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579Y1 -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 - Google Patents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579Y1
KR200265579Y1 KR2019990012237U KR19990012237U KR200265579Y1 KR 200265579 Y1 KR200265579 Y1 KR 200265579Y1 KR 2019990012237 U KR2019990012237 U KR 2019990012237U KR 19990012237 U KR19990012237 U KR 19990012237U KR 200265579 Y1 KR200265579 Y1 KR 200265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vehicle body
folded
leg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743U (ko
Inventor
이승건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90012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579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7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579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트렁크룸에 설치되는 적재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이 적재판을 분리시키어 간이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우산꽂이 구멍과 손잡이 구멍등을 갖추고 2쌍의 다리지지대들이 후면부에서 자유롭게 절첩식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간이테이블겸용 트렁용 적재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다리지지대(4)의 양쪽에서 이 다리지지대(4)가 접히고 펼쳐질 때 이를 안내하는 레일브라켓트(8)와,이 레일브라켓트(8)를 안내하는 채널형 레그브라켓트(9), 상기 적재판(3)을 차체(10)에 고정시키는 잠금부(11)및, 이 적재판(3)이 차체에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힌지식으로 작용하는 힌지연결부(12)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A trunk cover structure with portable table}
본 고안은 차량의 트렁크룸에 설치되는 적재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이 적재판을 분리시키어 간이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렁크룸 바닥에 설치되는 적재판은 이 트렁크룸의 적재함을 덮도록 되어 있는바, 이러한 트렁크룸 적재판은 적재함에 보관되는 물품을 보호하면서 차체의 강성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있는데, 대체는 평평한 판재형태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같은 트렁크룸 적재판을 활용하여 간이테이블을 겸할 수 있는 구조들이 미국 특허 제 5,080.417 호와 일본국 공개특허 평9-98,838호 및 국내특허공고 제 92-6,442호로 기히 공지되어 있었다. 상기 특허 중 미국특허 제 5,080.417 호와 국내특허공고 제 92-6,442 호는 트렁크룸 적재판을 간이테이블로 활용할때 다리지지대들이 완전히 절첩되지 않아 차실내 중간에서 이동시키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간이테이블의 부피가 커서 승하차 이동에 어려움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평9-98,838 호는 다리지지대를 적재판에서 완전히 접고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 다리지지대를 보유지지하는 절첩식 링크부재들의 구조가 불안정하여 다리지지대를 완전히 펼쳤을때 이 다리지지대들이 외력에 의해 쉽게 접혀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 트렁크룸의 적재판 기능을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간이테이블로 이용할 때 다리지지대가 견고하게 테이블판인 적재판을 보유지지할 수 있도록 잠금기능을 갖춘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테이블판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중앙에 우산꽂이구멍이 형성되고 한쪽 가장자리변부에 손잡이 구멍을 갖춘 적재판과, 상기적재판의 하면부에서 이 적재판을 보유지지하면서 절첩식으로 접혀지고 약 90°각도로 펼쳐지는 2개의 다리지지대들, 이 다리지지대들이 수납되는 보관홈들, 상기 각각 다리지지대의 양쪽에서 다리지지대가 접히고 펼쳐질때 이를 안내하는 레일브라켓트와 레그브라켓트, 상기 적재판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잠금부 및, 이 적재판이 차체에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힌지식으로 작용하는 힌지연결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1은 본 고안이 차량의 트렁크 부위에 적용된 설치상태도,
