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060B1 -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060B1
KR100461060B1 KR10-2002-0060205A KR20020060205A KR100461060B1 KR 100461060 B1 KR100461060 B1 KR 100461060B1 KR 20020060205 A KR20020060205 A KR 20020060205A KR 100461060 B1 KR100461060 B1 KR 10046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glass
midgate
vehicle
compartmen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791A (ko
Inventor
이진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06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1/183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non-convertible vehicles, including vehicles with versatile load area
    • B60J1/187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non-convertible vehicles, including vehicles with versatile load area where the window is pivotable relative to a stationary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실과 화물실이 구분되어 있는 픽업형 차량에서 화물실의 공간을 더 활용하고자 할 때 미드게이트와 별도로 리어글라스를 접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실과 화물실이 선택적으로 구획되도록 차실과 화물실의 경계부에 해당되는 차체 바닥면 일측에 접힘 가능하게 설치된 미드게이트와, 상기 미드게이트와 끝단이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상단이 루프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리어글라스와, 상기 걸림홈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미드게이트의 상단에 설치된 록커와, 상기 리어글라스가 루프 측에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루프 일측에 마련된 태엽스프링과 그 태엽스프링에 감겨 인출 가능하도록 된 인출편 및 상기 인출편 끝단에 마련된 후크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이다.

Description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Rear glass opening apparatus of vehicle having mid gate}
본 발명은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실과 화물실이 구분되어 있는 픽업형 차량에서 화물실의 공간을 더 활용하고자 할 때 미드게이트와 별도로 리어글라스를 접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디의 형태는 시트의 배치와 수, 도어의 배치와 수, 루프, 객실, 창유리 등의 구조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바디 형태의 명칭은 시대와 국가에 따라 다소차이가 있으나 ISO에 의한 분류를 참조하여 차체박스에 의한 분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엔진룸, 차실, 화물실의 3칸으로 이루어진 3박스형과, 차실과 화물실이 하나로 이루어진 2박스형과 엔진룸 ,차실 ,화물실을 하나의 박스에 담은 1박스형이 있다.
또한, 종전의 차량 중에는 차량중간에 격벽을 설치하여 차실과 화물실을 구획함으로써 각각을 차실과 화물실로 사용하는 픽업형 차량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의 픽업형 차량은 격벽이 고정되어 있어서 많은 승객이 타거나, 혹은 그와 반대로 많은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에 차실 혹은 화물실의 용량을 늘릴 수 없어서 그 실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고정격벽 대신에 설치가 가변적인 미드게이트를 장착한 도1과 같은 픽업형 차량이 제안되고 있는 바, 이러한 픽업형 차량의 경우에는 차실과 화물실이 미드게이트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미드게이트를 설치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미드게이트의 상부에는 후방시야의 확보를 위해 리어글라스가 장착되어 있다.
도1은 미드게이트 및 리어글라스를 갖는 픽업형 차량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미드게이트 및 리어글라스를 장착한 차량의 구조를 살펴보면, 차량(1)의 중간에 미드게이트(2)가 설치되어 승객실과 화물실로 나뉘어지고, 미드게이트(2)의 상부에는 리어글라스(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차실과 화물실이 서로 통하도록 할 경우에는 미드게이트(2) 및 리어글라스(3)를 절첩시켜 두어야 하는 바, 이렇게 미드게이트(2) 및 리어글라스(3)를 절첩시키는 경우, 종래에는 일단 리어글라스(3)가 미드게이트(2)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한번 접고, 이 미드게이트(2)를 다시 차실내 바닥에 절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리어글라스를 미드게이트 일측면에 접어두는 경우에는 화물 등의 적재로 인하여 글라스가 파손될 염려가 있으며, 화물을 적재하는 데에도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픽업형 차량에서 화물실과 차실을 구획하기 위하여 마련된 미드게이트와 리어글라스를 접어서 보관하고자 할 때 리어글라스가 미드게이트와 분리되어 루프부에 별도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미드게이트 및 리어글라스를 갖는 픽업형 차량을 보인 사시도,
도2a 및 도2b는 도1의 A-A 부위에 대한 본 발명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의 작동 전, 후에 따른 단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의 사용상에 따른 개략도,
도3b는 본 발명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중 인출편에 대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바닥면 11 : 루프
20 : 미드게이트 21 : 미드게이트 힌지
22 : 록커 30 : 리어글라스
31 : 글라스 힌지 32 : 걸림홈
40 : 고정수단 41 : 태엽스프링
42 : 인출편 42a : 홀(hole)
43 : 후크 44 : 스톱퍼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실과 화물실이 선택적으로 구획되도록 차실과 화물실의 경계부에 해당되는 차체 바닥면 일측에 접힘 가능하게 설치된 미드게이트; 상기 미드게이트와 끝단이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상단이 루프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리어글라스; 상기 걸림홈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미드게이트의 상단에 설치된 록커; 상기 리어글라스가 루프 측에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루프 일측에 마련된 태엽스프링과, 그 태엽스프링에 감겨 인출 가능하도록 된 인출편 및 상기 인출편 끝단에 마련된 후크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a 및 도2b는 도1의 A-A 부위에 대한 본 발명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의 작동 전, 후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3a는 본 발명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의 사용상에 따른 개략도이며, 도3b는 본 발명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중 인출편에 대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2a 및 도2b에서 보면, 차실과 화물실이 구분되는 경계부의 차체 바닥면 일측(10)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미드게이트(20)가 힌지(21)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10)에 수직하게 세워지거나 상기 힌지(2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바닥면(10)에 닿도록 접힌다.
