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569B1 -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569B1
KR101405569B1 KR1020120118300A KR20120118300A KR101405569B1 KR 101405569 B1 KR101405569 B1 KR 101405569B1 KR 1020120118300 A KR1020120118300 A KR 1020120118300A KR 20120118300 A KR20120118300 A KR 20120118300A KR 101405569 B1 KR101405569 B1 KR 10140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arm
arms
hold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204A (ko
Inventor
나오히로 시마지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30045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umbrel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0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hats, clothes or clothes 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유지 특성을 향상시켜도 수납상태와 돌출상태의 전환 조작성이 우수하도록 한다.
(해결수단) 차량용 내장부재측의 오목부(1)에 들어간 수납상태와 오목부로부터 선단측을 돌출한 돌출상태로 전환되는 유지수단(2, 3), 및 유지수단을 수납상태의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6)을 구비하고,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돌출상태로 전환한 유지수단과 내장부재 또는 오목부의 개구 가장자리측의 사이에 봉형상물(A)을 끼워 유지하는 유지장치로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오목부 내의 상이한 개소에 각각 피봇팅된 제 1 및 제 2 아암(2, 3)과, 상기 각 아암을 연동하여 수납상태 및 돌출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연동기구(23, 40, 52, 33)를 가지고 있고, 상기 수납상태에서 적어도 기부를 제외한 메인부가 상기 오목부 내에 있으며 상하에 배치되며, 상기 아암이 돌출상태에서 비스듬하게 맞은편에 배치되고, 아암은 기부와 L형의 메인부로 이루어지고, 메인부는 선단이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봉형상물용 유지장치{HOLDING DEVICE FOR ROD-LIKE ARTICLE}
본 발명은 차실 내에 설치되어 우산 등의 봉형상물(棒形狀物)을 간단히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한 봉형상물용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유지 구조로서, 도 8(a)는 차량용 도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도 8(b)는 도 8(a)의 2-2선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유지 구조는, 차량용 도어(10)에 설치된 오목부 내에 축부재(34)를 통하여 피봇팅되어 오목부 안에 들어간 퇴피 또는 수납상태와 오목부로부터 선단측을 돌출한 유지 또는 돌출상태로 전환되는 유지아암(30)과, 유지아암(30)을 수납상태의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도시하지 않은 탄지수단과, 유지아암(30)을 수납상태로 유지하는 철편(38) 및 마그넷(40)을 구비하고 있다. 마그넷(40)은, 오목부의 저면에 장착되어 유지아암(30)측의 철편(38)을 흡착함으로써 유지아암(30)을 수납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철편(38)과 마그넷(40)은 하트캠을 이용한 푸시오픈식 로크 기구, 즉 유지아암(30)을 도어 본체(12)측에 압압하는 조작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핀이 하트캠을 따라 이동하여 로크 및 로크 해제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부호 20은, 유지아암의 바로 밑에 설치되어 우산의 물미부(22A)를 받는 상측이 개구한 용기형상의 우산받이이다.
이상의 유지 구조에 있어서, 우산(22)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우산의 물미부(22A)를 우산받이(20)에 삽입한다. 다음에, 유지아암(30)을 도어 본체(12)측에 압압하여 마그넷(40) 및 철편(38)에 의한 로크를 해제(푸시오픈)한다. 이 상태로부터 유지아암(30)을 회동시켜 차실측으로 꺼내면, 도 8(b)와 같이 유지아암(30)의 일단측이 개방되기 때문에, 유지아암(30)과 도어 본체(12)의 사이에 우산(22)을 횡방향으로부터 찔러넣는다. 이때, 유지아암(30)은 도시하지 않은 탄지수단에 의해 우산(22)을 유지하는 A방향으로 탄지된다. 이에 의해, 우산(22)은 유지아암(30)과 도어 본체(12)의 사이에 끼워 유지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7-22201호 공보
상기 종래의 유지 구조에서는, 우산(22)을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유지아암(30)이 주행 진동 등을 받으면 요동하고, 이때 우산(22)이 도어 본체(12)와의 사이의 개구로부터 빠지기 쉽다. 그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유지아암(30)의 요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도 8의 A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도시하지 않은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증대하면, 유지아암(30)과 도어 본체(12)의 사이의 개구로부터 우산을 넣었다 꺼냈다 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이 유지 구조에서는 A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과 함께, 마그넷(40) 및 철편(38)으로 이루어지는 걸림기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는 것으로, 유지 특성을 향상시켜도 수납상태로부터 돌출상태, 돌출상태로부터 수납상태로의 전환 조작성, 나아가서는 사용성이 우수한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중에서 분명히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의 내장부재에 형성된 오목부에 들어간 수납상태와 상기 오목부로부터 선단측을 돌출한 돌출상태로 전환되는 유지수단, 및 상기 유지수단을 