도2는 본 고안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절첩식 다리지지대가 펼쳐져 있을때 그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4는 도2의 Ⅳ-Ⅳ선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잠금부의 상세단면도이고,
도6는 본 고안을 차량의 트렁크 부위에서 개방시키어 적재함을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렁크룸 2 - 적재부
3 - 적재판 4 - 다리지지대
5 - 우산꽂이구멍 6 - 손잡이구멍
7 - 보관홈 8 - 레일브라켓트
9 - 레그브라켓트 10 - 차체
11 - 잠금부 12 - 힌지연결부
13 - 핀 14 - 홈
15 - 힌지브라켓트 16 - 후크부
17 - 힌지축 18 - 연결와이퍼
19 - 연결고리 20 - 잠금핀
21 - 레버 22 - 걸림부
23 - 걸림홈 24 - 잠금레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차량 트렁크룸(1)의 바닥 적재부(2)에 본 고안을 설치한 개략도이고, 도 2는 간이테이블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적재판(3)을 트렁크룸(1)의 적재부(2)에서 분리시키어 2쌍의 다리지지대(4)들을 모두 펼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테이블판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중앙에 우산꽂이구멍(5)이 형성되고 한쪽 가장자리변부에 손잡이구멍(6)을 갖춘 적재판(3)과, 상기 적재판(3)의 하면부에서 이 적재판(3)을 보유지지하면서 절첩식으로 접혀지고 약 90°각도로 펼쳐지는 2쌍의 다리지지대(4), 이 다리지지대(4)들이 수납보관되는 보관홈부(7)들, 상기 각각의 다리지지대(4)의 양쪽에서 이 다리지지대(4)가 접히고 펼쳐질때 이를 안내하는 레일브라켓트(8)와 레그브라켓트(9), 상기 적재판(3)을 차체(10)에 고정시키는 잠금부(11) 및, 이 적재판(3)이 차체(10)에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힌지식으로 작용하는 힌지연결부(12)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다리지지대(4)들을 안내하는 레일브라켓트(8)는 이의 한쪽선반이 다리지지대(4)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은 채널형상의 레그브라켓트(9)에 연결되어 자유롭게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채널형상의 레그브라켓트(9)는 다리지지대(4)가 절첩될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이 다리지지대(4)는 보관홈(7)에 정확하게 끼워지거나 분리되어 펼쳐진다. 또한 상기 레일브라켓트(8)의 핀(13)이, 다리지지대(4)가 절첩식으로 접히고 펼쳐질때 레그브라켓트(9)의 홈(14)을 따라 정확하게 안내 유도되어 이동함에 따라 이 다리지지대(4)의 유동을 막을 수 있으면서 잠금레버(24)로 펼쳐진 다리지지대(4)를 보유지지 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적재판(3)의 타단선단부에 설치된 힌지연결부(12)에는 차체 트렁크룸(1)의 적재부(2) 바닥에 설치된 힌지브라켓트(15)와 후크식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후크부(16)가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후크부(16)의 연결로 인하여 적재판(3)은 힌지브라켓트(15)와 함께 힌지축(17)을 지점으로 해서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서 이 적재판(3)이 힌지브라켓트(15)에서 손쉽게 분리 및 결합되어질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적재판(3) 중앙부위에 있는 우산꽂이구멍(5)에는 햇빛차단용 우산등을 손쉽게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트렁크룸(1)에서 적재판(3)을 열어서 차체에 고정시키고자 할때에는 손잡이구멍(6) 부위에 설치된 연결와이어(18)를 이용하여 차체와 연결고리(19)로 서로 연결시킴으로서, 이 적재판(3)은 상기 힌지브라켓트(15)를 지점으로 해서 경사지게 개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는 상기 적재판(3)을 차체에 고정시킨 잠금부(11)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잠금부(11)는 차체에 고정된 잠금핀(20)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되는 레버(21)를 이용하면 되는바, 즉 차체의 잠금핀(20)에서 적재판(3)의 잠금을 해제할 때 이 레버(21)를 누르게 되면, 상기 레버(21)의 걸림부(22)가 잠금핀(20)의 걸림홈(23)에서 이탈되어 적재판(3)은 차체와 손쉽게 분리되어 진다.
