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237Y1 -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237Y1
KR200185237Y1 KR2019970024750U KR19970024750U KR200185237Y1 KR 200185237 Y1 KR200185237 Y1 KR 200185237Y1 KR 2019970024750 U KR2019970024750 U KR 2019970024750U KR 19970024750 U KR19970024750 U KR 19970024750U KR 200185237 Y1 KR200185237 Y1 KR 200185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up holder
curved plate
cup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396U (ko
Inventor
박용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23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2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곡면판(11)과 한 쌍의 연결판(12)이 핀(14)을 개재하여 교대로 결합되고, 펼쳐지면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원형을 이루는 지지수단; 그리고 일단이 상기 지지수단의 곡면판(11)에 접합되고, 타단이 도어의 내측면에서 토션스프링(16)의 탄성력을 받도록 핀(14)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아암(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도어에 접은 상태로 설치하고 펼쳐서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에 접은 상태로 설치하고 펼쳐서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도모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Cup Holder Device for Automobil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탑승자가 편리하게 음료수를 거치하도록 하는 컵홀더 기구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콘솔 상에 설치되어 주로 전방의 탑승자를 고려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매되는 컵홀더 기구를 도어에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전술한 고정식에 비하여 후방의 탑승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기는 하나 안정성이 미흡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컵홀더 기구는 전방 고정구조에 의해 후방의 탑승자가 이용하기 불편한 단점과, 후방 부착 구조에 의해 실내의 유효공간을 축소시키고 이탈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에 접은 상태로 설치하고 펼쳐서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도모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 기구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이 도어에 장착되고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이 로크되는 상태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도어패널, 11: 곡면판, 11a, 12a: 힌지부, 12: 연결판, 13: 아암, 14: 핀, 15: 스프링핀, 16: 토션스프링, 21: 걸림홈, 22: 돌출턱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한 쌍의 곡면판과 한 쌍의 연결판이 핀을 개재하여 교대로 결합되고, 펼쳐지면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원형을 이루는 지지수단; 그리고 일단이 상기 지지수단의 곡면판에 접합되고, 타단이 도어의 내측면에서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도록 핀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아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한 쌍의 곡면판(11)과 한 쌍의 연결판(12)이 핀(14)을 개재하여 교대로 결합되고, 펼쳐지면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원형을 이루는 지지수단을 사용한다. 곡면판(11)은 반원보다 짧은 원호를 지니는 부재이지만 연결판(12)이 개재됨으로써 지지수단은 완전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곡면판(11) 및 연결판(12)의 접합부는 각각 요철 구조의 힌지부(12a)(12a)가 형성된다. 상호의 힌지부(12a)(12a)를 끼운 후 핀(14)을 삽입하고 스프링핀(15)을 끼우면 지지수단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이 상기 지지수단의 곡면판(11)에 접합되고, 타단이 도어의 내측면에서 토션스프링(16)의 탄성력을 받도록 핀(14)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아암(13)을 사용한다. 아암(13)은 길이가 짧은 연결판(12)보다 길이가 긴 곡면판(1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암(13)의 길이 방향은 곡면판(11)의 중심을 향하지 않고 접선에 가까운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수단을 접었을 때 도어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한다. 아암(13)은 도어에 핀(14)으로 연결하고 토션스프링(16)에 의해 도어측으로 밀착되는 탄성력을 받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패널(10)에 설치되는 지지수단이 사용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곡면판(11) 및 연결판(12)이 펼쳐지면 도시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캔음료나 컵을 거치할 수 있다. 사용후 캠음료나 컵을 제거하고 곡면판(11) 또는 아암(13)을 밀면 도 1의 토션스프링(16)의 힘으로 도 1과 같이 되어 도어에 밀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수단은 곡면판(1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21)과, 걸림홈(21)에 맞물리도록 연결판(1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돌출턱(22)에 의해 접힌 상태로 로크된다. 도시와 같이 지지수단을 접은 상태에서는 걸림홈(21)과 돌출턱(22)이 맞물려 로크되지만 곡면판(11)이나 아암(13)을 당기면 맞물림이 해제되고 곡면판(11) 및 연결판(12)은 원형을 이룬다.
한편, 도 2의 토션스프링(16)은 아암(13)을 도어에 밀착시키는 대신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3의 걸림홈(21) 및 돌출턱(22) 대신 곡면판(11)이나 아암(13)의 벌어짐을 억제하는 로크수단을 형성한다. 사용자가 곡면판(11)이나 아암(13)을 당겨 로크수단이 해제되면 토션스프링(16)의 힘으로 아암(13)이 벌어지면서 곡면판(11) 및 연결판(12)이 원형을 이룬다. 사용후 곡면판(11)이나 아암(13)을 밀면 다시 최초의 상태로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는 자동차의 도어에 접은 상태로 설치하고 펼쳐서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한 쌍의 곡면판(11)과 한 쌍의 연결판(12)이 핀(14)을 개재하여 교대로 결합되고, 펼쳐지면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원형을 이루는 지지수단; 그리고
    일단이 상기 지지수단의 곡면판(11)에 접합되고, 타단이 도어의 내측면에서 토션스프링(16)의 탄성력을 받도록 핀(14)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아암(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곡면판(1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21)과, 걸림홈(21)에 맞물리도록 연결판(1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돌출턱(22)에 의해 접힌 상태로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
KR2019970024750U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 KR200185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750U KR200185237Y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750U KR200185237Y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396U KR19990011396U (ko) 1999-03-25
KR200185237Y1 true KR200185237Y1 (ko) 2000-06-15

Family

ID=1950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750U KR200185237Y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2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396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5237Y1 (ko) 자동차용 컵홀더 기구
KR100194214B1 (ko) 자동차용 lcd 장착구조
JPH1035339A (ja) 折畳テーブル支持装置
KR0117351Y1 (ko)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KR0128793Y1 (ko) 수직으로 장착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100562573B1 (ko) 자동차용 메모홀더
KR200162531Y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366584B1 (ko)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JPH043868Y2 (ko)
KR100520775B1 (ko)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KR200163100Y1 (ko) 승합차용 보조 시트 체결장치
KR0138815Y1 (ko) 다기능 시트 백 핸들
KR980002581A (ko) 자동차의 후드록
KR0134184Y1 (ko) 자동차의 보조시트장치
KR0185347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19980046774U (ko) 자동차용 간이 탁자
KR100203041B1 (ko) 자동차용 동전수납함
KR0131638Y1 (ko) 자동차의 승객용 발받침
KR0132529Y1 (ko) 차량용 컵홀더
JP4054308B2 (ja) 車室内アクセサリ保持装置
KR200205665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접힘 구조
KR200174437Y1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200146752Y1 (ko) 도어 아암 레스트 내장형 컵 호울더
KR19980026114U (ko) 차량의 암 레스트 일체형 컵홀더
JP3044518U (ja) ステッカー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