수납상태의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돌출상태로 전환한 상기 유지수단과 상기 내장부재 또는 오목부의 개구 가장자리측의 사이에 봉형상물을 끼워 유지하는 유지장치로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오목부 내의 상이한 개소에 각각 피봇팅된 제 1 및 제 2 아암과, 상기 각 아암을 연동하여 상기 수납상태 및 돌출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연동기구(즉, 이 연동기구는 상기 제 1 및 제 2 아암 중 한쪽 아암을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수납상태로부터 돌출상태로 전환하면, 다른 쪽 아암도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수납상태로부터 돌출상태로 전환함)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내장부재에 형성된 오목부」에는 오목부가 내장부재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양태와, 내장부재에 장착된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양태를 포함한다. 「봉형상물」에는 우산에 한정되지 않고 지팡이나 배트, 나아가 상하로 긴 케이스나 용기류 등도 포함한다. 「상기 유지수단과 상기 내장부재의 사이에 봉형상물을 끼워 유지한다」란, 내장부재의 표면이 오목부의 개구측 단면보다 튀어나와 있어 봉형상물이 오목부의 개구측 단면에 맞닿기 어렵게 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유지수단과 오목부의 개구 가장자리측의 사이에 봉형상물을 끼워 유지한다」란, 각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의 개구측 단면이 내장부재의 표면보다 튀어나와 있어 봉형상물이 오목부의 개구측 단면에 맞닿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7에서 특정한 바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 상기 제 1 아암은, 상기 수납상태에서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손가락 삽입용 틈새를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면을 손가락 맞닿음부로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
(나) 상기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상기 수납상태에서 적어도 기부를 제외한 메인부가 상기 오목부 내에 있으며 상하에 배치되는 구성이다(청구항 3, 4).
(다) 상기 오목부를 구획하여 상기 각 아암을 각각 피봇팅하고 있는 케이스를 가지고, 상기 봉형상물을 상기 케이스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상기 각 아암의 사이에 끼워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청구항 5).
(라)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제 1 및 제 2 아암의 각 기부에 형성된 기어부, 및 상기 각 기어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아암을 동기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는 기어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6).
(마)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제 1 및 제 2 아암의 각 기부에 대하여, 양단 중 서로 다른 한쪽 단을 각각 회동이 자유롭도록 피봇팅한 링크부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7).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아암이 오목부의 상이한 개소에 피봇팅됨과 아울러, 연동기구에 의해 연계되어 있고, 제 1 아암이 수납상태로부터 돌출상태, 혹은 돌출상태로부터 수납상태로 전환되면, 제 2 아암이 연동기구를 통하여 제 1 아암과 동일한 상태로 전환된다. 돌출상태에서는 2개의 아암과 내장부재 또는 오목부의 개구 가장자리측의 사이에 봉형상물을 끼워 유지 가능해지기 때문에, 유지수단이 단일의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구성에 비하여 안정된 유지 상태로 되어 진동 등에 기인한 봉형상물의 부주의한 빠짐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동시에, 2개의 아암에 의해 유지성을 향상시켜도 각 아암이 연동기구를 통하여 한쪽의 전환 조작에 의해 다른 쪽이 연동되기 때문에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동시에, 제 1 및 제 2아암은 형태예와 같이 대략 여덟팔자형의 내측에 봉형상물을 구속하는 양태로 되기 때문에, 돌출상태에 있어서의 오목부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억제하기 쉽고, 이 점으로부터 차실 내의 안전성도 우수하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유지수단을 수납상태로부터 돌출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제 1 아암 선단의 손가락 삽입용 틈새로부터 손가락을 선단면인 손가락 맞닿음부에 대고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 1 아암을 외측에 회동 조작한다. 즉, 이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푸시오픈식에 비하여 간이하고 코스트 저감이 도모된다.
청구항 3, 4의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아암이 수납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메인부가 오목부 내의 상하에 배치되기 때문에, 폭방향의 치수를 억제하여 소형화하기 쉬워진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오목부를 케이스에 의해 구획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가 유닛화된 조립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연동기구가, 제 1 형태와 같이 제 1 및 제 2 아암의 각 기부에 형성된 기어부, 양 아암의 각 기어부에 맞물려 있는 기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된 전환 작동 및 제동용 댐퍼 등도 부설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7의 연동기구는, 연동기구가, 제 2 형태와 같이 제 1 및 제 2 아암의 각 기부에 대하여 양단 중 서로 다른 한쪽 단을 각각 회동이 자유롭도록 피봇팅한 링크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이하고 실시가 용이해진다.
