja) 車両の収納コンパートメントアセンブリ
KR101417535B1 (ko) 자동차의 멀티 박스
KR20140139492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US8100455B2 (en) Overhead console
JP2007038726A (ja) 車両用収納装置
EP3105395A1 (en)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compartment door
KR101470024B1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KR101172576B1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KR101405569B1 (ko)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CN109070808B (zh) 用于车辆内部的储藏隔室
KR20110000863A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KR100642550B1 (ko) 차량용 컵 홀더
JPH07106694B2 (ja) 自動車用のサンバイザ
KR101795932B1 (ko)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JP201025423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3098867B2 (ja) 蓋開閉装置
KR20150094857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킹장치
JP2000135950A (ja) 車両用物入れ装置
KR101844916B1 (ko) 자동차 도어 트림
JP5551453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KR101857492B1 (ko) 차량용 도어의 맵 포켓
KR101601844B1 (ko)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
JP2006327329A (ja) アームレスト
EP4249717A1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liding and rotation
JP2008068638A (ja) 車両用物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