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844B1 -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 - Google Patents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844B1
KR101601844B1 KR1020140144409A KR20140144409A KR101601844B1 KR 101601844 B1 KR101601844 B1 KR 101601844B1 KR 1020140144409 A KR1020140144409 A KR 1020140144409A KR 20140144409 A KR20140144409 A KR 20140144409A KR 101601844 B1 KR101601844 B1 KR 10160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anchor
child sea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4014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바라 형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버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패키지 트레이에 인입되면서 장착되고 내부에는 앵커가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버는 하우징의 개방부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개방부를 여닫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APPARATUS FOR COVERING ANCHOR FOR CHILD SEAT}
본 발명은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바라 형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버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에 관한 것이다.
차일드시트는 차량의 뒷좌석에 추가로 설치되어 아기나 어린아이들이 탑승할 경우에 앉히는 시트를 말한다. 과거에는 차일드시트를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차일드시트의 래치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시트앵커를 차량에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차일드시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시트앵커는 일반적으로 시트의 내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있으며, 차일드시트를 장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시트앵커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일드시트를 차량에 장착할 때 앵커의 커버를 열어서 차일드시트의 래치를 상기 앵커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는 하우징(10)과 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앵커(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는 리어패키지 트레이(미도시)의 상면에 구비되어, 차량에 차일드시트(미도시)를 장착하고자 할 때 상기 커버(30)를 열어서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앵커에 차일드시트의 래치를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커버(3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가장자리가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방식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커버(30)의 타측을 손가락으로 들어올리면서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개방 후에 커버(30)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커버(30)를 손가락으로 개방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과 커버의 타측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마련되어 손가락 끝이 일정부분 삽입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공간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게 되고, 공간의 크기가 작으면 커버를 개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0018호는 커버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밀어서 개방하는 구조를 게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하우징의 내부공간 활용을 현저히 떨어뜨리고, 내부로 밀려 들어간 커버가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원활하게 빠져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상 더욱 불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처럼 외부에서 쉽게 관찰되지는 않지만 커버의 하부에 여전히 개방부가 존재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KR 10-119001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가 휘어지거나 말리면서 수평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커버가 하우징에 닫혀있을 때는 내부가 보이는 공간이나 틈이 없이 깔끔한 외관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커버를 개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커버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자연스럽게 개방되도록 하여 커버를 개방한 후에도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서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패키지 트레이에 인입되면서 장착되고 내부에는 앵커가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버는 하우징의 개방부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개방부를 여닫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버는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커버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마디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각 마디는 인접한 마디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커버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 각 마디 사이가 휘어지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커버는 자바라형상으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접히면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커버는 일단의 상부에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타단에 회절유닛이 더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회절유닛을 따라 내측으로 말리면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하우징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보호캡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캡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보호캡의 타단 하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의 회절유닛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는 커버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손가락을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이 손가락으로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밀어서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공간을 마련할 필요도 없으며, 커버가 개방되거나 닫히는 경우에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하거나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 틈이나 공간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시트의 앵커 커버장치는 앵커가 수납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부(103)에 구비되는 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시트의 앵커 커버장치는 차량의 뒷좌석, 특히 리어패키지 트레이에 설치되어 차일드시트(미도시)의 래치가 결합하는 공지의 구성이다. 차일드시트는 래치가 앵커에 견고하게 체결되면서 결합되어 어린아이가 착석한 상태에서 충돌사고가 나더라도 차일드시트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동시에 래치에 연결된 충격흡수장치가 충격을 흡수하여 아이들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게 된다. 차일드시트와 래치 및 상기 래치가 결합되는 앵커 등은 공지의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시트의 앵커 커버장치는 앵커를 수납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부(103)를 개폐하는 커버(13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버(130)는 하우징(100)의 개방부(103)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개방부(103)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일측에 개방부(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앵커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앵커를 수용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변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우징(100)의 개방부(103)에는 길이방향(커버가 이동하는 방향을 말함, 이하 동일)을 따라 양측에 가이드부(150)가 구비되어 있고, 커버(130)는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가 가이드부(150)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부(150)를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개방부(103) 방향의 상부에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하우징(100)과 가이드부(150)의 일부나 전부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150)는 후술하여 설명할 판상의 구조를 가지는 커버(130)가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50)가 커버(130)의 측면방향으로 요(凹)부 또는 철(凸)부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50)에 결합되는 커버(130)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가이드부(15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반대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커버(130)와 가이드부(150)가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150)의 외측하부로 커버(130)의 양측 가장자리가 감싸면서 결합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가이드부(150)와 상기 가이드부(150)에 결합되는 커버(130)의 양측 가장자리의 형상은 수평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50)는 타단에 회절유닛(15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절유닛(155)은 가이드부(150)의 일부가 내측(도면에서 하부방향, 차량의 트레이방향)으로 반구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커버(130)를 개방할 경우에 상기 커버(130)가 회절유닛(155)을 따라 내측으로 말리면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의 상부에는 하우징(100)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보호캡(1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개구부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보호캡(170) 또한 직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캡(170)은 트레이의 표면에 걸쳐지면서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시트의 앵커 커버장치가 차량의 트레이에 장착되도록 한다. 보호캡(170)은 가이드부(150)와 개구부의 상부에 부착되도록 결합되는데, 이때 가이드부(150)의 타단은 가이드부(150)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커버(130)가 가이드부(150) 상에서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커버(130)가 보호캡(170)의 타단 하부를 통과하면서 가이드부(150)의 회절유닛(15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말리게 된다.
커버(130)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가 가이드부(150)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150)를 따라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커버(130)의 일단의 상부면에는 걸림턱(135)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걸림턱(135)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어서 커버(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이 내측으로 반구형상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가이드부(150)가 휘어진 경우, 즉 회절유닛(155)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커버(130)는 회절유닛(155)을 따라 휘어지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커버(130)가 휘어지도록 구성하는 방법은 상기 커버(130)의 재질을 쉽게 휘어지는 재질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버(130)의 재질을 유연한 재질의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커버(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마디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마디가 인접한 마디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상기 커버(130)가 길이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커버(130)는 자바라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130)가 길이방향으로 접히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커버(130)가 회절유닛(155)의 형상을 따라 휘어지면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시트의 앵커 커버장치의 동작방법을 살펴보면, 커버(130)는 걸림턱(135)을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밀면 가이드부(150)를 따라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커버(130)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커버(130)가 하우징(100)의 개방부(103)를 닫게 되고, 커버(130)가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커버(130)가 하우징(100)의 개방부(103)를 열개된다. 그리하여 커버(130)가 하우징(100)의 개방부(103)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와 같이 하우징(100)의 개방부(103)에 커버(130)의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커버(130)를 하우징(100)의 개방부(103)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여닫는 경우에는 커버(130)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30)와 하우징(100) 사이에 손가락 끝을 삽입할 수 있는 틈이나 돌출된 형상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고, 커버(130)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커버(130)를 개방한 후에 상기 커버(130)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시트의 앵커 커버장치는 커버(13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때문에 커버(130)의 표면에 작은 걸림턱(135)이나 돌기만 마련되어 있어도 커버(130)를 움직이는데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으며(심지어는 걸림턱이 없어도 구동가능), 커버(130)를 개방하거나 닫은 경우에 커버(13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하우징
103: 개방부
130: 커버
135: 걸림턱
150: 가이드부
155: 회절유닛
170: 보호캡