도 1은 제 1 형태의 유지장치를 도시하며, (a)는 수납상태에서의 사시도, (b)는 최대까지 꺼낸 돌출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유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유지장치를 도시하며, (a)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b)와 (c)는 케이스를 생략한 양태에 있어서 수납상태에서의 사시도와 돌출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유지장치를 수납상태에서 도시하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5는 상기 유지장치를 돌출상태에서 도시하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6은 제 2 형태의 유지장치를 도시하며, (a)는 수납상태에서의 사시도, (b)는 최대까지 꺼낸 돌출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유지장치의 케이스를 파단하여 도시하며, (a)는 최대까지 꺼낸 돌출상태에서의 모식도, (b)는 봉형상물을 끼워 유지한 돌출상태에서의 모식도, (c)는 수납상태에서의 모식도
도 8은 특허 문헌 1의 구조를 도시하며, (a)는 전체 구성을 돌출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b)는 (a)의 2-2선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제 1 형태와 그 작동, 제 2 형태와 그 작동의 순으로 상세히 기술한다.
(제 1 형태)
대상의 유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내장부재측 오목부를 구획하고 있는 케이스(1)와, 케이스(1) 내의 좌우에 피봇팅되어 케이스 안에 들어간 수납상태와 선단측을 케이스 밖에 돌출하는 돌출상태로 전환되는 유지수단과, 이 유지수단을 수납상태의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부재(6)를 구비하고, 도 5(a)와 같이 탄지부재(6)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돌출상태로 전환한 상기 유지수단과 도시하지 않은 내장부재 또는 오목부를 구획하고 있는 케이스(1)의 개구 가장자리측의 사이에 우산(A) 등의 봉형상물을 끼워 유지하는 것이다. 주요 고안점은, 유지수단으로서 제 1 및 제 2 아암(2, 3)의 2개에 의해 구성하고, 또한 각 아암(2, 3)을 연동기구로서 기어부재(4)의 기어부(40) 및 제동용 댐퍼(5)의 기어(52) 등에 의해 동기하여 수납상태 및 돌출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에 있다. 이하, 이들의 상세를 분명히 한다.
우선, 제 1 및 제 2 아암(2, 3)은, 오목부 내지는 케이스(1) 내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팅되어 수납상태에서 상하에 배치됨과 아울러, 오목부 내지는 케이스(1) 내로부터 선단을 돌출한 돌출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맞은편에 배치된다. 또한, 각 아암(2, 3)은 대략 원통형의 기부(20, 30) 및 대략 L형의 메인부(21, 31)로 이루어진다. 기부(20, 30)에는 축구멍(22, 32)이 상하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기부(20)에는 하측 주위에 연속한 기어부(23)가 형성되고, 기부(30)에는 상측 주위에 연속한 기어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부(21)는 선단(21a)이 절곡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21a)의 하측 모서리부를 도피용으로 노치하고 있다. 선단(21a)측에는 다수의 리브를 외면에 돌출한 손가락 맞닿음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부(31)는 선단(31a)이 절곡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31a)의 상측 모서리부를 도피용으로 노치하고 있다.
케이스(1)는, 개략 직사각형 용기형이고, 전측의 틀부(10) 및 틀부(10)에 일체화된 후측의 몸통부(11)로 이루어진다. 케이스 내부는, 제 1 아암(2)을 옆으로 수용 가능한 상측 공간(12, 13)과 제 2 아암(3)을 옆으로 수용 가능한 하측 공간(14, 15)으로 구획되어 있다. 상측의 공간(12)과 공간(13)은 제 1 아암(2)의 기부(20)와 메인부 선단(21a)에 대응하여 가장 깊고, 양 공간의 사이가 제 1 아암(2)의 메인부(21)에 대응하여 얕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공간(12)은 기부(20)를 배치하는 개소로, 전후에 관통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하면을 동축선상에 관통한 축구멍(11a, 11d)을 가지고 있다. 공간(13)은 메인부 선단(21a)을 배치하는 개소로, 안쪽에 형성되어 전후 관통하고 있는 부착구멍(19)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상측 공간에는 제 1 아암(2)이 배치되어 샤프트(S1)를 축구멍(11d), 축구멍(22), 축구멍(11a)에 삽통함으로써, 그 샤프트(S1)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피봇팅된다. 즉, 제 1 아암(2)은 샤프트(S1)를 지점으로 하여 케이스(1) 안에 들어간 수납상태와 기부(30)를 제외한 선단측, 즉 메인부(21)를 케이스(1) 밖에 돌출하는 돌출상태로 전환 가능해진다. 또한, 공간(13)은 도 1(a)와 같이 제 1 아암(2)이 상측 공간에 들어간 수납상태에서 손가락 맞닿음부(24)와의 사이에 손가락 삽입용 틈새를 유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하측의 공간(14)과 공간(15)은 제 2 아암(3)의 기부(30)와 메인부 선단(31a)에 대응하여 가장 깊고, 양 공간의 사이가 제 2 아암(3)의 메인부(31)에 대응하여 얕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공간(14)은 기부(30)를 배치하는 개소로, 전후에 관통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하면을 동축선상에 관통한 축구멍(11e) 등을 가지고 있다. 공간(15)은 메인부 선단(31a)을 배치하는 개소이다. 또한, 부호 11b는 축구멍(11e)의 축선상에 형성된 도피구멍이다. 틀부(10) 내에 있으며, 상측 공간(12)의 하측과 하측 공간(14)의 상측은 전벽(18) 등에 의해 막혀 있다.
