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884B1 -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884B1
KR100387884B1 KR10-2000-0064005A KR20000064005A KR100387884B1 KR 100387884 B1 KR100387884 B1 KR 100387884B1 KR 20000064005 A KR20000064005 A KR 20000064005A KR 100387884 B1 KR100387884 B1 KR 100387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idgate
vehicle
compartment
passeng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3854A (ko
Inventor
표하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88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실과 화물실을 구획하는 미드게이트를 분리시킬 때 그 미드게이트의 내부에 글래스를 내장하여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실(4)과 화물실(5)을 선택적으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차실내 바닥면(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미드게이트(2)가 마련되고 그 미드게이트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글래스(3)를 수납하는 수납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드게이트의 내부에 수납공간부(10)가 마련되고 상기 미드게이트의 상단 양측에는 가이드홈(21)을 갖는 가이드레일(20)이 마련되며 상기 글래스의 하단부 양측에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힌지축(50)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양단에는 걸림턱(22)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미드게이트의 하부에 글래스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힌지 결합된 고정핀(30)이 마련되고 그 고정핀의 선단은 내측으로 절곡되며 그 절곡된 선단에는 완충부재(31)가 마련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승객실과 화물실을 분할하는 글래스 및 미드게이트의 분리 및 결합이 매우 용이하고 분리된 글래스를 미드게이트 내부에 수납시켜둠으로써 상기 글래스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Middle Gate Glass Receiving Apparatus of Car}
본 발명은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드게이트의 상측에 마련된 글래스를 손쉽게 분리 및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글래스를 미드게이트의 내부에 수납시켜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디의 형태는 시트의 배치와 수, 도어의 배치와 수, 루프, 객실, 창유리 등의 구조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바디 형태의 명칭은 시대와 국가에 따라 다소차이가 있으나 ISO에 의한 분류를 참조하여 차체박스에 의한 분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엔진룸, 차실, 화물실의 3칸으로 이루어진 3박스형과, 차실 및 화물실이 하나로 이루어진 2박스형 그리고 엔진룸, 차실, 화물칸을 하나의 박스에 담은 1박스형이 있다.
종래 차량의 경우 차실내를 승객실과 화물실로 나누고 이를 고정 격벽으로 차단한 구조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격벽이 고정되어 있어서 많은 화물을 적재하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차실과 화물실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서 그 실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고정 격벽 대신에 설치가 가변적인 미드게이트를 장착한 차량중의 하나인 SUV(Sporty Utility Vehicle) 차량의 경우 차실과 화물실이 미드게이트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미드게이트를 설치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미드게이트의 상측에는 차실과 화물칸을 구획하는 글래스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은 미드게이트 및 글래스를 갖는 차량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미드게이트 및 글래스를 장착한 차량의 구조를 살펴보면, 차량(1)의 중간에 미드게이트(2)가 설치되어 승객실(4)과 화물실(5)로 나뉘어지고, 미드게이트(2)의 상측에는 글래스(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미드게이트를 절첩시킬 경우 글래스도 함께 절첩시켜야만 하는 바, 종래의 경우 글래스를 미드게이트와 별도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가 있었으나, 글래스의 분리 결합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글래스가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글래스를 미드게이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시켜서 미드게이트의 일측면에 절첩시켜두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또한 글래스의 파손을 해결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승객실과 화물실을 구획하는 미드게이트를 분리시킬 때 그 미드게이트의 내부에 글래스를 내장하여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미드게이트 및 글래스를 갖는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미드게이트 3 : 글래스
4 : 승객실 5 : 화물실
6 : 바닥면 10 : 수납공간부
20 : 가이드레일 21 : 가이드홈
22 : 걸림턱 30 : 고정핀
31 : 완충부재 50 : 힌지축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객실과 화물실을 선택적으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차실내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미드게이트가 마련되고 그 미드게이트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글래스를 수납하는 수납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드게이트의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미드게이트의 상단 양측에는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글래스의 하단부 양측에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힌지축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양단에는 걸림턱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미드게이트의 하부에 글래스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힌지 결합된 고정핀이 마련되고 그 고정핀의 선단은 내측으로 절곡되며 그 절곡된 선단에는 완충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미드게이트 수납장치는 내부에 수납공간부(10)를 갖는 미드게이트(2)와, 그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글래스(3)와 상기 글래스(3)의 하부 양단을 안내하도록 미드게이트(2)의 상단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레일(20)과 상기 수납공간부(10)에 수납된 글래스(3)를 고정시키는 고정핀(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미드게이트(2)는 승객실(4)과 화물실(5)을 선택적으로 구획시키는 것으로 하단부 양측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차실내 바닥면(6)에 경첩(40)으로 결합되어 있고 미드게이트(2)의 내부에는수납공간부(10)가 형성되며 그 수납공간부(10)에는 글래스(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미드게이트(2)의 상단부 양측에는 만곡형성된 가이드레일(20)이 결합되고 그 가이드레일(20)에는 글래스(3)의 이동을 안내하는 만곡형상의 가이드홈(21)이 마련되며 그 가이드홈(21)의 양측에는 걸림턱(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0)에는 글래스(3)의 하단부 양측에 마련된 힌지축(50)이 삽입되고 그 힌지축(50)의 둘레면에는 상기 힌지축(50)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부시(51)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실내 루프(7)측 브라켓(8)에 형성된 걸림홈(9)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는 고정수단(60)은 상기 글래스(3)의 상단부 양측에 고정힌지(62)를 갖는 지지부재(61)가 마련되고 그 지지부재(61)의 고정힌지(62)에는 이동힌지(63)를 갖는 고정레버(64)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레버(64)의 상단에는 브라켓(8)에 형성된 걸림홈(9)에 결합되는 걸림돌기(6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미드게이트(2)의 하부에는 수납공간부(10)에 수납된 글래스(3)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고정핀(30)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그 고정핀(30)의 선단은 글래스(3)를 견고히 지지하도록 내향절곡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내향절곡된 고정핀(30)의 선단에는 글래스(3)와 고정핀(30)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재(31)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글래스(3)를 장착할 경우에는 도 4a에 나타된 바와 같이 승객실와 화물실이 구획되도록 미드게이트(2)와 글래스(3)를 펼친 상태에서 상기 글래스(3)의 상단에 마련된 고정수단(60)으로 글래스(3)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글래스(3)의 하단부 양측에 마련된 힌지축(50)은 가이드레일(20)에 마련된 가이드홈(21)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22)으로 삽입 고정된다.
