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522Y1 -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 Google Patents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522Y1
KR200487522Y1 KR2020160006907U KR20160006907U KR200487522Y1 KR 200487522 Y1 KR200487522 Y1 KR 200487522Y1 KR 2020160006907 U KR2020160006907 U KR 2020160006907U KR 20160006907 U KR20160006907 U KR 20160006907U KR 200487522 Y1 KR200487522 Y1 KR 200487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inge
door
connection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673U (ko
Inventor
이강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Priority to KR2020160006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2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와 문틀의 경첩결합부 외측에 종방향으로 외부안전커버를 설치하여 도어를 닫을 때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경첩(10)으로 연결된 문틀(20)과 도어(30)의 경첩결합부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외부안전커버(100)로서, 상기 외부안전커버(100)는 경첩(10)의 힌지부(11)를 감싸도록 각각 결합되는 경첩커버(110); 상기 경첩커버(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커버(120); 상기 연결커버(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130); 상기 연결커버(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Outer safety cover for hinged door}
본 고안은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와 문틀의 경첩결합부 외측에 종방향으로 외부안전커버를 설치하여 도어를 닫을 때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이나 방문을 포함한 대부분의 출입문은 도어가 문틀에 경첩으로 힌지 결합되는 여닫이식 도어의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여닫이식 도어는 결합된 경첩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동작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어가 경첩결합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됨에 따라, 도어의 경첩결합부가 문틀의 경첩결합부로부터 이격되었다가 다시 밀착되는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을 하는 도어와 문틀의 경첩결합부 사이의 이격공간에 손가락이 끼게 되는 경우 손가락 부상을 당하게 되는 위험성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유치원이나 학교 등에서는 아이들이 그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개방된 도어의 경첩결합부 틈새에 손가락을 댄 상태로 놀고 있다가, 다른 아이가 도어를 갑자기 닫는 바람에 손가락이 도어와 문틀의 경첩결합부 사이에서 눌려 부상을 입게 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출입문은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실내외 양쪽방향에서 각각 밀거나 잡아당겨 열고 닫을 수 있는 여닫이형태와 좌우로 밀어 열고 닫을 수 있는 미닫이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여닫이형태의 출입문의 경우에는 비교적 지각운동이 떨어지는 어린이나 노약자가 출입문을 열고 닫을 때에 실수로 통상 경첩으로 연결되는 벽체와 출입문 안쪽부위에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는 사고자의 인생을 평생 불행하게 할 수도 있어 그 심각성이 문제시되어 왔던 것이다.
이와 같이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나 유아 등의 경우 경첩의 힌지부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와 문틀 사이에 손이 끼인 상태에서 여닫이 도어를 닫아 크고 작은 손낌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손낌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1999-0023854호 "어린이 손가락 부상 방지 도어"와 같은 선행기술 등이 다양하게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밀폐체를 이용한 경우 문틀과 도어 사이 틈새를 밀폐체가 차단하고 있으므로 손가락이 낄 때 밀폐체에 먼저 걸리게 되지만, 어린이가 일부러 플렉시블한 재질의 밀폐체에 손가락을 밀어 넣을 경우 밀폐체가 손가락과 함께 문틀과 도어 사이 틈새로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게 되는 사고가 발생하여도 이를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실용신안출원 제1999-0023854호(출원일자 : 1999.11.02)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도어와 문틀의 경첩결합부 외측에 종방향으로 외부안전커버를 설치하여 도어를 닫을 때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어린이 등이 부주의나 장난삼아 손가락으로 외부안전커버를 안쪽으로 밀어 넣을 경우, 외부안전커버가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손가락이 외부안전커버에 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문틀과 도어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 외관이 미려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경첩으로 연결된 문틀과 도어의 경첩결합부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외부안전커버로서, 상기 외부안전커버는 경첩의 힌지부를 감싸도록 각각 결합되는 경첩커버, 상기 경첩커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커버, 상기 연결커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 상기 연결커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경첩커버는 경첩의 힌지부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후방은 힌지부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하고, 상기 경첩커버의 일측 상,하부와 타측 중앙부에는 힌지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탄성고정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경첩커버의 상부와 하부에는 연결커버에 끼워지는 연결부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경첩커버의 일측 중앙부에는 도어에 결합된 경첩의 회동편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연결커버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경첩커버에 끼워지는 경질의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질의 절첩부와, 상기 절첩부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문틀과 도어에 압입돌기, 피스, 양면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경질의 고정부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연결커버는 원통형의 경질 파이프로 구성하여 경첩커버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서 결합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에 따르면, 문틀과 도어의 경첩결합부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외부안전커버가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도어를 닫을 때 경첩결합부의 외측에서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어린이 등이 부주의나 장난삼아 손가락으로 외부안전커버를 안쪽으로 밀어 넣을 경우, 외부안전커버의 전면으로 배치된 커버부가 경질로 이루어져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손가락이 외부안전커버에 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경첩커버를 경첩의 힌지부에 간단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밀어 끼워서 결합할 수 있고, 압입돌기나 피스 또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커버를 문틀과 도어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 외부안전커버의 외관이 미려하므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a,2b는 도 1의 A -A선 단면도와 B - B선 단면도.