이상의 하측 공간에는 제 2 아암(3)이 배치되어 샤프트(S2)를 도피구멍(11b), 축구멍(11e)의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축구멍, 축구멍(32), 축구멍(11e)에 삽통함으로써, 그 샤프트(S2)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피봇팅된다. 즉, 제 2 아암(3)은 샤프트(S2)를 지점으로 하여 케이스(1) 안에 들어간 수납상태와 기부(30)를 제외한 선단측, 즉 메인부(31)를 케이스(1) 밖에 돌출하는 돌출상태로 전환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아암(3)은 도 3(a)와 같이 몸통부 (11)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기어부재(4) 및 댐퍼(5)를 통하여 제 1 아암(2)과 연동 내지는 동기하여 전환된다.
여기서, 기어부재(4)는, 기어부(40)가 축구멍이 형성된 축부(41)의 상측 주위에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연결부를 통하여 일체화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40)는 제 1 아암측 기어부(23)와 맞물림과 아울러 일부를 큰 폭으로 형성하여 댐퍼측 기어(52)와 맞물리는 기어부분(40a)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기어부재(4)는, 도 3(a)와 같이 케이스측 몸통부(11)의 대략 좌우 중간에 있으며 하측 벽부와 상측 벽부에 연장 형성된 지지벽(16)의 사이에 배치되고, 샤프트(S3)를 도피구멍(11c)으로부터 도피구멍(11c)과 동축선상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지지벽(16)의 축구멍, 축부(41)의 축구멍, 상기 하측 벽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축구멍에 삽통함으로써, 기어부(40)가 제 1 아암측 기어부(23)와 맞물린 상태에서 샤프트(S3)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기어부재(4)는 탄지부재(6)인 비틀림코일스프링에 의해 시계회전방향으로 탄지된다. 즉, 탄지부재(6)는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코일부(6c)가 축부(41)에 권회상태로 배치되고, 일단(6a)이 상기 연결부측에 걸리고, 타단(6b)이 상기 하측 벽부의 모서리부에 걸린다. 그러면, 제 1 아암(2)은 탄지부재(6)의 탄지력을 받고 있는 기어부재(4)를 통하여 수납상태의 방향으로 회동됨과 아울러 탄지력에 저항하여 돌출상태로 전환 조작된다.
댐퍼(5)는 로터리식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스(50) 내로부터 돌출되어 작동유 등의 저항을 받고 있는 축부(51), 및 축부(51)의 선단 주위에 장착된 기어(5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댐퍼(5)는 외주에 돌설된 1쌍의 돌부(53)를 가지고 있고, 도 3(a)와 같이 몸통부 (11)의 대응 하측 벽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에 케이스(50) 및 돌부(53)를 걸어맞춤 고정하고 있다. 기어(52)는 그 댐퍼(5)의 장착상태에서 기어부재의 기어부(40) 및 제 2 아암측 기어부(33)와 맞물려 있다.
(작동)
이상의 유지장치는 차실 내 중 예를 들면 전측 도어와 후측 도어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필러 등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된다. 물론, 설치 개소는 필러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나 좌석의 배면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유지장치는 도 8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우산(A)의 선단을 받는 용기류와 함께 이용되기도 한다.