한편, 상기 미드게이트(20)와 일직선을 이루는 미드게이트(20) 상부의 자동차 루프(11)에는 하부 끝단이 상기 미드게이트(20) 상단과 접촉되는리어글라스(30)가 마련되는데, 상기 리어글라스(30)는 상기 루프(11) 상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단이 힌지(31)를 통해 상기 루프(11)에 결합된다. 상기 리어글라스(30)는 화물실 측을 보기 위한 투명한 유리로서, 차체 후방을 주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실내가 개방된 느낌을 갖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리어글라스(30)는 상기 미드게이트(20)와 그 끝단이 서로 접촉될 뿐만 아니라 미드게이트(20)와 서로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상기 리어글라스(30)의 하단에는 소정의 걸림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드게이트(20)의 상단에는 상기 리어글라스의 걸림홈(32)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는 록커(22)가 설치된다. 상기 록커(22)는 도2a의 원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게이트(20)의 상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22a)를 매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록커(22)가 항상 리어글라스의 걸림홈(32)에 걸릴 수 있는 방향의 힘을 제공받도록 상기 록커(22)는 탄성스프링(22b)에 의하여 탄성 설치된다. 즉, 상기 록커(22)는 힌지(22a)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항상 걸림홈(32)에 걸릴 수 있는 위쪽 방향의 힘을 받음으로써 상기 리어글라스(30)를 닫기만 하면 미드게이트의 록커(22)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리어글라스(30)를 록커(22)로부터 해제시킬 때는 상기 록커(22)의 아래쪽을 누르면 상기 탄성스프링(22b)의 힘을 이기고 록커(22)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리어글라스(30)의 걸림홈(32)이 록커(22)에서 빠져 나옴으로서 리어글라스(30)가 위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어글라스(30)와 미드게이트(20) 사이에는 화물실로부터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웨더스트립(w)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리어글라스(30)를 상기 록커(22)로부터 해제하여 루프(11) 쪽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리어글라스(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40)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수단(40)은 루프(11) 일측에 설치된 태엽스프링(41)과, 상기 태엽스프링(41)에 연결되어 소정 길이로 인출 가능하도록 된 인출편(42) 및 상기 인출편(42)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리어글라스(30)의 끝단에 걸리도록 된 후크(4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리어글라스(3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후크(43)를 갖는 인출편(42)을 당겨서 후크(43)를 상기 리어글라스(30)의 하단에 걸면 상기 태엽스프링(41)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리어글라스(30)가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리어글라스(30)의 하중보다 태엽스프링(41)의 복원력이 반드시 커야만 하는데, 만일 리어글라스(30)의 하중이 태엽스프링(41)의 복원력보다 크게 되면 상기 리어글라스(30)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고 무게 중심에 의하여 하방으로 닫히게 된다.
그러나, 태엽스프링(41)과 같은 탄성체를 오랜 기간동안 사용하다 보면 탄성계수가 점점 저하되어 복원력이 처음보다 떨어지므로 나중에는 태엽스프링(41)의 복원력이 리어글라스(30)의 하중보다 작아져 리어글라스(30)가 닫히게 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리어글라스(30)가 고정되도록 하면 리어글라스(30)가 항상 루프(11)와 수평을 이루는 각도로만 고정되므로 우천시에는 반드시 리어글라스(30)를 닫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생긴다.