도 3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외부안전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5a,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a,6b,6c는 본 고안에 따른 180도 열림용 경첩커버를 보인 측면도와 배면도 및 C - C선 단면도.
도 7a,7b,7c는 본 고안에 따른 110도 열림용 경첩커버를 보인 측면도와 배면도 및 D - D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첩(10)으로 연결된 문틀(20)과 도어(30)의 경첩결합부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외부안전커버(100)로서, 상기 외부안전커버(100)는 경첩(10)의 힌지부(11)를 감싸도록 각각 결합되는 경첩커버(110); 상기 경첩커버(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커버(120); 상기 연결커버(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130); 상기 연결커버(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외부안전커버(100)는 문틀(20)과 도어(30)의 경첩결합부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외부안전커버(100)는 경첩커버(110), 연결커버(120), 상부캡(130), 하부캡(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안전커버(100)는 도어(30)를 닫을 때 도어(30)의 외측에서 문틀(20)과 도어(30) 사이로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경첩커버(110)는 경첩(10)에 원터치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경첩커버(110)는 경첩(10)의 힌지부(11)를 감싸도록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경첩커버(110)는 문틀(20)과 도어(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경첩(10)에 각각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경첩커버(110)는 경첩(10)의 힌지부(11)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은 힌지부(11)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기 경첩커버(110)의 일측 상,하부와 타측 중앙부에는 힌지부(11)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탄성고정부(111)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경첩커버(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연결커버(120)에 끼워지는 연결부(112)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첩커버(110)의 후방은 개방되므로 경첩커버(110)를 경첩(10)의 힌지부(11)에 간단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밀어 끼워서 결합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결합하면 상기 경첩커버(110)의 양측에 형성된 탄성고정부(111)가 경첩(10)의 힌지부(11)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경첩커버(110)의 일측 중앙부에는 도어(30)에 결합된 경첩(10)의 회동편(12)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부(1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문틀(20)에 경첩(10)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도어(30)의 열림 각도는 90도에서 180도로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도 6a,6b,6c에서와 같이 상기 단속부(113)는 도어(30)가 180도 열리도록 형성할 수 있고, 도 7a,7b,7c에서와 같이 상기 단속부(113)는 도어(30)가 110도 열리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커버(120)는 경첩커버(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커버(120)는 문틀(20)과 도어(30)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연결커버(120)는 문틀(20)과 도어(30)의 상부와 하부 경첩(10)에 각각 결합된 경첩커버(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커버(120)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경첩커버(110)에 끼워지는 경질의 커버부(121)와, 상기 커버부(12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질의 절첩부(122)와, 상기 절첩부(12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문틀(20)과 도어(30)에 압입돌기(123a), 피스(123b), 양면테이프(123c)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경질의 고정부(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121)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경첩커버(110)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커버부(121)는 경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버부(121)는 문틀(20)과 도어(30)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30)가 열린 상태에서 어린이 등이 부주의나 장난삼아 손가락으로 외부안전커버(100)의 전면으로 배치된 커버부(121)를 안쪽으로 밀어 넣을 경우, 외부안전커버(100)의 커버부(121)가 경질로 이루어져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손가락이 외부안전커버(100)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첩부(122)는 커버부(12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절첩부(122)는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절첩부(122)는 도어(30)의 개폐작동시 커버부(121)와 고정부(123) 사이에서 플렉시블하게 접혀지는 절첩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부(123)는 절첩부(12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부(123)는 경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부(123)는 문틀(20)과 도어(30)에 압입돌기(123a), 피스(123b), 양면테이프(123c)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23)는 문틀(20)과 도어(30)에 각각 고정되어 절첩부(12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123)는 문틀(20)과 도어(30)에 압입돌기(123a)를 압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틀(20)과 도어(30)에는 압입돌기(123a)가 압입되는 압입홈이 형성된다.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123)는 문틀(20)과 도어(30)에 피스(123b)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123)는 문틀(20)과 도어(30)에 양면테이프(123c)를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커버(120)는 원통형의 경질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커버(120)는 원통형의 경질 파이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로 이루어진 연결커버(120)를 경첩커버(110)의 연결부(112)에 간단하게 끼워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캡(130)은 연결커버(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캡(130)은 도 1에서와 같이 연결커버(120)들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연결커버(120)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상기 하부캡(140)은 연결커버(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캡(140)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연결커버(120)들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연결커버(120)의 하부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안전커버(100)의 양측 절첩부(122)는 도 2b에서와 같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안전커버(100)의 양측 절첩부(122)는 도 3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외부안전커버(100)에 의해 문틀(20)과 도어(30)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기 때문에, 경첩결합부의 