(1) 도 1(a) 및 도 4는 유지장치의 양태로서, 각 아암(2, 3)이 케이스(1) 안에 들어간 수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수납상태에서는 도 3(b)와 같이 제 1 아암측 기어부(23)와 제 2 아암측 기어부(33)의 사이에 서로 맞물려 있는 기어부재의 기어부(40) 및 댐퍼의 기어(52)가 개재되어 각 아암(2, 3)을 작동 연결하고 있고, 또한 기어부재(4)가 탄지부재(6)에 의해 시계회전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구조에서는 제 1 아암(2)이 기어부(40)와 맞물려 있는 기어부(23)를 통하여 수납방향으로의 부하를 받고, 제 2 아암(3)이 기어부(40)와 맞물려 있는 댐퍼측 기어(52), 및 기어(52)와 맞물려 있는 기어부(33)를 통하여 수납방향으로의 부하를 받고 있어, 그에 의해 각 아암(2, 3)이 진동을 받아도 돌출방향으로 부주의하게 회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2) 각 아암(2, 3)을 수납상태로부터 돌출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을 제 1 아암의 메인부 선단(2a)에 형성되는 공간(13) 내의 손가락 삽입용 틈새로부터, 선단면인 손가락 맞닿음부(24)에 대고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 1 아암(2)을 외측에 회동 조작한다. 그러면, 각 아암(2, 3)은 연동기구인 각 아암의 기어부(23, 33)와 기어부재의 기어부(40) 및 댐퍼의 기어(52)를 통하여 제 1 아암(2)의 회동 조작에 연동하여 제 2 아암(3)도 동기하여 회동 조작된다. 도 1(b) 및 도 5는 유지장치의 양태로서, 각 아암(2, 3)이 메인부(21, 31)를 케이스(1) 밖에 최대까지 돌출한 돌출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돌출상태에서는 탄지부재(6)가 탄지력을 최대까지 축적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아암(2, 3)은 만일 손가락 등에 의한 돌출방향으로의 조작력이 해방(앞의 손가락 맞닿음부(24)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것)되면, 탄지부재(6)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연동기구를 통하여 다시 수납상태에 동기하여 전환된다.
(3) 따라서, 우산(A)은 도 1(b)나 도 5의 상태로부터 제 1 아암(2)과 제 2 아암(3)의 사이에 삽입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등에 의한 조작력을 해방하는 것만으로, 도 5(a)의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아암(2, 3)과 케이스(1)의 개구 가장자리(틀부(10))의 사이에 안정하게 유지된다. 다시 말하면, 이 구조에서는 각 아암(2, 3)이 도 1(b)나 도 5(a)와 같이 최대까지 이간된 상태로부터 우산(A)을 메인부(21)와 메인부(31)의 사이에 저항을 받지 않고 삽입할 수 있는 점, 삽입 후에는 손가락 등에 의한 조작력을 해방하는 것만으로 우산(A)을 각 아암(2, 3)과 케이스(1)의 개구 가장자리(틀부(10))의 사이에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우산(A)은 유지상태로부터 아암(2, 3)끼리의 선단측 틈새를 향하여 이동하면 각 아암이 탄지력에 저항하여 더 돌출하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간단히 빼낼 수 있는 점, 각 아암(2, 3)이 탄지부재(6)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연동기구를 통하여 수납방향으로 회동될 때 댐퍼(5)에 의해 제동되어 완만하게 회동되는 점 등에서 사용성이 좋고 고급감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지수단인 제 1 및 제 2 아암(2, 3)은 오목부 내 내지는 케이스(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피봇팅되어 적어도 기부(20, 30)를 제외한 선단(메인부(21, 31))측이 수납상태에서 상하에 배치되고, 돌출상태에서 비스듬하게 맞은편에 배치되기 때문에, 유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2개의 아암을 사용하여도 장치 전체의 폭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형태)
이 유지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내장부재측의 오목부를 구획하고 있는 케이스(7)와, 케이스(7) 내의 좌우에 피봇팅되어 케이스 안에 들어간 수납상태와 선단측을 케이스 밖에 돌출하는 돌출상태로 전환되는 유지수단과, 그 유지수단을 수납상태의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부재(60)를 구비하고, 도 7(b)와 같이 탄지부재(6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돌출상태로 전환한 상기 유지수단과 도시하지 않은 내장부재 또는 오목부를 구획하고 있는 케이스(1)의 개구 가장자리측의 사이에 우산(A) 등의 봉형상물을 끼워 유지하는 점에서 제 1 형태와 동일하다. 주요 고안점은, 유지수단으로서 제 1 및 제 2 아암(8, 9)의 2개에 의해 구성하고, 또한 연동기구로서 제 1 및 제 2 아암의 각 기부(80, 90)에 대하여 양단 중 서로 다른 한쪽 단을 각각 회동이 자유롭도록 피봇팅한 링크부재(55)에 의해, 각 아암(8, 9)을 동기하여 수납상태 및 돌출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에 있다. 세부는 이하와 같다.