이때에는 승객실의 브라켓(8)에 형성된 걸림홈(9)에 고정레버(64)의 상단에 마련된 걸림돌기(65)를 걸고 상기 고정레버(64)의 하부를 글래스(3) 측으로 밀면 상기 고정레버(64)는 고정힌지(62)를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레버(64)에 마련된 이동힌지(63)는 회전하고 상기 고정레버(64)에 마련된 걸림돌기(65)는 브라켓(8)에 형성된 걸림홈(9)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승객실(4)과 화물실(5)은 상기 글래스(3)와 미드게이트(2)에 의해서 분할되는 것이다.
한편, 글래스(3)를 분리 및 수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레버(64)의 하부를 승객실(4) 측으로 당기면 그 고정레버(64)에 마련된 이동힌지(63)는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레버(64)의 상단에 마련된 걸림돌기(65)는 브라켓(8)에 형성된 걸림홈(9)에서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65)를 걸림홈(9)에서 분리시킨 후 글래스(3)를 승객실 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글래스(3)의 하단부 양측에 마련된 힌지축(50)은 가이드레일(20)에 마련된 가이드홈(21)의 만곡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글래스(3)의 회전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글래스(3)가 회전되어 미드게이트(2)에 마련된 수납공간부(10)로 삽입되면 글래스(3)는 미드게이트(2)에 내장된 지지부재(11)에 접촉되며 이때 상기 글래스(3)의 하단부 양측에 마련된 힌지축(50)은 가이드레일(20)의 가이드홈(21)에 형성된 걸림턱(22)에 삽입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미드게이트(2)의 하부에 마련된 고정핀(30)을 회전시키면 그 고정핀(30)의 선단부에 마련된 완충부재(31)가 상기 글래스(3)에 긴밀히 접촉되어 글래스(3)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글래스(3)가 미드게이트(2)의 수납공간부(10)에 수납된 후 고정핀(30)에 의해서 고정되면 상기 미드게이트(2)의 상부를 승객실 측으로 밀면 그 미드게이트(2)는 경첩(4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승객실 바닥에 밀착되므로 승객실과 화물실이 통하여지게 되는 것으로서, 그 미드게이트(2)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여도 글래스(3)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객실과 화물실을 분할하는 글래스 및 미드게이트의 분리 및 결합이 매우 용이하고 분리된 글래스를 미드게이트 내부에 수납시켜둠으로써 상기 글래스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승객실(4)과 화물실(5)을 선택적으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차실내 바닥면(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미드게이트(2)가 마련되고 그 미드게이트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글래스(3)를 수납하는 수납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드게이트의 내부에 수납공간부(10)가 마련되고 상기 미드게이트의 상단 양측에는 가이드홈(21)을 갖는 가이드레일(20)이 마련되며 상기 글래스의 하단부 양측에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힌지축(5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양단에는 걸림턱(22)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게이트의 하부에 글래스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힌지 결합된 고정핀(30)이 마련되고 그 고정핀의 선단은 내측으로 절곡되며 그 절곡된 선단에는 완충부재(3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KR10-2000-0064005A 2000-10-30 2000-10-30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KR100387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005A KR100387884B1 (ko) 2000-10-30 2000-10-30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005A KR100387884B1 (ko) 2000-10-30 2000-10-30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854A KR20020033854A (ko) 2002-05-08
KR100387884B1 true KR100387884B1 (ko) 2003-06-18

Family

ID=1969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005A KR100387884B1 (ko) 2000-10-30 2000-10-30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8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854A (ko)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4660B2 (ja) 車両用ルーフ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7514599A (ja) 自動車用の内部容積可変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387884B1 (ko)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JP4297343B2 (ja) デッキフロア構造
KR100381086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고정장치
KR100376441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00461060B1 (ko)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KR20020033306A (ko)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KR100376442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개폐장치
JPH06191436A (ja) 自動車のボディ構造
KR100394957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수납장치
KR100376443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개폐장치
KR0115705Y1 (ko) 차량의 콘솔박스
KR200194102Y1 (ko) 트렁크용 가변적재함
KR0131117Y1 (ko) 아암레스트 겸용 물건 보관장치
KR100568744B1 (ko) 콘솔 리드의 스토퍼 구조
KR200265579Y1 (ko)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
KR20060007539A (ko) 자동차용 트레이 구조
KR0139956B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디포지트 박스장치
KR200197395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0401659B1 (ko) 자동차의 도어포켓
KR100535518B1 (ko) 승용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고정 장치
KR200157646Y1 (ko) 콘솔 뚜껑을 이용한 보조선반
KR200404898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200156645Y1 (ko) 자동차용 서류함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