Claims (6)

  1. 차량의 리어패키지 트레이에 인입되면서 장착되고 내부에는 앵커가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버는 하우징의 개방부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개방부를 여닫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버는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커버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마디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각 마디는 인접한 마디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커버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 각 마디 사이가 휘어지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일단의 상부에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타단에 회절유닛이 더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회절유닛을 따라 내측으로 말리면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하우징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보호캡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캡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보호캡의 타단 하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의 회절유닛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시트의 앵커 커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44409A 2014-10-23 2014-10-23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 KR10160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09A KR101601844B1 (ko) 2014-10-23 2014-10-23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09A KR101601844B1 (ko) 2014-10-23 2014-10-23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844B1 true KR101601844B1 (ko) 2016-03-10

Family

ID=5553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409A KR101601844B1 (ko) 2014-10-23 2014-10-23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5223A (zh) * 2020-02-18 2021-09-03 奥托立夫开发公司 用于座椅安全带安装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245Y1 (ko) * 2001-05-23 2001-10-15 신승기 슬라이드식 다용도 도시락 용기
JP2008120356A (ja) * 2006-11-15 2008-05-29 Suzuki Motor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ー装置及びパーテーショントリム
KR101190018B1 (ko) 2010-07-23 2012-10-12 현대다이모스(주)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장치
JP2013011815A (ja) * 2011-06-30 2013-01-17 Panasonic Corp カバー装置とこれを用いたカバー装置付表示パネ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245Y1 (ko) * 2001-05-23 2001-10-15 신승기 슬라이드식 다용도 도시락 용기
JP2008120356A (ja) * 2006-11-15 2008-05-29 Suzuki Motor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ー装置及びパーテーショントリム
KR101190018B1 (ko) 2010-07-23 2012-10-12 현대다이모스(주)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장치
JP2013011815A (ja) * 2011-06-30 2013-01-17 Panasonic Corp カバー装置とこれを用いたカバー装置付表示パネ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5223A (zh) * 2020-02-18 2021-09-03 奥托立夫开发公司 用于座椅安全带安装的装置
CN113335223B (zh) * 2020-02-18 2023-04-14 奥托立夫开发公司 用于座椅安全带安装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165B1 (ko) 수납 공간을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EP2853441B1 (en) Vehicle seat
US7495158B2 (en)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a keyboard instrument cover
US9937867B2 (en) Deployable, expandable storag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20080111417A1 (en) Child seat anchor apparatus and partition trim
US10160363B2 (en) Baby changing station for a motor vehicle
KR101601844B1 (ko)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
WO2018186266A1 (ja) 遮光部材および遮光構造
US9770964B1 (en) Vehicle sun visor
JP4377336B2 (ja) 車両ルーフのカバーストリップ内の組付け凹部のためのカバー装置
US9598885B2 (en) Locking member, door stop, and rod locking system
US9141138B2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5509890A (ja) 喫煙品用パック
KR102588817B1 (ko)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KR200487522Y1 (ko)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JP6068972B2 (ja) 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JP5429800B2 (ja) ワンタッチ開閉キャップ
KR200448664Y1 (ko)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US4932708A (en) Safety cover for vehicle door mechanisms
KR100828608B1 (ko) 차량용 러기지 박스의 개폐어셈블리
KR102416450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여닫이 도어용 스토퍼
JP2002012030A (ja) バニティミラー付き車両用サンバイザ
KR101610547B1 (ko) 원터치 슬라이딩 차일드 앵커구조
KR101857492B1 (ko) 차량용 도어의 맵 포켓
KR20110000863A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