우선, 제 1 및 제 2 아암(8, 9)은 대략 원통형의 기부(80, 90) 및 대략 L형의 메인부(81, 91)로 이루어지고, 기부(80, 90)가 오목부 내지는 케이스(1) 내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팅되어 수납상태에서 메인부(81, 91)가 상하에 배치됨과 아울러 오목부 내지는 케이스(1) 내로부터 선단을 밖에 돌출한 돌출상태에서 비스듬하게 맞은편에 배치된다. 기부(80)는 기부(90)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기부(80, 90)에는 샤프트(S4 또는 S5)를 삽입하는 축구멍(82, 92)이 상하에 관통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단측에 형성되어 링크부재(55)의 대응 단부를 도피시키는 오목부(83, 93)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80)의 외주에는 스토퍼용 돌기(85)가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메인부(81)는 선단(81a)이 대략 L형으로 절곡되어 있음과 아울러 다수의 리브를 외면에 돌출한 손가락 맞닿음부(84)를 가지고 있다. 메인부(91)는 선단(91a)이 대략 L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양 아암(8, 9)은 링크부재(55)에 의해 연결된다. 링크부재(55)는 가늘고 긴 판재이며, 각 기부(80, 90)에 대하여 링크부재(55)의 일단이 핀(56)에 의해 기부(80)측 오목부(83)에 피봇팅되고, 링크부재(55)의 타단이 핀(57)에 의해 기부(90)측 오목부(93)에 피봇팅되어 있다.
케이스(7)는 개략 편평한 직사각형 용기형이고, 전측의 틀부(70) 및 틀부(70)에 일체화된 후측의 몸통부(71)로 이루어진다. 몸통부(71)에는 기부(80)를 배치하는 개소에 대응하여 상하면을 동축선상에 관통한 샤프트(S4)용의 도시하지 않은 축구멍, 및 하측 안쪽에 설치되어 제 1 아암(8)이 돌출상태로부터 수납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돌기(85)를 도피시킴과 아울러 제 1 아암(8)이 지나치게 회동하지 않도록 돌기(85)를 거는 오목부(73)를 가지고, 또한 기부(91)의 상측에 형성된 오목부(72), 및 오목부(72)의 안쪽에 형성되어 전후 관통하고 있는 부착구멍(79)을 가지고 있다. 또한, 케이스(7) 내에는 도 6(a)와 같이 제 1 아암(8)이 내측 공간에 들어간 수납상태에서 손가락 맞닿음부(84)와의 사이에 손가락 삽입용 틈새를 유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제 1 아암(8)은 케이스(7) 내에 있으며, 샤프트(S4)를 상기한 상하의 축구멍의 한쪽, 축구멍(82), 상하의 축구멍의 다른 쪽에 삽통함으로써, 그 샤프트(S4)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피봇팅된다. 이때, 제 1 아암(8)은 탄지부재(60)에 의해 케이스(7) 안에 들어가는 수납방향으로 탄지된다. 탄지부재(60)는 비틀림코일스프링 등이 이용되어 도 7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부(60c)가 샤프트(S4)에 권회상태로 배치되고, 일단(60a)이 기부(80)에 형성된 걸림부(86)에 걸리고, 타단(60b)이 몸통부(71)의 모서리부에 걸린다. 즉, 제 1 아암(8)은 샤프트(S4)를 지점으로 하여 케이스(1) 안에 들어간 수납상태와 기부(80)를 제외한 선단측, 즉 메인부(81)를 탄지부재(6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케이스(1) 밖에 돌출하는 돌출상태로 전환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스(1)에는 탄지부재의 타단(60b)을 도피시키는 홈부(74)가 몸통부(71)의 대응하는 모서리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 2 아암(9)은 케이스(7) 내에 있으며, 기부(90)를 배치하는 개소에서 하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으로부터 케이스 내에 돌출되는 샤프트(S5)를 축구멍(92)에 끼워 맞춤으로써, 해당 샤프트(S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피봇팅된다. 그리고, 제 2 아암(9)은 도 7과 같이 링크부재(55)를 통하여 제 1 아암(8)과 연동 내지는 동기하여 수납상태와 돌출상태로 전환된다.
(작동)
이상의 유지장치는 차실 내 중 예를 들면 전측 도어와 후측 도어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필러 등에 매설 상태로 설치된다. 물론, 설치 개소는 필러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나 좌석의 배면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유지장치는 도 8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우산(A)의 선단을 받는 용기류와 함께 이용되기도 한다. 이들은 제 1 형태와 동일하다.
(1) 도 6(a) 및 도 7(c)는 유지장치의 양태로서, 각 아암(8, 9)이 케이스(7) 안에 들어간 수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수납상태에서는 제 1 아암(8)과 제 2 아암(9)이 링크부재(55)를 통하여 작동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제 1 아암(8)이 탄지부재(60)에 의해 수납방향 내지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구조에서는 제 1 아암(8)이 수납방향으로의 부하를 받고, 제 2 아암(9)이 링크부재(55)를 통하여 수납방향으로의 부하를 받고 있어, 그에 의해 각 아암(8, 9)이 진동을 받아도 돌출방향으로 부주의하게 회동되지 않게 되어 있다.