외측에서 문틀(20)과 도어(30) 사이의 틈새로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안전커버(100)의 전면으로 배치된 커버부(121)는 경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손가락으로 눌러도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문틀(20)과 도어(30)의 경첩결합부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외부안전커버(100)가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도어(30)를 닫을 때 경첩결합부의 외측에서 문틀(20)과 도어(30)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도어(30)가 열린 상태에서 어린이 등이 부주의나 장난삼아 손가락으로 외부안전커버(100)를 안쪽으로 밀어 넣을 경우, 외부안전커버(100)의 전면으로 배치된 커버부(121)가 경질로 이루어져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손가락이 외부안전커버(100)에 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경첩커버(110)를 경첩(10)의 힌지부(11)에 간단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밀어 끼워서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압입돌기(123a)나 피스(123b) 또는 양면테이프(123c)를 이용하여 연결커버(120)를 문틀(20)과 도어(30)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 외부안전커버(100)의 외관이 미려하므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경첩 11 : 힌지부
12 : 회동편 20 : 문틀
30 : 도어 100 : 외부안전커버
110 : 경첩커버 111 : 탄성고정부
112 : 연결부 113 : 단속부
120 : 연결커버 121 : 커버부
122 : 절첩부 123 : 고정부
123a : 압입돌기 123b : 피스
123c : 양면테이프 130 : 상부캡
140 : 하부캡

Claims (5)

  1. 경첩(10)으로 연결된 문틀(20)과 도어(30)의 경첩결합부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외부안전커버(100)로서,
    상기 외부안전커버(100)는 경첩(10)의 힌지부(11)를 감싸도록 각각 결합되는 경첩커버(110);
    상기 경첩커버(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커버(120);
    상기 연결커버(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130);
    상기 연결커버(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140)을 포함하고,
    상기 경첩커버(110)는 경첩(10)의 힌지부(11)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은 힌지부(11)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기 경첩커버(110)의 일측 상,하부와 타측 중앙부에는 힌지부(11)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탄성고정부(111)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경첩커버(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연결커버(120)에 끼워지는 연결부(112)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커버(110)의 일측 중앙부에는 도어(30)에 결합된 경첩(10)의 회동편(12)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부(1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120)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경첩커버(110)에 끼워지는 경질의 커버부(121)와, 상기 커버부(12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질의 절첩부(122)와, 상기 절첩부(12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문틀(20)과 도어(30)에 압입돌기(123a), 피스(123b), 양면테이프(123c)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경질의 고정부(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120)는 원통형의 경질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KR2020160006907U 2016-11-28 2016-11-28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KR200487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07U KR200487522Y1 (ko) 2016-11-28 2016-11-28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07U KR200487522Y1 (ko) 2016-11-28 2016-11-28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673U KR20180001673U (ko) 2018-06-07
KR200487522Y1 true KR200487522Y1 (ko) 2018-10-02

Family

ID=6259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907U KR200487522Y1 (ko) 2016-11-28 2016-11-28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699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여닫이 문 틈새 끼임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880B1 (ko) * 2020-03-09 2020-05-21 김서연 손가락 끼임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8880A (ja) * 2014-12-09 2016-06-20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ドア用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166A (ja) 1997-08-29 1999-03-16 Sony Corp 映像信号への付加情報の重畳方法および重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8880A (ja) * 2014-12-09 2016-06-20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ドア用安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699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여닫이 문 틈새 끼임 방지장치
KR102280385B1 (ko) * 2019-08-26 2021-07-22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여닫이 문 틈새 끼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673U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537B1 (ko) 여닫이식 도어의 안전장치
KR200487521Y1 (ko) 여닫이식 도어의 내부안전커버
KR101981743B1 (ko)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KR101945524B1 (ko) 손 끼임 방지 안전도어
KR200487522Y1 (ko)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KR20150113757A (ko) 여닫이문용 안전보호대
KR102167385B1 (ko) 문틈 커버를 겸하는 여닫이문용 손끼임 방지장치
KR100635936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안전 콘센트
KR20220021828A (ko) 여닫이문용 손끼임 방지장치
KR20120001601A (ko) 출입문용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995239B1 (ko) 강화유리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KR200398168Y1 (ko) 도어용 안전프레임유니트
KR200380388Y1 (ko) 문 손 보호대
KR102267498B1 (ko)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도어
KR200379709Y1 (ko) 문 보호대 조립체
KR102085314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KR200448664Y1 (ko)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180093706A (ko) 미관이 수려한 접철식 방충도어의 손끼임 방지 연결구조
KR102027221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KR200489230Y1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KR102085310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KR101852778B1 (ko) 절첩식 도어 프레임의 손끼임 방지 장치
KR200215944Y1 (ko) 출입문 안전 커버
KR20200127471A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0654387B1 (ko) 출입문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