따라서, 도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인출편(42)의 적당한 위치에 소정 개수의 홀(42a)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홀(42a)에 끼워지는 스톱퍼(44)를 마련하여 상기 스톱퍼(44)가 태엽스프링(41)이 감긴 축(41a)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3a와 같이 리어글라스(30)를 원하는 각도로 위치시킨 후 인출편(42)을 인출시켜 그 끝단에 있는 후크(43)를 리어글라스(30)의 하단에 걸고 상기 리어글라스(3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인출편의 홀(42a)에 상기 스톱퍼(44) 끝단을 끼우면 된다.
그래서, 우천시에는 상기 리어글라스(30)가 상기 루프(11)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스톱퍼(44)로 리어글라스(30)를 고정시키면 실내로 들어오는 낙수를 차단하게 되어 매우 유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에 의하면, 차실과 화물실이 구획된 차량에서 필요에 따라 차실과 화물실이 서로 통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어글라스를 미드게이트와 별도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리어글라스가 파손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리어글라스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 가능하므로 우천시에도 리어글라스를 닫지 않고 필요한 각도로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차실과 화물실의 경계부에 해당되는 차체 바닥면(10) 일측에 접힘 가능하게 설치된 미드게이트(20);
    상기 미드게이트(20)와 끝단이 서로 접촉되며 상단이 루프(11)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에는 걸림홈(32)이 형성된 리어글라스(30);
    상기 걸림홈(32)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미드게이트(20)의 상단에 설치된 록커(22);
    상기 리어글라스(30)가 루프(11) 측에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루프(11) 일측에 마련된 태엽스프링(41)과, 그 태엽스프링에 감겨 인출 가능하도록 된 인출편(42) 및 상기 인출편 끝단에 마련되어 리어글라스(30)의 하단에 걸리는 후크(43)로 이루어진 고정수단(40);을 포함하는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편(4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홀(42a)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스프링(41)의 일측에는 상기 홀(42a)에 끼워져 인출편이 고정되도록 하는 스톱퍼(4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KR10-2002-0060205A 2002-10-02 2002-10-02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KR100461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205A KR100461060B1 (ko) 2002-10-02 2002-10-02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205A KR100461060B1 (ko) 2002-10-02 2002-10-02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91A KR20040029791A (ko) 2004-04-08
KR100461060B1 true KR100461060B1 (ko) 2004-12-14

Family

ID=3733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205A KR100461060B1 (ko) 2002-10-02 2002-10-02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66U (ko) * 2015-08-28 2017-03-0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투광등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8181U (ja) * 1982-12-06 1984-06-14 古閑 鉄次郎 自動車用ドア閉塞器
JPS63176716A (ja) * 1986-10-29 1988-07-21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JPH0195420U (ko) * 1987-12-17 1989-06-23
JP2002211239A (ja) * 2000-12-12 2002-07-31 Hyundai Motor Co Ltd 車両のミドゲートのガラス収納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8181U (ja) * 1982-12-06 1984-06-14 古閑 鉄次郎 自動車用ドア閉塞器
JPS63176716A (ja) * 1986-10-29 1988-07-21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JPH0195420U (ko) * 1987-12-17 1989-06-23
JP2002211239A (ja) * 2000-12-12 2002-07-31 Hyundai Motor Co Ltd 車両のミドゲートのガラス収納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66U (ko) * 2015-08-28 2017-03-0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투광등 잠금장치
KR200484042Y1 (ko) * 2015-08-28 2017-07-25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투광등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91A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7969A1 (en) Cargo Storage Compartment and Access Thereto
KR100461060B1 (ko)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KR200431629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JP4297343B2 (ja) デッキフロア構造
KR100381086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고정장치
KR100376442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00387884B1 (ko)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KR100376441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00394957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수납장치
KR100376445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00376443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00412349B1 (ko) 스포츠 유틸리티 트럭 차량의 적재함 구조
US11766969B2 (en) Configurable storage compartments
KR200146029Y1 (ko) 양방향 개폐형 콘솔 박스
KR102584412B1 (ko) 트렁크용 화물 고정장치
JPH10184138A (ja) 配送車の荷室施錠システム
KR20220163821A (ko) 차량의 칵핏 모듈
KR100936686B1 (ko) 철도차량용 다목적 자전거 보관시설
KR19980036643U (ko) 트렁크 내 격납식 사물함 구조
KR0146512B1 (ko) 도어트림에 설치된 수납함의 개폐장치
KR100558734B1 (ko)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
KR0155134B1 (ko) 자동차 도어 트림의 우산꽂이
JPH09309377A (ja) 自動車
KR100535518B1 (ko) 승용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고정 장치
KR20040031476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