(2) 각 아암(8, 9)을 수납상태로부터 돌출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을 제 1 아암의 메인부 선단(81a)에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용 틈새로부터 선단면인 손가락 맞닿음부(84)에 대고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 1 아암(8)을 외측에 회동 조작한다. 그러면, 각 아암(8, 9)은, 연동기구인 링크부재(55)를 통하여 제 1 아암(8)의 회동 조작에 연동하여 제 2 아암(9)도 동기해서 회동 조작된다. 도 6(b) 및 도 7(a)는 유지장치의 양태로서, 각 아암(8, 9)이 메인부(81, 91)를 케이스(7) 밖에 최대까지 돌출한 돌출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돌출상태에서는 탄지부재(60)가 탄지력을 최대까지 축적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아암(8, 9)은 만일 손가락 등에 의한 돌출방향으로의 조작력이 해방(앞의 손가락 맞닿음부(84)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것)되면, 탄지부재(60)의 탄지력에 의해 연동기구인 링크부재(55)를 통하여 다시 수납상태에 동기하여 전환된다.
(3) 따라서, 우산(A)은 도 7(a)의 상태로부터 제 1 아암(8)과 제 2 아암(9)의 사이에 삽입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등에 의한 조작력을 해방하는 것만으로, 도 7(b)의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아암(8, 9)과 케이스(7)의 개구 가장자리(틀부(70))의 사이에 안정하게 유지된다. 다시 말하면, 이 구조에서는 각 아암(8, 9)이 도 6(b)나 도 7(a)와 같이 최대까지 이간된 상태로부터 우산(A)을 메인부(81)와 메인부(91)의 사이에 저항을 받지 않고 삽입할 수 있는 점, 삽입 후에는 손가락 등에 의한 조작력을 해방하는 것만으로 우산(A)을 각 아암(8, 9)과 케이스(7)의 개구 가장자리(틀부(70))의 사이에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우산(A)은 유지상태로부터 아암(8, 9)끼리의 선단측 틈새를 향하여 이동하면 각 아암이 탄지력에 저항하여 더욱 돌출하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간단히 빼낼 수 있는 점, 연동기구로서는 제 1 형태보다도 간이하고 코스트 저감이 도모되는 점 등에서 우수하다. 또한, 유지수단인 제 1 및 제 2 아암(8, 9)은 제 1 형태와 마찬가지로 오목부 내 내지는 케이스(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피봇팅되어 적어도 기부(80, 90)를 제외한 선단(메인부(81, 91))측이 수납상태에서 상하에 배치되고, 돌출상태에서 비스듬하게 맞은편에 배치되기 때문에, 유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2개의 아암을 사용하여도 장치 전체의 폭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지장치는 청구항으로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세부는 각 형태를 참고로 하여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로서는 케이스를 생략하여 차량용 내장부재에 케이스에 상당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거기에 각 아암 등을 조립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케이스 10 - 틀부
11 - 몸통부 23 - 연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기어부
2 - 제 1 아암(유지수단) 20 - 기부
21 - 메인부 24 - 손가락 맞닿음부
3 - 제 2 아암(유지수단) 30 - 기부
31 - 메인부 4 - 기어부재
40 - 연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기어부
41 - 축부 5 - 댐퍼
50 - 케이스 52 - 연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기어
6 - 탄지부재(탄지수단) 6a - 일단
6b - 타단 7 - 케이스
70 - 틀부 71 - 몸통부
8 - 제 1 아암(유지수단) 80 - 기부
81 - 메인부 84 - 손가락 맞닿음부
9 - 제 2 아암(유지수단) 90 - 기부
91 - 메인부 23 - 연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기어부
33 - 연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기어부
55 - 링크부재(연동기구) 60 - 탄지부재(탄지수단)
60a - 일단 60b - 타단
A - 우산(봉형상물) S1 내지 S5 - 샤프트

Claims (7)

  1. 차량의 내장부재에 형성된 오목부에 들어간 수납상태와 상기 오목부로부터 선단측을 돌출한 돌출상태로 전환되는 유지수단, 및 상기 유지수단을 수납상태의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돌출상태로 전환한 상기 유지수단과 상기 내장부재 또는 오목부의 개구 가장자리측의 사이에 봉형상물을 끼워 유지하는 유지장치로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오목부 내의 상이한 개소에 각각 피봇팅된 제 1 및 제 2 아암과, 상기 각 아암을 연동하여 상기 수납상태 및 돌출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연동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수납상태에서 적어도 기부를 제외한 메인부가 상기 오목부 내에 있으며 상하에 배치되며,
    상기 아암이 돌출상태에서 비스듬하게 맞은편에 배치되고,
    아암은 기부와 L형의 메인부로 이루어지고, 메인부는 선단이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은, 상기 수납상태에서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손가락 삽입용 틈새를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면을 손가락 맞닿음부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상기 수납상태에서 적어도 기부를 제외한 메인부가 상기 오목부 내에 있으며 상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5. 청구항 1, 청구항 2 또한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구획하여 상기 각 아암을 각각 피봇팅하고 있는 케이스를 가지고, 상기 봉형상물을 상기 케이스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상기 각 아암의 사이에 끼워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제 1 및 제 2 아암의 각 기부에 형성된 기어부, 및 상기 각 기어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아암을 동기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는 기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제 1 및 제 2 아암의 각 기부에 대하여, 양단 중 서로 다른 한쪽 단을 각각 회동이 자유롭도록 피봇팅한 링크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KR1020120118300A 2011-10-24 2012-10-24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KR101405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33100 2011-10-24