이어 본 고안에 따른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구조의 적재판(3)을 사용하고자 할때, 우선 잠금부(11)를 해제시키어 적재판(3)과 차체를 분리시킨다음,적재판(3)의 손잡이구멍(6)에 손을 집어넣어 약간 들어 올려서 힌지연결부(12)의 후크부(16)를 힌지브라켓트(15)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이 적재판(3)은 차체의 트렁크룸(1)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분리된 적재판(3)의 후면부에 부착된 2쌍의 다리지지대(4)를 펼쳐서 간이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와 반대로 상기 분리된 적재판(3)을 도 1의 상태로 원위치 시키고자 할때에는 앞서 설명한 방식의 반대방법으로 조립하여 트렁크룸에 장착시킴에 따라 이루어짐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트렁크룸의 바닥에 설치된 적재판을 필요에 따라 간이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 간이테이블 이용시 다리지지대들의 유동과 이격현상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보관시에도 잠금부의 작용으로 차체에서 흔들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지지대들이 적재판의 후면부위에서 완전히 절첩됨에 따라 보관휴대시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잇점도 지니게 된다.

Claims (3)

  1. 테이블판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우산꽂이 구멍과 손잡이 구멍등을 갖추고 2쌍의 다리지지대들이 후면부에서 레일브라켓트를 매개로 자유롭게 절첩식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간이테이블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레일브라켓트(8)의 핀(13)이 다리지지대(4)가 접히고 펼쳐질 때 채널형 레그브라켓트(9)의 홈(14)을 따라 안내유도되어 지면서 상기 적재판(3)을 차체(10)에 고정시키는 잠금부(11)와 이 적재판(3)이 차체에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힌지식으로 작용하는 힌지연결부(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12)는 힌지축(17)을 지점으로 회동하는 힌지브라켓트(15)와 후크식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후크부(16)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잠금부(11)는 차체에 고정된 잠금핀(20)의 걸림홈(23)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되는 걸림부(22)를 갖춘 레버(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구조.
KR2019990012237U 1999-06-30 1999-06-30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 KR200265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37U KR200265579Y1 (ko) 1999-06-30 1999-06-30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37U KR200265579Y1 (ko) 1999-06-30 1999-06-30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43U KR20010001743U (ko) 2001-01-26
KR200265579Y1 true KR200265579Y1 (ko) 2002-02-25

Family

ID=5476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237U KR200265579Y1 (ko) 1999-06-30 1999-06-30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5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47B1 (ko) * 2013-09-12 2015-0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피크닉 테이블 겸용 러기지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43U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5005A (en) Folding storage compartment
US6435596B1 (en) Automotive double folding tailgate
KR100388094B1 (ko) 차량의 도어 유리 수납 고정장치
KR200265579Y1 (ko)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
US7052063B2 (en) Functional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ading area
KR101534959B1 (ko) 자동차용 접이식 트레이
KR200146029Y1 (ko) 양방향 개폐형 콘솔 박스
JPH0554447B2 (ko)
JP2003260986A (ja) 自動車の荷室構造
KR200156297Y1 (ko) 자동차 센터콘솔박스의 물품유동방지구조
KR101438634B1 (ko) 트렁크 사이드 트림의 접이식 수납함
KR100896892B1 (ko) 러기지 박스 어셈블리
KR200157646Y1 (ko) 콘솔 뚜껑을 이용한 보조선반
KR100387884B1 (ko)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JPH0351206Y2 (ko)
KR100368381B1 (ko) 차량의 미드게이트 갭커버
JP3239484B2 (ja) 収納ケース
JPH0212103Y2 (ko)
KR100293991B1 (ko) 자동차의 콘솔
JPH0516015Y2 (ko)
KR100405610B1 (ko) 자동차용 트렁크보드의 힌지부 구조
KR0117351Y1 (ko)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JPH0336418Y2 (ko)
KR0123389B1 (ko) 자동차의 백 셀프 트림의 수장박스 커버 절접장치
KR100381086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