JP2011233100A JP2013091351A (ja) 2011-10-24 2011-10-24 棒状物用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204A KR20130045204A (ko) 2013-05-03
KR101405569B1 true KR101405569B1 (ko) 2014-06-10

Family

ID=4810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300A KR101405569B1 (ko) 2011-10-24 2012-10-24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091351A (ko)
KR (1) KR101405569B1 (ko)
CN (1) CN1030574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6707B2 (ja) * 2011-12-05 2016-03-30 株式会社ニフコ 棒状物用保持装置
CN107914617A (zh) * 2017-11-21 2018-04-17 成都顺宏鑫机械有限公司 方便老年人使用的公交汽车座椅
JP6751734B2 (ja) * 2018-05-08 2020-09-09 朝旭實業股▲ふん▼有限公司 ロフストランドクラッチ
CN111746405A (zh) * 2019-03-29 2020-10-0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固定装置及车辆
CN113212596A (zh) * 2021-03-30 2021-08-06 杭州之山智控技术有限公司 人工智能送货机器人的雨伞夹持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6830A (ja) * 2007-06-27 2009-01-15 Kojima Press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090119680A (ko) * 2008-05-16 2009-11-1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봉형상물의 유지장치
JP2010264838A (ja) 2009-05-13 2010-11-25 Howa Kasei Kk コートフ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5051U (ja) * 1984-08-03 1986-03-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トリム構造
CH688345A5 (de) * 1994-04-06 1997-08-15 Fischer Artur Werke Gmbh Aufbewahrungsvorrichtung fuer Regenschirme zum Einbau in Kraftfahrzeugen.
CN1222626A (zh) * 1998-01-09 1999-07-14 泷源制造株式会社 门用锁紧手柄的闭锁装置
JPH11278514A (ja) * 1998-03-31 1999-10-12 Nifco Inc 蓋部材の開閉構造
JP2000113300A (ja) * 1998-10-09 2000-04-21 Sanden Corp 自動販売機
JP3822052B2 (ja) * 2000-12-04 2006-09-13 コクヨ株式会社 長尺物保持具
JP2004203284A (ja) * 2002-12-26 2004-07-22 Toyoda Gosei Co Ltd 収納式把持装置
KR100513677B1 (ko) * 2003-10-02 2005-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 홀더
JP2007022201A (ja) * 2005-07-13 2007-02-01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ドア
JP2008006891A (ja) * 2006-06-28 2008-01-17 Daikyo Nishikawa Kk 車両の傘ホルダー
CN101674953A (zh) * 2007-03-07 2010-03-17 水铃有限公司 棒保持单元体以及使用该棒保持单元体的座椅背面桌的顶板
JP5075794B2 (ja) * 2008-11-10 2012-11-21 山崎産業株式会社 棒状部保持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6830A (ja) * 2007-06-27 2009-01-15 Kojima Press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090119680A (ko) * 2008-05-16 2009-11-1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봉형상물의 유지장치
JP2010264838A (ja) 2009-05-13 2010-11-25 Howa Kasei Kk コートフ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204A (ko) 2013-05-03
CN103057480A (zh) 2013-04-24
JP2013091351A (ja)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569B1 (ko)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KR101911531B1 (ko) 개폐부재의 잠금장치
JP4754927B2 (ja) プッシュラッチ
JP6031523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US20150008680A1 (en) Interior apparatus of a vehicle
KR102443073B1 (ko) 개폐체의 잠금장치
JP5367281B2 (ja) 開閉ロック装置
JP6893688B2 (ja) 開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開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被開閉体
US9752356B2 (en) Lock release apparatus and lock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6022482A (ja) プッシュボタン式ボックス開放構造
KR101011262B1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JP2005247232A (ja)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JP2011094440A (ja)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扉
JP5896707B2 (ja) 棒状物用保持装置
CN113574238B (zh) 开闭体的锁定装置
JP5013166B2 (ja) 容器ホルダ装置
KR101805053B1 (ko) 레버형 손잡이
US20210370840A1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JP2002360377A (ja) 操作レバー
US20210301566A1 (en) Lid lock unit attachment structure
KR101795932B1 (ko)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JP201025423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1212440B1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JP6364124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6886373B2 (ja) 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